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런경우는 해결책이 하나 있습니다.
자회사에 간다고 하세요. 졸업하고 석사학위 도장받고
자회사에 들어가고 난 후 좋은데 취직하고 퇴사하세요.
그리고 그 교수 다시는 처다도 보지마세요.
학위는 받고 도망가는게 제일 좋습니다.
어차피 의리고 뭐고 남은건 없으니까요.
회사를 퇴사하는건 정말 아무것도 아닙니다.
그냥 통보하고 퇴사하면 됩니다. 법젝으로 아무 문제도 없으니까요.
박사과정 진학, 지도교수님 자회사 안간다니 팽하는 교수님
26
- 컨셉인가? 니들이 뽑지 말든가. 정출연이 뭐라고 분야맞고 실적 좋음 뽑는거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9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8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9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2
대학원 연구실 선택에 고민이 많으신 분들께
2022.04.07
5
6771

지금은 그래도 과학에 확신을 얻었습니다. 과학이 너무 재밌고, 연구실 생활이 행복합니다. 이런 사람의 관점에서 연구실 및 분야 선택에 대한 제 관점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1. 학교 vs 교수님
이상적으로는 좋은 학교의 좋은 교수님이 계시다면 좋겠지만, 능력여하를 떠나 fit이 맞지 않서라도 조인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교수님 입장에서도 어쩔 수 없이 학생들을 거를 수 밖에 없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집니다. (저희도 그게 참 고민입니다)
하지만 좋은 학교가 아니면 좋은 교수님께서 하실 수 있는 일에 한계가 있는 것도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recruiting 할 때 보통 자대생들에게 visibility를 확보할 가능성이 크니, 학부 인재 풀의 퀄리티는 중요합니다. 펀딩을 딸 때도 학교 이름이 유명하면 기회가 주어질 가능성이 있겠죠. 결국 Trade-off에 대해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고민을 해야 한다는, 뻔한 얘기입니다.
저의 경우를 공유하면 SPK를 가고 싶어도 못간 케이스인데 ㅎㅎ 다만 제가 가서 돋보이지 않는 이상 나에게 좋은 기회가 올 확률은 희박하고, 솔직히 서류 합격할 자신도 없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나름 만든 criteria는 대학원이 활성화 된 학교들 중에서 존경할 수 있는 교수님께 배우자, 그리고 아마 tenure 안받으시면 목줄 잡고 논문 같이 써주시겠지 (...), 조교수 위주로 컨택 해보자, 하는 나이브한 criteria 로 결정했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보면 Criteria 자체는 좀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 결정을 후회하지 않습니다. 존경할 수 있는 교수님과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행복한 대학원 생활을 하는 경우는 많지 않잖아요.
결정은 자기 가치관으로 하는 것인데, 과학자가 되고 싶으시다면 학교 이름을 한번 빼보고 여기 가보면 어떨까 생각 한번 해보는 것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이렇게 결정하라는 것은 아니지만, 이렇게 생각해 볼 필요는 있다는... 뭐 그런 얘기입니다.)
2. 분야 vs 교수님
많이 하는 얘기이긴 한데, 교수님은 참 좋은데 분야가 쫌... 이런 생각을 할 수 있고, 저도 고민을 진짜 많이 했습니다.
지금 제 생각은, 역시 과학자로서 생각하면 고민이 더 쉬워진다고 봅니다. 왜 과학을 하지, 이런 생각을 해보면 내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과학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그게 뚜렷하지 않은 경우도 있겠죠. (솔직히 전 뚜렷하지 않아 본 적이 없어서 그런 경우는 대학원을 왜 쓰는지를 잘 모릅니다... ㅈㅅ)
저의 경우에는 과학의 문제까진 아니어도 방향성 정도는 갖고 컨택을 했는데, 학점이 안좋아서 다 까였습니다. 지금 랩은 솔직히 분야가 아예 안맞고 심지어 관련 과목도 하나도 안들었는데, 교수님께서 감사하게 받아주신 후 제 방향을 지원해 주시고, 제 방향성을 어떻게 이 분야에 붙일까 하는 고민을 함께 나누었습니다. 그 결과로 저희 분야 탑컨퍼 한편을 석사과정 때 쓸 수 있었습니다. (진심 영광이었죠...)
