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1 - 위에 사람들 말 너무 믿지는 마셈. 자기가 못갔다고해서 남들도 못가는건 아닌데 일단 무조건 안됀다는 사람이 많은거같아요 ㅋㅋㅋㅋ
일단 장기적으로 보면 충분히 가능하고 설계를 잘하셔야되요. 분야가 데싸면 박사진학시 연구실적이랑 추천서가 가장 중요할건데 (인더스트리 경력은 플러스, 요즘은 긍정적으로 많이 봐요) 그걸 최고로 뽑아낼수있는 석사를 가시는게 가장 중요해요. 탑티어 논문은 머스트고요. 미국 석사는 생각해보셨나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3 - 헉.. 아직 본인과 경쟁자들이 객관화 안되신것같네요.. 경쟁자들은 MIT, stanford, caltech, … 미국 최우수 대학 관련학과 출신 + 연구경험 다수. 그중 못뽑힌 사람들이 석사까지 관련학과에서 하고 다시 지원. 해외 탑 대학 괴물같은 지원자들 (skp, 칭화대, 동경대, IIT, 취리히공대…) 과 경쟁해야합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2 - 낙관적으로 말씀하신 교수님들이 악질이시네요 ㅋㅋㅋㅋㅋ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4 - 미박중인데 뭐든지 할라면 다 합니다. 시도해보는데에 왜 조소가 섞이는지 모르겠네요.
물론 연구실이 많은것도 있고 현재상황애 고민도 되겠지만, 짧게나마 말씀드리면 카이스트든 방통대느 미국에서 추천서 보는 입장에선 별 차이 없습니다. 추천서는 기관이름이 아니라 그 추천하는 개인을 보고 평가하는거라서요. 미국내에선 비슷한 분야들끼리 추천하면 서로서로 대충 알고 하겠지만, 웬만한 대가 아니면 한국에 계신분들의 추천서를 받아가도 미국에선 베이징대나 IIT의 아무개와 비슷하게 볼겁니다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2 - 이런글쓰면 이제 교수들 몰려와서 은혜를모르니 정신력이어쩌니 돈벌려고대학원왔느니 댓글담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34 - 석사로 그 정도면.. 평소에도 많이 스트레스 주셨는지 잘 생각해보세요. 보통 석사 졸업은 박사 졸업의 1/10 정도 스트레스입니다(물론 겪어보면 바쁘고 정말 힘듭니다 석사졸업도). 그래도 이별까지 고할정도면.. 남자친구분이 석사 이후 박사를 생각해서 이렇게 더이상 4~5년이나 더 지속할 수 없거나, 아니면 글쓴이 분에 대해 오래전부터 쌓여있던게 있었거나 둘 중 하나일 것 같은데요.
보통은 졸업 시즌이면 몇 달만 있으면 끝나는데, 안그래도 바쁘고 힘든데 이별까지 굳이 직접 하지 않죠 잘.. 보통 참고 졸업하자는 생각이 더 들꺼 같거든요..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10 - 저는 그리고 제 주변은 오히려 다르게 느낀것같습니다. 저는 카이스트 인기랩졸업했고 나와보니 탑스쿨(제 경우 t3)에 있어도 어차피 학생들이나 주변수준은 한국이나 고만고만합니다. 한국에서도 어차피 상향평준화 돼있다보니 눈에띄게 잘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잖아요.
여기도 매한가지고, 그냥 중국인들중 진짜 성실한 애들은 대단할정도로 열심히하네 수준이고 아주간혹 학부인턴들중 눈에띄는 친구들이 보이는것 같습니다. 한국에서 지도교수가 무능하다고 하셨는데 (진짜로 그럴수도있겠지만), 저는 예전 지도교수님도 매우 뛰어난 분이였다고 생각하기에 큰차이를 모르겠습니다.. 지금 교수는 오히려 저나 다른 포닥 (우리랩은 저포함 포닥이 두명)한테 학생들 풀로 맡겨서 알아서 잘하겟지 정도로 굴리고있고요.
미국에서 특히 대형랩/대가랩은 지도교수 얼굴보기도 힘들고 지도교수가 학생들 뭐하는지 모르는곳들도 상당히 많죠. 지금 겪으신 상황은 모르지만, 뭔가 한국은 못하고 반대로 미국은 너무 뛰어나다! 라는말을 하시는것같은데 제 경험에서는 달라서 공유해봅니다. 원래 저나 글쓴이분처럼 아예 서로다른 경험들을 공유하면 다른사람들이 일반화를 안할수도 잇겟고요~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17 - 저 서류 합격했습니다! 오후 5시에 발표했습니다!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10 - 여경, 여군, 여교사 등 다양한 표현이 있지만 어디가서 여교수, 여연구원은 못들어봤습니다.
여자라는 성별보다 연구라는 성과물이 더 중요하겠죠.
