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올해 한국에서 언론기사로 나오더군요.
노벨상 수상자 평균 연구기간 32년이라고... 그 기사가 말하고자 하는 요지는..
1. 30년 이상 같은 주제에 매달릴 수 있는 근성이 필요
2. 30년 이상 같은 주제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환경 조성 및 연구비 지원이 되지 않는 한국 학계 비판
(한국의 대학이나 정부는 무조건 3년~5년 안에 실적을 낼 수 있는 연구만 한다고)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4 - 학생때 내는 논문이 임용에 영향이 없으면 임용에서 뭘 보고 판단할까요 ㅎㅎ
글쓴이분의 마음도 이해가 됩니다. 아마 학생들의 경우에는 여러가지 프로젝트 상황이나 졸업상황으로 인해서 목표한 바 보다 낮은저널에 투고하기도 하죠. 하지만 이건 PI의 경우에도 매한가지입니다. 나중에 본인이 PI가 되셔도 여러가지 상황의 압박을 받기 쉽습니다.
근데 저도 학위받고 PI의 자리가 되면서(아직 주니어 of 주니어 수준이지만) 여러저널을 써보고 느낀게, 좋은 저널이라고 좋은 연구인것도 아니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라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오히려 윗분과 반대로 학생신분이기에 임용이든 일자리를 얻을때 좋은저널의 출판이 크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됩니다. 저도 그래서 박사/포닥때는 저를 포장할수있도록 좋은저널에 내려고 노력했고요.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14 - 교수가 떠먹여주는 케이스를 제외하면 결국 논문의 기여도를 고민해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처음논문쓸때는 단순히 흥미로 시작하거나 또는 내가 처음해봤다 정도가 기여도라고 생각했습니다. 마치 A라는 주제가 핫한데 A를 B라는 방식으로 해봤다가 큰 기여도라고 생각했죠.
논문을 많이 쓰다보니 결국 에디터든 리뷰어에게 이 연구가 왜 필요한지 설득하는게 얼마나 중요한지 깨닫게됩니다. 특히나 탑저널을 목표하면 더더욱에요. 즉, A를 B방식으로 해봤다는 설득력이 부족하고, 오히려 "A를 C에 사용하는게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B방식으로 할수 밖에 없다"라는 설득이 필요하죠.
많은 연구자들과 이야기해보면 아무리 시니어 교수님도 이런 생각을 안하시는분들이 전세계적으로 정말 많습니다. 그렇기에 논문이 대체로 " 나 이거 해봤어!" 정도에 머물러져있는거죠. 저보다 더 좋은논문 많이쓰신분들도 많으시겠지만, 학생들이면 이런점들을 고민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물론 제가 틀릴수도 있으며 분야마다 상이할겁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0 - 제 후배들이나 제 제자들(제 커리어상 아직 다들 시작하는 단계지만)에게 항상 말하는게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충분히 고민해보라는 점입니다. 당연히 모두들 연구들을 보면서 survey는 잘해옵니다. 하지만 많은경우 survey 해보니까 이거 아무도안해서 해볼래요! 라는 학생들(아무리 고년차여도)이 의외로 많습니다. 저또한 그랬고요. 본인 나름에는 이거하면 이런점이 좋을것같아요 라고 하지만 들어보면 설득력이 부족한경우가 대다수입니다.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서 상대방(지도교수)에게 연구의 중요성과 해야되는 이유를 설득시키는건 정말 중요합니다. 그 분야를 잘아는 지도교수조차 설득못하면 분야도 잘모르면서 몇분읽고 리젝션 결정하는 에디터들을 설득하는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의외로 학생들은 introduction/abstract은 그냥 요약본이라고 생각하는데, 사실 논문을 많이써도 가장 쓰기힘든부분이 abstract/introduction입니다. 이 짧은 문단을통해서 연구가 왜 필요한지가 확실히 드러나야 됩니다. 오히려 가장 쓰기쉬운곳이 본문입니다.
