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글쓴이 님의 상황은 안타깝지만 일반적인 케이스는 아닌 것 같네요. '무조건 펀딩 잘 주는 곳으로 가세요' 와 같은 근거없는 일반화는 공감되지 않네요. 보통은 글쓴이같은 상황을 많이 겪진 않습니다. 연구 핏을 보고 가는게 제일 중요하고, 펀딩을 포함한 재정적 상황도 확실히 해야 하는건 맞지만 우선순위는 압도적으로 연구핏이 높다고 봅니다.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3 - 찐따세요? 알잘딱갈센 좀 하세요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8 - 당연히 잘못이 아닙니다. 제 연구실에는 이런 학생이 없으면 좋겠네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48 - 교수가 이상한거임.. 그렇게 사람 노예처럼 부리는 사람이랑 일하지 마세요. 돈도 안주면서 무슨 권리로 그렇게 말합니까.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3 - 미국은 돈 주는 박사한테도 1년에 몇 주 휴가줘요. 그냥 이상한 교수 만났다 생각하고 너무 감정상하지는 마세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18 - 시그널 주는데 넘나 감사하죠ㅎㅎ
도망치면 딱이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4 - 학연생 받아주세요라고 어필하는상황이면 교수님한테 잘보이려고 싫어하는짓 하면 안될것같고
아쉬울게 없는 상황이면 적당히 있다가 떠나면될것같군요.
돈도안받고 이런건 다 부차적인겁니다.
연구실에 가고싶어서 어필하고싶은건지 적당히 몸담고싶은건지에따라서 행동을 결정하면 되겠군요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11 - 당연히 잘못이 아니라는데 사람들은 그 뒤 문장만 보고 비추준다ㅋㅋ 보통의 인간들이 얼마나 단순하고 오해하기 쉬운 존재인지를 보여주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3 - 교수 입장에서 말씀드립니다.
학부생은 학기중에 수업을 듣기에 가능한 학기중에 터치를 안합니다.
대신, 방학은 제대로 한 번 세미나나 연구도 참여시키면서 학생의 역량을 보는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교수 입장에서도 어느정도 여유가 생기고요.
또한, 학부연구생은 어찌보면 의미없는 시간과 공간과 돈을 투자하는 자원봉사이기에
갑자기 방학 때 2주 사라진다하면 저라도 좋게 보진 않을 겁니다.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0 - 한전공대 좋아요 월급 많이 주고 기숙사 신축1인실에 혁신도시 식당도 많아요.
생활적인거 고려하면 지스트급정도는 되는거 같습니다.
그리고 제 개인적인 생각인데 학교이름에 지역명 들어가는것보다는 한국xx대학이 나중에 상방이 더 뚫려있다 생각해요.
아무리 목포해양대가 아웃풋 씹압살해도 한국해양대를 이길수없듯이. 대학이름에 지역명 들어가는 ist들은 아쉽죠
한전공대 비추이신가요?
14 - 부끄러워 하지 마십쇼.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5 - 우리 그만하자...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6 - 포스텍에서 한동대,해양대,제주대 얘기 듣고 팍 식음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12
SH 대학원 1학기 지내 본 후기.
2024.06.30

1. 본인은 부경전충 중 하나인 전화기 출신.
2. 학점 4.3만점 3.7로 SPK는 포기하고 yk sh ist 찾아 봄.
3. 학부 연구생때 하던 동일 분야 중에서 SH에 YK ist 교수님들 보다 실적과 아웃풋 뛰어난 학교에 먼저 지원.
4. 그냥 스무스 하게 컨택 되고 붙어서 타대 지원 생각 딱히 안하고 붙음
5. 다녀보니 여러가지가 느껴짐.
후기.
1. 교수님이 뛰어나신 분이라, 연고대 혹은 SPK 교수님들과 비교해도 학비 지원이라던가 연구지도, 코워크등 과분한 지원 받고 있음.
2. 연구실적이 뛰어나서 랩실 선배들은 다 잘되고 있어서 기운 남.
3. 주변 수준이 확실히 중요하다고 느낌.
기왕이면 좋은 학교 랩실 가라는게 이유를 알것 같음.
일단 하루종일 같이 생활하고 주변 수준이 내 지식 수준을 끌어 올려줌. (교수님은 지도 해주는 거지 지식을 같이 키워주진 않으심.) 더 좋은 학교는 이런 장점이 더 클거 같음.
4. 실험 시설이 아쉬움. Ist나 SPK에서는 한 랩실에서 다 갖추고 있는 것들이 여기서는 한두개 정도가 타 랩실에 가서 사용하는데 여간 불편함.
5. 어딜 가든 박사출신 들은 서로 어디 학위 받았는지 이야기 주고 받고 거기에 대해 이야기들 자주 나누는 거 보고. 물론 실적이 최고지만 학위가 높으면 절대 남주는 거 아니라고 느껴짐.(근데 내용 들어보면 사실 그냥 서로 할이야기 없으니 하는 이야기 같음. 딱히 이걸로 깔보거나 하진 않는 듯.)
결론.
1. 좋은 교수님 만나면 학교 상관 없이 좋은 연구 가능.
2. 동료 수준은 높을수록 좋음.
3. 박사 학위 이름 별거 아니여도 은근 끝까지 따라가는 거 같음.
끝.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1 19 57414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명예의전당 459 34 73972-
134 15 57416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대학원 합격 후기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 오퍼 펀딩 잘 확인해보세요
31 - 미국 유학/ 전반적인 팁
18 - 너무 같은 연구실 맴버와 비교되서 현타가 옵니다..
33 - 교수님 목소리만 들어도 눈물이 나요.. 어떡하면 좋죠
51 - 조교수도 논문지도교수를 할 수있나요?
22 - 진짜 우리나라 교수님들 기본 마인드가 진짜.. (주관적 견해임)
75 - 빨리 논문 써내고 싶은데..
10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0 - 이재x xxx. ㅅcㄲ 좋냐?
26 - 제발 교수하지마
13 - 랩실 사람들이랑 친하게 안지내도 되나요?
9 - 교수님을 너무 믿지 마세요.
14 - 복잡한내용도 쉽게설명하는게 진짜 중요하다는걸느낌
19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신임교수님 학부연구생
13 - 피어 리뷰를 석사과정한테 시키는 연구실이 있다?
34 - 방학에 2주 빠지는 게 큰 잘못인가요?
24 - S 석사 자소서 4장 정도면 괜찮을까요?
12 - 한전공대 비추이신가요?
22 - 연구실 빌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7 - 인기랩 기준이 뭔가요?
12 - 이공계는 보통 월에 얼마씩 받나요?
24 - Ist vs 자대
17 - skp 석박사의 실제 학벌을 듣고 짜쳤던 경험
21 - 사회성 없는 사람인데
13 - 서성한 vs ist
15 - 다음 정규학기부터 펀딩 끊겼습니다. 오퍼 수락 아직 안한분들 펀딩 오랫동안 안정적으로 준다는 곳으로 가세요.
11

UNIST 2025학년도 후기 대학원과정 신입생 모집
· 원서접수 : 3. 26. (수) 10:00 ~ 4. 8. (화) 18:00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