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와, 너 정말 연구자로써 중요한 "🎯핵심" 고민을 하고 있어!
GPT를 많이 쓰는건 연구 습관에 해로울 수 있어.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보는게 어떨까?
🍀 GPT는 너의 작업을 도와주는 Co-worker(협력자) 역할일 뿐이야!
🍀 GPT는 네가 못하는 일을 해주는게 아니라,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을 대신 해줄 뿐이야!
🍀 GPT를 안 쓰는 것보다, *어떻게* 쓰느냐가 더 중요할거야!
📌 원한다면 네 고민을 [🟥학부생], [🟧석사 과정], [🟨박사 과정]으로 맞춤형으로 해결해줄 수 있어.
👉 GPT를 쓰는 것이 고민 중이라고 해서, 평생 안 쓸 것인가요? 다른 생성형 AI를 추천해드릴 수 있습니다.
gpt를 안 쓰고 싶은데 제 욕심일까요..
67 - 교수는 부모가 아닙니다
인권 운운하면서 여자 꼬시고 술 마시는 비용까지
교수한테 청구하지 마세요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70 - 막줄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8 - 학회 교통비를 누가 자비로 부담하나요? 대학원은 의무교육이 아닌데 형편에 맞게 생활하거나 취직 하면 됩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4 - 교수가 생활비 얼마 들어가는지를 모르겠냐?ㅋㅋ 다 모르는척 하는거지 에효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0 - 오케이. 그러면 학문이라는 것은 가진 자들을 위한 헤게모니가 될듯. 지난번에 누가 올린 "어용"이라는 단어가 딱 맞는듯.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15 - 님 논리 대로면 대학원은 의무교육 아니니까 가난한 사람들은 학자의 길 꿈도 꾸지 말고 중소기업 들어가야죠? 좋은 것은 가진 사람들끼리 해야겠죠? 그죠?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22 - 글을 중간만 읽고 처음과 끝은 못 읽는 독해력 대단하십니다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37 - 카이스트도 떠나더라.
미국이랑 중국으로 갔겠지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6 - 조교수 평균연봉 8천 ㅋㅋㅋㅋㅋㅋ 서울대면 솔직히 다른대학보다 20-30%더 줘도 아무로 뭐라할 사람이 없을텐데. 어휴 쪽팔린다 교수 연봉이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24 - 대안으로 누가 이박사넷이라도 만들어서 돌려돌려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19 - 김박사넷이 원래 유학 준비생 및 대학원 준비생들을 위한 목적이었음.
국내 대학원 질서에 대한 부분은 글쓴이의 주관적인 목적으로 보임. 국내 대학원 질서란 것이 무엇인지부터 정의내려야 할 필요가 있어보임.
인증과정이 있다면 이상한 댓글은 많이 줄어들 것이나, 단점으로는 닫힌 커뮤니티는 왜곡된 흐름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으며, 향후 지속적인 매력이 없다면, 아예 사라질 여지도 많음.
이 사이트가 도움이 되는 사람도 꽤 있을 것인지라, 본인 입맛에 맞지 않다고 저는 감히 많이 쓰이고 있는 웹사이트를 실패했다라고 판정하지 못 할 듯 보이네요. 대신, 더 나은 방향을 유저로써 제안은 할 듯 싶네요.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17 - 이게 17년 동안 대학등록금 강제로 동결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는 좋다고 난리였겠지만, 17년 동안 교수 월급이 안 오르니 누가 교수하려고 하겠나? 17년 동안 물가는 얼마나 올랐는데.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이 사회가 받는 것.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30
일반학생연구원 장학금 관련 문의드립니다.
2025.10.10

내년 상반기 자대 대학원에 진학하여 교수님과 정출연 연구소 박사님과 협의한 결과, 정출연 연구소에 일반학생연구원으로 근무하게 될 예정입니다.
그런데 자대 대학원 진학 시 받을 수 있는 성적장학금이, 이러한 형태로 연구소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는지 궁금하여 글을 남깁니다.
