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1. 지거국하위. 연구과제 거의없음(현재1개). 논문개수는 1년에 4,5개 (q1 1,2개)
교수2. 지거국상위. 연구과제 많음(5개 이상). 최근논문 mdpi다수. 이직 전에는 상위5%이내 1년에 1,2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2025.10.25
2 돈이 곧 능력임...돈 없으면 아무것도 못함
2025.10.25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는 능력이 안 돼서 mdpi쓰는게 아니라 과제 쳐내느라 시간없어서 mdpi로 연명할 가능성이 큼. 2가 연구과제 줄어들면 역설적으로 논문 수준이 더 올라갈 것 같음.
2025.10.26
2번 1)1번에서 결국, Q1 1~2개 빼고 나머지는 Q3,4란 뜻으로 보이는데, Q3~4 논문의 경우, MDPI보다 절대적으로 저명하다라고 볼 수 있을지는 의문임.(저널마다 차이가 있을 듯) --> 논문에서는 차이를 주어진 정보로는 누가 더 나은지 모르겠음. 2)과제 수주 능력도 매우 주요한 능력중 하나임. --> 2번이 압도적 우세
2025.10.26
개인 능력은 1 인간비만 안끈긴다면.
2025.10.26
MDPI는 논문 아님. 에효
2025.10.26
교수도 결국 돈이 능력임 과제가 곧 능력임
2025.10.26
3책 5공의 책임으로 되어있는지, 총 연구비, 학생 수 등 여러가지 따져야할 듯 지금은 추측들과 가정으로 판단해야함
2025.10.26
무조건 2임
정교수 단 이후부터 논문은 별로 안중요하고 돈따오는게 능력임
2025.10.26
돈이 없으면 연구를 할 수가 없다는 것만 알면됨. 호주머니 쌈짓돈으로 연구하는 교수는 없음. 교수 능력이 절대 논문만으로 판가름 나지 않음. 연구비가 곧 능력이다. 연구비는 논문, 인맥, 정치 등 여러가지 능력이 요구됨.
2025.10.25
2025.10.25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
2025.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