아무리 연구의 깊이가 깊어도, 원론적으로 이연구의 필요성을 상대방을 설득 못시키면 말짱도로묵입니다. 저또한 리뷰어/에디터로 참여하면서 가장 많이 쓰는 코멘트가 "연구 잘했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잘드러나지않다" 라는점이고요. 잘 고민해보시고 다들 좋은연구 많이하시길 기원합니다.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8 - 여기더기서 정보들을 종합해서 결정하는 거죠. 님은 되게 피곤한 스타일이신 듯 ㅋ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21 - 뭘 붙어요 붙긴. 철학이 무슨 결투의 장이라도 되나보죠 ? 의미도 없는 말싸움에서 이기면 자신이 무슨 대단한 인물이라도 되는 줄 아나봄. 제발들 진짜 철학을 하세요. 어짜피 금방 무너질 자존감 세우는 도구로 철학을 이용하지 말구요.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8 - 저는 인정 못 하겠습니다.
건동홍보다 더 낮은 지방 국립대 대학원 4학기차입니다.
좋은 지도교수님 아래에서 학부연구생 포함 거의 3년간
JCR Q1 1저자 2편, 공저자 2편 작성하고 같은 연구실에서 박사 진학 예정입니다.
각자 하기 나름, 능력 나름이라고 생각합니다.
높은 대학교만 가면 좋은 주변환경에서 본인이 무조건 실적이 잘 나올 거라고 생각 하시는 거면 오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을 다 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33 - 그래서 전 항상 빠따를 들고 다닙니다.
선배나 교수가 모른다고 뭐라하면 넌 빠따맛을 모르냐고 내려치고,
안다고 뭐라하면 빠따치는법도 안다고 내려칩니다.
그렇게 선배들과 지도교수를 병원으로 보내고 병원비와 합의금으로 집도 잃고 차도 잃었지만 후회는 없습니다.
저에겐 아직 빠따가 남아있거든요.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20 - Gpt 나오기 이전부터 이미 내 분야 논문은 피겨만 보고 내용 다 파악하는 수준이었어서 논문읽는데 gpt 안씀. 정독 필요하면 피겨 훑은 후에 정독함. 그래도 얼마 안걸림.
논문읽는데 gpt쓰는사람들 보면 한심함. 그런사람들은 평생 gpt없이는 논문 못읽는 수준에 그치는거임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8 - Gpt로 논문 읽는사람 보면 마치 한 자릿수 덧셈도 암산이 안돼서 계산기 쓰는 사람 보는 심정임.
물론 gpt좋고 효율적이지. 근데 gpt 없이도 혼자 해결가능한 수준에 오르고 나서 gpt 쓰는게 의미가 있는거지.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3 - 피인용수 20,000회 넘는 우리 교수님도 gpt로 한번 요약하고 읽으시는데... 취향은 있지만 한심하다고 할 정도인가요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21 - 교수님들은 지잡대 교수님들도 다 훌륭하신 분들입니다.. 결국 학생들 수준이 교수님과 연구실의 평가를 정하게되는거죠.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8 - 숭실대 다니시나보네요 ㅎㅎ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8
중졸입니다...
2025.11.03

리눅스 커널&운영체제 개론 (1)
http://www.hackerschool.org/HS_Boards/zboard.php?id=Free_Lectures&no=8614 [복사]
리눅스 커널은 핀란드 헬싱키 대학에서 전산학을 전공하던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발즈가 1991년 8월 26일 리눅스 0.0.1을 개발한 것으로 시작된다.
리눅스 커널은 모놀리식 커널이며 커널의 기능이 대부분 단일 메모리 공간에서 작업된다는 뜻이다.
이러한 커널 모듈을 작성하는 것을 모듈 프로그래밍이라고 한다.
[소프트웨어에 가까움]
애플리케이션
커널 (운영체제)
CPU Memory Devices
[하드웨어에 가까움]
애플리케이션단에서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무언가 통신하며 제어하는 매체가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커널이다.
커널은 운영체제, Operating System이라고 불리우며
OS라고 부르기도 한다.
보통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32비트와 64비트를 언급하는데
특히 CPU를 구입할 때 64비트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x86? x64?
