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심리학 미국 대학원 박사

2025.09.18

4

99

현재 심리학과 3학년 2학기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초과학기 예정이라 2년 후 졸업 예정입니다. 졸업 후 미국 대학원(임상심리분야) 가려하는데 어떤 선택지가 나을지 고민 중입니다

1. 학부생활 하며 교수님들 컨택해서 연구 보조, 인턴 경험, 추천서 요청(2-3명) 바로 미국 대학원 석박사 과정 지원

2. 학부 졸업 후 국내 석사 입학하여 논문 및 연구 경험 쌓고 미국 대학원 박사 과정 진학

어느게 더 적절한 선택인지 궁금합니다
학점은 현재4.5/4.5 이고 토플은 준비 중 입니다. 100+를 목표로 두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회복지사 경력(4년)과 놀이치료사 자격증이 메리트가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5.09.19

2년 후 졸업이라고 하면 지금부터 연구 활동 시작하시고 내년에 판단하셔도 늦지 않을 것 같습니다. 다만 제 주위 경험을 바탕으로 말씀드리면 심리학과는 뽑는 정원이 많은것 같지않아 입시 경쟁 뚫기가 매우 힘들어 보이긴 했습니다. 석사까지하고 경험도 많은 친구들도 15개이상의 학교를써서 1개 겨우 붙은 경우도 몇번 봤구요. 재수이상하는 케이스도 꽤 들어본것 같습니다.
그런 경력이 도움은 되겠지만 메리트라고 하면 글쎄요... 그렇게 의미있다고 보진 않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9.19

댓글 감사합니다! 열심히 경험부터 쌓아야겠네요

2025.09.20

토플고득점은 상관없고 gre가 꽤 영향을 줬었는데 요즘도 gre 점수가 중요한지는 모르겠지만

2025.09.22

안녕하세요, 현 미국 심리학과 박사과정생입니다. 석사 진학 여부보다도 박사 지원 시기에 이력에 연구경험과 실적이 어느 정도 있는지가 관건이 될 듯 합니다. 학부생 인턴하면서 교수님을 잘 만나서 논문을 2-3편 정도 출판할 수 있다면 굳이 석사를 가지 않아도 되지만 그게 어렵다면 석사과정에 진학해서 실적으로 내고 지원하기를 추천합니다. 미국 임상이나 상담 심리 대학원 지원자들은 실적과 연구 프로젝트 경험이 꽤 많기 때문에 그 경험들을 cv와 에세이에 녹여서 어필하는게 가장 중요합니다. 보통 프로젝트 3-4개, 퍼블리쉬 2-3개 정도는 들고 오는 추세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