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학부 대학교 나고야대학 (한일공동국비유학생) → 일본에서 학부 과정을 밟은 케이스로, 국제적인 경험이 지원 시 차별화 요소가 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B. 전공, 학점 화학생명공학 전공 / GPA 3.69 (4.3 만점 기준) → 카이스트 바뇌과는 생명과학뿐 아니라 공학적 배경도 중요시하기 때문에, 화생공 전공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 같습니다. GPA도 안정적인 편이었고요.
C. 스펙 (어학점수, 인턴, 대외활동 등)
토익 910
학부 4학년 때 1년간 학부연구생 활동
대외활동 및 자격증은 없음 → 어학점수는 기본적인 커트라인을 넘겼고, 실질적인 스펙은 학부연구생 경험이 핵심이었습니다. 실험실 경험이 실제 면접에서도 많은 질문으로 이어졌습니다.
D. 면접 후기 (기출 포함)
이수한 과목 관련 전공 지식 질문
학부연구생 당시 어떤 연구를 했는지, 본인의 역할과 이해도 중심으로 질문 → 준비 없이 나가면 대답하기 어려운 질문들이 많았습니다. 자신이 들은 과목을 복습하고, 연구 주제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E. 대학원을 준비하는 후배들을 위한 조언 미리 컨택하고 인턴을 하는 것이 정말 큰 도움이 됩니다. → 연구실 분위기와 연구 주제를 미리 파악할 수 있고, 교수님과의 관계 형성이 자연스러워집니다. 특히 학부연구생이나 인턴 경험은 면접에서 할 이야기를 만들어주기 때문에 적극 추천합니다.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