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학점이 낮고 연구를 잘하는게 흔한 케이스는 아니지요?

2025.04.12

13

3889

펀더멘탈한 전공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연구를 제대로 수행하는 사람이 많이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실험 분야나 경험이 중요한 분야에서는 가능한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5.04.12

학부가 안좋은 사람이 연구 잘하는거보단 훨씬 흔한것 같습니다.
제가 그동안 봐온바에 따르면 (본인은 박사졸업한지 몇년됨)
학부가 SKPYK정도면 학점이 높지 않더라도 대부분 박사과정 중에 좋은 저널에 논문을 냈었고, 학점이 높지만 학부가 낮은 경우는 SKPYK에서 박사를 받더라도 박사과정 중에 좋은 저널에 논문을 못낸 경우가 대다수 였습니다.
전공 지식이 좀 부족해도 상관 없다고 느끼는게 연구 과정 중에 막힐때 파고들어서 공부하고 해결책을 찾아내기만 잘하면 된다고 봅니다. 일반적으로 학부가 높은 애들이 연구 과정 중에 파고드는건 잘하고 해결책을 잘 찾더군요. 학부가 낮은 경우는 일정수준까지 실력이 오른뒤 더이상 안오르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학점이 낮으면 전공 지식이 부족한게 사실인데, 학점이 높다고 반드시 전공 지식이 좋은건 아니라고 생각하는게 지방대의 경우 수업의 퀄리티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고, 단순 족보 암기로 학점 따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대댓글 4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4.12

어떤 요소가 바로 연구라는 행위에 1:1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머리가 나빠 보이는 사람이더라도 학점은 좋을 수 있구요.
어떤 학생은 연구를 잘한다. 라고 느껴도 학점이 안 좋은 경우도 있습니다.
학점과 연구가 귀결된다기 보다는, 어떤 업무(연구)를 스스로 알아서 해결하는 경우의 사람이 연구를 잘하는 것 같아요.

본인이 무엇을 모르는지 파악하고 공부하며 채우는 그런 메타인지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근데 그런 메타인지를 빨리 깨우치면 좋은 학교에서 좋은 학점을 가지는 것 같구요. 늦게 깨우치면 학점이 낮겠죠.

결국 사람 차이입니다.

2025.04.13

생각보다 흔한듯. 요즘 드는 생각인데 학점이랑 연구능력은 별개인거 같아요 ㅋㅋㅋ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