분야가 맞나요? 라는 질문은 사실 교수님께 여쭤보시면 딱 답을 주실거라고 봅니다. 분야마다 일을 벌리는걸 좋아하는 분야가 있고, 정해진 문제를 아주 잘 풀기 위해 노력하는 분야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양쪽이 다 필요하고, 각각의 가치가 있고, 모두 과학입니다. 특히 전자의 경우 과학의 의심을 받는 경우가 많은데, 과학사에 보면 그런 의심을 통해 쭉정이가 걸러지고 어떤 새로운 학문이 많았으니까요. 그 도전들은 건강합니다.
즉, 이건 학생도 고민을 많이 해봐야겠지만, 그 고민을 갖고 컨택할 교수님께 가서 여쭤보세요. 그리고 돌아온 답이 acceptable하면 그때 고민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동료들 vs 교수님
교수님도 중요하지만 동료들이 진짜 중요합니다. 같이 discussion 하고, 밥 먹고 등등 시간을 같이 보내는 건 대부분 동료들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건 안타깝지만 동료들의 손을 들 수 밖에 없습니다. 아무리 교수님이 좋은 분이셔도, 바쁘셔서 시간을 못내주시면 얻어가는 것에 한계가 생깁니다. 또한, 교수의 본질을 교육자와 연구자로 나눠서 생각해봤을 때, 교수님께서 좋은 연구자이셨을 수 있지만, 좋은 교육자인 것은 또 다른 전문성과 문제더라구요. 좋은 교육자셔야 좋은 동료들을 뽑고 키우실 수 있고, 그래야 교육의 효율이 올라갑니다.
저의 경우에는 이 측면에서 매우 만족합니다. 저희 연구실 사람들, 진짜 좋고요. 특히 교수님은 항상 동료의식을 강조하십니다. 나는 앞서 있는 것이지, 신이 아니고 advisor이자 너네 선배니까, 내 얘기가 틀렸으면 얘기해달라고 하십니다. 이런 문화를 만들기 위해 저희 랩에는 랩장이 없고, 단체 랩미팅은 공유를 위한 자리이지, 기본적으로 1:1 미팅을 가지고 교수님과 논리를 갖고 싸우고 설득시키고 납득당하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즉, 저희 연구실에서 교수님도 동료십니다. 그래서 너무 든든합니다.
물론 이것도 모든 분야와 모든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잘 압니다. 다만 저는 제 상황 밖에 모르다보니, 제 상황에서는 이런 부분이 만족스럽습니다, 정도의 얘기만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외에는 커뮤니티에 다양한 의견들이 있으니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
4. 결론
저희 랩에 아직 박사 졸업생들이 없어서, 미래가 어떻게 될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확실한 것은, 저희 연구실 생활이 쉽진 않은데, 최소한 저는 행복합니다. 내가 빌런인가...? 생각해봤는데, 남이사, 여튼 저는 좋아요. 그리고 저희 교수님께서 채용공고를 페북에 올리시니 안시켜도 알아서 다 공유하는걸 보면 뭔가 여기서 배워갈게 있다고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꼭 좋은 학교의 좋은 연구실 가시길 바랍니다. 저는 인생이 행복합니다.
p.s.
막간의 광고인데, 저희 랩에서 석사과정과 postdoc 연구원을 1-2명 채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좋은 포스닥 분들 기다립니다... 많이 배우고 싶습니다. 논문 재밌는거 쓸거 많아요!)
교수님 채용공고를 여기다 복붙했다가 어떤 문제가 있을지 잘 모르겠어서, 제 메일 (jaewon-choi@yonsei.ac.kr) 로 연락을 주시면 구체적인 연구실 정보를 reply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저희의 연구 분야는 EE/CS에 걸쳐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 얘기하면 임베디드 시스템과 모바일 컴퓨팅, Human Computer Interaction 에 관심이 많습니다.
제가 예전에 썼던 김박사넷 글 두개도 공유합니다.
- "연구자로 살길 잘했다.": https://phdkim.net/board/free/20963/
- "임팩트 포럼에 올라간 "연구자로 살길 잘했다" 라는 글을 썼던 사람입니다. 대략 어떻게 살고 있는지 근황 전합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28893/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70
14
12432
김GPT
대학원 생활을 시작하시는 분들께15
4
1806
김GPT
연구실 선택 시 중요한건..0
7
2737
김GPT
연구실 선택0
6
1267
-
2
12
2644
김GPT
연구실 선택할때 중요하게 보는 것1
7
1368
-
0
6
1312
김GPT
대학원 진학 관련 고민0
3
3424
김GPT
대학원 랩실 선택 고민0
5
1106
명예의전당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195
36
77614
명예의전당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209
35
44323
명예의전당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117
27
75698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70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0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1
- 서울대나 카이스트 AI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20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4.07
대댓글 3개
2022.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