짧게 말하면, x86은 인텔 CPU 모델명 끝자리 “86”에서 온 말이다.
1978년 인텔이 8086(16비트)을 내놨고,
뒤이어 80186 → 80286 → 80386 → 80486처럼 세대가 이어졌다.
사람들끼리 이 계열을 묶어 “8×86” → x86이라 부르기 시작한 것이다.
486 다음 세대(사람들이 농담으로 “80586”이라 부르던 것)는
인텔이 숫자 대신 Pentium이란 상표를 쓰면서도 명칭은 계속 x86로 굳어졌다.
숫자는 바뀌었지만 명령어 집합(ISA) 호환이 이어졌기 때문에...
오늘날 용어를 맵핑하자면...
IA-32 = 32비트 x86
x86-64 / AMD64 = AMD가 확장한 64비트 x86(인텔은 Intel 64라고 부름)
즉, 모델명이 86으로 끝나던 인텔 8086 계열 CPU의
호환 ISA 전체를 가리키는 관습적 이름이 x86이다.
한마디로 말해서 x86은 86비트가 아니다.
32비트인데 86이 붙는 건 예전에 인텔에서 32비트 CPU를 출시할 때
80586이런 식으로 모델명을 붙였기 때문이다.
p.s. 예전에 학창시절 공부를 꼴지하던 애가 있었는데
그놈이 성인이 되어서 내 앞에서 x86을 보고 86비트라고 말한 적이 있었다.
64비트보다 86비트가 더 숫자가 높아서 성능이 좋다며 64비트 CPU를 사용하는
내 컴퓨터에 32비트(x86) 윈도우7을 설치한 전설이... -_-;;
백신을 깔아놨냐고 하니깐 나는 안 깐다고 하니깐
나보고 백신도 안 깔아놨냐며 너 바이러스 먹으면 어쩌냐느니 뭐라 하던데...
알약이 어쩌고 V3가 어쩌고 해서 우리집에 백신을 깔아놓고 간 전설이...
올리디버거로 크랙미 같은거 문제풀 때 백신이 자꾸 걸려가지고
백신을 설치하지 않은 거였는데...;;
리눅스에서 한번 필자의 자료형 크기를 확인해보자.
┌─[ka0r1@parrot]─[~]
└──╼ $cat test.c
#include <stdio.h>
#include <inttypes.h>
int main(void)
{
printf("sizeof(void*)=%zu\n", sizeof(void*));
printf("sizeof(int)=%zu, long=%zu, size_t=%zu\n",
sizeof(int), sizeof(long), sizeof(size_t));
return 0;
}
┌─[ka0r1@parrot]─[~]
└──╼ $./test
sizeof(void*)=8
sizeof(int)=4, long=8, size_t=8
┌─[ka0r1@parrot]─[~]
└──╼ $
32비트의 물리/가상 주소...
32비트 커널도 PAE로 물리 메모리 4GB 넘게 다룰 수 있지만
프로세스 가상 주소 공간은 여전히 4GB 한계가 일반적이다.
64비트는 훨씬 큰 가상 주소 공간(보통 수십 테라)으로 대형 힙/매핑이 쉬워짐.
자세하게 따지자면
이진수 십진수
0 0
1 1
10 2
11 3
100 4
101 5
110 6
111 7
1000 8
디지털이 0과 1로 이루어진다고 말하는데 이게 정확히 무슨 뜻일까?
이것은 0은 거짓(존재하지 않음), 1은 참(존재)라는 것이다.
이 존재란 것은?
이진수 110은? 메모리상에서 전기가 있다, 전기가 있다, 전기가 없다
이런식으로 저장이 되는 것이다.
┌─[ka0r1@parrot]─[~]
└──╼ $gcc -O0 -g -fno-pie -no-pie test.c -o test
┌─[ka0r1@parrot]─[~]
└──╼ $objdump -D -M intel --show-raw-insn test
.
.
.
