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4학년이지만 복수전공 기준 이제 3학년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제 전필 듣고 전선 시작하는 정도로 수준은 낮은데 졸업은 다가와가서 고민이 많아서 도움을 받고자 글을 올려봅니다.
복수전공을 하면서 컴퓨터 구조같은 시스템 아키텍처랑 수학을 좋아한다는 것을 확실히 알게되어서 그 중간 분야를 찾고 싶은데 애매하네요
정말 단순한 마인드로 AI(수학) 가속기(시스템 아키텍처) 분야를 결정했었는데, 디지털 회로에 가깝긴 하지만 AI 가속기 설계 과목을 수강하면서 뭔가 수학적인 내용이 많이 아쉽게 느껴지네요
새로 관심가는 분야를 찾다보니 AI 중에서도 AI Optimization(경량화, 양자화 같은 분야)가 그래도 컴퓨터 시스템적인 지식이 필요하면서 AI 이론이 밸런스있게 사용하는 것 같아서 NPU와 같은 ai 가속기 위에서 동작을 목적으로 한 ai 모델 경량화 분야쪽으로 가보고 싶은데 컴퓨터 시스템과 수학의 중간점이라는 측면에서 방향성이 맞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이 분야 연구하시는 분 계신다면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개
2025.04.14
핫한분야여서 분야선택은 좋고 수학을 적당히 사용하는것도 맞죠. 그냥 생각하시는것보다 한번 논문을 읽고 구현해보거나 구체적인 연구주제를 생각해보시는게 (논문 적는 느낌으로) 이 분야가 진정 재미있고 흥미있는지 정하는데 도움이 많이될꺼같아요.
2025.04.14
수학이 뭘 말하는 건가요? NPU/PIM 같은 가속기는 이공계 학부 1학년 수준 수학 지식(선형대수학, 확률통계기초, 미적분학 등) 정도만 필요하지 순수수학은 필요없어요
다만 학부 수학과 출신이신 분 보니까 수학에서 배우는 논리력, 사고력, 추론력이 연구에 도움은 되는 것 같네요 "순수수학의 수학적 지식" 이 해당 분야에 쓰일일은 거의 없을겁니다
대댓글 1개
2025.04.14
글 후반부 내용 참고 부탁드립니다. 수학과 수준까지는 바라지도 않고 수치해석분야처럼 수학적인 이론에(pure가 아닌 어플리케이션 이론이라도) 기반한 알고리즘을 짜고싶은데 NPU는 배경지식으로 쓰는거면 몰라도 실제로 알고리즘 구현하고 하는 데에서는 80퍼 이상이 디지털 회로가 더 중요하더군요 그래서 아예 인공지능으로 틀기에는 무리가 있어서 컴퓨터 아키텍처 적인 지식이 필요하면서도 어느정도 수학적인 추론이 많이 들어갈만한 분야로써 ai 모델 경량화 쪽 여쭤보고싶습니다
2025.04.14
2025.04.14
대댓글 1개
2025.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