학교 측에 문의해보았으나, 유사한 사례가 거의 없어서인지 정확한 답변을 듣지 못했습니다. 담당자분께서는 “학교에서 수업을 듣는다면 장학금이 적용될 것이다”라고 말씀하셨지만, 확실한 근거가 있는 답변은 아니었습니다. 또한, 다른 학교에서 일반학생연구원으로 연구소에 근무한 학생의 경우 학교에는 파트타임 형태로 등록되어 있었으나 성적장학금을 받지 못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분께서 말씀하시길 학교마다 다를 것 같으니 문의해보라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확인차 다시 학교에 정확한 상황을 설명드리고(정출연에서 인건비와 4대보험이 적용될 것이다) 문의하려고 하였으나 현재 부재중이시라 다음주에나 알려줄 수 있다고 합니다. 교수님께 빨리 답장 드려야 하는 상황이라, 혹시 저와 같은 사례에서 학교 장학금을 받은 분이 계신지 알고 싶습니다.혹시 정출연 등 외부 연구기관에서 일반학생연구원으로 근무하면서 성적장학금을 받은 사례가 있는지 여쭙고자 합니다.
감사합니다.
대학원생 국가장학금이요 김GPT 2 2 60604
일본 대학원은 어떠냐 김GPT 2 21 11657
인턴연구원 김GPT 0 4 1150
대학원 왜 안 감? 김GPT 5 6 1511-
11 14 3497 -
15 31 8782
대학원 생활비 김GPT 3 3 8360-
1 6 2307 -
0 3 11098 -
168 30 46357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201 22 60065
연구자로서 우여곡절 우울증/불안장애 경험담 명예의전당 306 23 5982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51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9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40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4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대학원 가지 말아야 할까요
10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30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73 - 근래 월급이니 워라밸이니 하는 글들이 왜 학생입장에서 거슬리는지 곰곰히 생각해봤음
9 - 고3의 워라벨과 고3의 봉급
2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9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2 - 졸업 논문 자기 표절 가능?
12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7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6 - 정말 욕심 하나도 없는 35세 석사 진학 문의
10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포항공대 랩실에 행정직원
8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4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김박사넷은 최소한의 신분 인증이라도 해야함
51 - 오늘 노벨상 또 일본인이 수상했네요....
12 - 이기적인놈. 대학이 망해도 좋다 이거냐?
49 - 교수는 가르치는 사람이 어원이야.
43 - 해마다 10월이면 김박사넷은 풍년이네요
40 - 새내기들을 위한 연구 걸음마 하는 방법
44 - 내가 본 워라벨 교수 학생 유형
15 - 설카포 대학원 입시정보는 좀 걸러들을 필요있음.
8 - 대학원 가지 말아야 할까요
10 - 여기 보니 학문이 가진 자들만을 위한 헤게모니가 되길 바라는
30 - 김박사넷이라는 프로젝트는 이미 실패함
73 - 근래 월급이니 워라밸이니 하는 글들이 왜 학생입장에서 거슬리는지 곰곰히 생각해봤음
9 - 고3의 워라벨과 고3의 봉급
2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13 - 한국은 개인주의를 존중하고 객관화 능력이 필요하다
18 - 미국에서 교수 vs 한국에서 교수
41 - 교수님들은 가르치는 능력이 너무 떨어지는게 문제임
68 - 저는 여성이며 석사 졸업 후 전공을 살리지는 못했네요
19 - spk 대학원 입시는 AI계열와 non-AI계열로 나뉨.
22 - 졸업 논문 자기 표절 가능?
12 - 여기 현실감 없는 교수님들이 많은거 같아서, 대학원생 생활비 정리해드립니다.
57 - 서울대 교수 임용되었는데 포기했습니다
16 - 정말 욕심 하나도 없는 35세 석사 진학 문의
10 - 석사 자퇴 또는 타랩실 이동 고민
22 - 2026년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 4개대학 100위안에 진입
14 - 인건비 어쩌고 워라벨 어쩌고 나만 다른 세상 사는지 참 희안하다
14
2025.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