제가 존경하는 연구원중에 한분인 박은정 교수님은 40대에 박사학위 받으셨습니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여자라고 하도 안뽑아서 일정 비율은 뽑으라고 안전장치를 만들어둔건데, 이걸 여성이어서 가지는 가점이라고 생각하네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30 - 공정하게 경쟁이 안되니까 비율을 할당한게 맞으니 가점이 맞는데?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2 - 뭔..... 할당이라도 안하면 실력있어도 남자보다 안뽑아주니까 그렇지....; 불공정한 경쟁을 할당으로 공정하게 맞추는거라고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20
박사과정 QE 1저자 논문 3개로 디펜스 될까요?
2025.05.02

이번 학기에 QE를 봐야하는 상황인데, 뭔가 불안하고 자신이 없어서 선배님들의 객관적인 말씀을 들어보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지난 2년간 참여했던 연구들이 하나둘씩 마무리되어 1저자(공동저자 후순위)로 탑티어 저널(네이처/사이언스)을 포함해 2개가 섭밋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또한 추가로 1저자 논문이 이번학기가 끝나기 전에 하나 더 나올 예정입니다.
이러한 부분이 QE 발표 때, 지금까지 해온 연구, 지금 하고 있는 연구, 박사학위기간동안 하고싶은 연구에 대한 발표에 진정성을 얻어 심사위원분들의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학과 행정실의 data에 따르면 매년 10%의 학생들이 QE에 탈락(추가 기회 1번 더 있음)한다고 합니다만, 저희 연구실에서는 아직까지 QE 탈락 사례는 없으며, 교수님이 업계의 세계적인 대가(citation +70,000)이시기 때문에 충분히 도와주실거라는 근거없는 위로(?)의 말을 듣기는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서화된 저의 연구결과들이 심사위원들에게 QE를 패스할 만한 진정성을 보여줄 수 있을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선배님들의 고견에 미리 감사말씀 드립니다.
-
54 23 18183
30살 박사 시작 김GPT 8 46 6950-
16 39 6278 -
0 9 3312
어떻게 생각해야할까요? 김GPT 0 0 421-
1 4 1071 -
0 1 610
박사컨택 김GPT 0 2 338
박사 과정 랩 선택 김GPT 0 4 2642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40 104 80521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00 40 24488-
377 70 4810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97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15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14 - 노력이란 무엇일까?
36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7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27 - 이틀 전 올린 ‘정말 너무 힘이듭니다’ 게시글 댓글에 대해 써봅니다.
20 - 진심으로 과학계가 발전하길 바라면 정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거 같습니다
21 - 입학 거절했던 랩에 재컨택
4 - 한 시름 놓았네요... 행복해...
8 - 박사까지하고 싶었는데, 교수님 때문에 고민됩니다
5 - 너무 행복합니다
11 - ICML 게재 승인 논문 3천 편 시대에 대한 짤막한 소회
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50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44 - 한국 대학 영어강의에 대하여
12 - 가정형편이 좋지 못한 상황에 대학원 진학이 고민됩니다..
8 -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10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9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8 - 금전적 지원이 없는 자대 지방 랩으로의 석사 진학
8 - 서울대 전전 ㅇㅎㅈ 교수님 랩
5 - 우리나라에 논문 컨설팅을 빙자한 논문 대필 수준,,,
10 - 박사과정 QE 1저자 논문 3개로 디펜스 될까요?
5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97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115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14 - 노력이란 무엇일까?
36 - 지도교수님을 존경하는 분들이 부럽습니다.
17 - 논문이 계속 떨어진다~
27 - 이틀 전 올린 ‘정말 너무 힘이듭니다’ 게시글 댓글에 대해 써봅니다.
20 - 진심으로 과학계가 발전하길 바라면 정치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야만 하는거 같습니다
21 - 입학 거절했던 랩에 재컨택
4 - 한 시름 놓았네요... 행복해...
8 - 박사까지하고 싶었는데, 교수님 때문에 고민됩니다
5 - 너무 행복합니다
11 - ICML 게재 승인 논문 3천 편 시대에 대한 짤막한 소회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SCI 논문 2저자와 지거국 4점대 학점 컨택 실패
16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24 - 조지아텍/에모리 의공학이 그렇게 좋은가요?
10 - 공대 조기졸업 3.5/4.0 vs. 4년 3.8/4.0
15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44 - 한국 대학 영어강의에 대하여
12 - 석사 과정 남자친구와의 이별
10 - 미국 포닥... 서당개도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더만..
9 - 대통령과학장학금 (대장금)
8 - 금전적 지원이 없는 자대 지방 랩으로의 석사 진학
8 - 우리나라에 논문 컨설팅을 빙자한 논문 대필 수준,,,
10 - 여자 박사 졸업나이 33살 늦은걸까요
14 - Ai 논문 쓸 때 제일 잘 나온걸로 올려도 되나요?
9
2025.05.02
2025.05.02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