0000000000400358 <.note.gnu.build-id>:
400358: 04 00 add al,0x0
40035a: 00 00 add BYTE PTR [rax],al
40035c: 14 00 adc al,0x0
40035e: 00 00 add BYTE PTR [rax],al
400360: 03 00 add eax,DWORD PTR [rax]
400362: 00 00 add BYTE PTR [rax],al
400364: 47 rex.RXB
400365: 4e 55 rex.WRX push rbp
400367: 00 20 add BYTE PTR [rax],ah
400369: 64 94 fs xchg esp,eax
40036b: 70 2e jo 40039b <__abi_tag+0x1f>
40036d: 03 aa 33 fa 94 3b add ebp,DWORD PTR [rdx+0x3b94fa33]
400373: c6 (bad)
400374: be 1d 8c 21 ec mov esi,0xec218c1d
400379: 5a pop rdx
40037a: a2 .byte 0xa2
40037b: c8 .byte 0xc8
.
.
.
맨 위에...
04 00
04를 0100 0000이며
하드디스크라는 저장장치에 프로그램이 실행하면 주기억장치 메모리에
0100 0000(전기가 없다, 전기가 있다, 전기가 없다, 전기가 없다,
전기가 없다, 전기가 없다, 전기가 없다, 전기가 없다)
이런 식으로 메모리에 저장되며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CPU가
메모리의 데이터(근본적으로 디지털 전기신호)를 레지스터 안에 로드해서
결국 중앙처리장치(CPU)가 처리하는 것이다.
존경하는 연구자 분들께 드리는 질문 김GPT 14 20 3251
진로 고민... 시스템 아키텍처 김GPT 4 9 10740
CVPR 수준은 못 볼꼴로 떨어짐 김GPT 1 22 3427
컴공과 랩실 이게 현실인가요? 김GPT 0 8 3577-
2 7 7515
한국 양자 컴퓨터 기술 수준 ㅋㅋㅋㅋ 김GPT 48 25 65246-
1 7 2802 -
0 33 6220 -
32 8 9244 -
138 36 108888
내가 생각하는 학생들의 역할 명예의전당 216 33 26833-
136 25 1542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1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1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5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1 - Yk>>>>>>>>>>>>>ist임
14 -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5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22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0 - 철학자 α노의 절대 반박 가능한 논리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7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5 - 후배 공동1저자 버스탑승하는게 배아픕니다
10 - 현실적으로 광명상가 cs 라인에서 kaist ai
12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8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7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6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2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7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8 - 다들 애다 애 ㅋㅋㅋㅋㅋㅋㅋ
168 - 대학원은 학벌로 안쳐준다는말 1도 이해안감
51 - 철학자ABCD고머고 왜어그로가끌리는거죵???🤔🤔🤔🤔
21 - 논문은 근성80% 지성15% 운5%라고 생각
15 - 학벌주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있음
21 - 우물안 개구리들이 되지 마세요.
15 - 교수님 설득으로 저널 약간 낮춰서 냈다가...
21 - Yk>>>>>>>>>>>>>ist임
14 - 이 교수님 연구실로 석사 진학해도 괜찮을까요?
5 - 아직 학부연구생인데 박사가 아른아른거리네요
17 - 1년전 석사과정 중 랩실 때문에 죽고 싶다는 글을 썼었습니다
22 - 김박사넷 대학원생 박사학위 수여식.jpg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유
30 - 컨텍 메일 답변이 어느정도 긍정적인건가요?
8 - 진짜 철학자랑 1대1로 붙으실분?
17 - 미국 아이비리그 합격 가능성 있을까요? (서강대졸/대기업4년차)
25 - 낮은대학 자대 진학하면 안되는 이유
18 - GPT 이후로 논문 읽을 때 어떻게 읽으세요?
17 - 모르면 모른다고 알면 안다고 ㅈㄹ
6 - 숭국세단 라인인데 교수님들 좋아요
12 - 지스트/유니스트 인기랩실 vs 포항공대 비인기 랩실
7 - 중졸이에요... ㅜㅜ
11 - 대학원생의 연애와 결혼은?
7 - 지거국 , ust 중 진학고민이라면 여러분들은 어딜 가실 것 같으세요(생명)
6 - 티오 구두 확정 후 최종 탈락
12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