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노벨상 타면 출신 유치원도 동문 찾던데… 내가 잘나고 볼 일임.
학부 다르면 동문 취급해주는지 말해봄
14 - 글로 봤을때는 어느 부분에서 망한지 모르겠네요. 글쓴이 님보다 더 어려운 분들이 많습니다.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1 - 진짜 망한게 뭔지 모르네 ㅋㅋ 지방대 2점대 3점대 초반애들 졸업하고 갈 데 없어서 대학원 진학했는데 1년이 다 돼가도록 아무런 결과도 없이 인생 즐기면서 생활하는게 진짜 망한거지.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24 - 아마 그 글을 쓴 원글자인 것 같은데 그 글에서도 계속 상황 파악을 못하고 있는 것을 드러내고 있잖아요.
개인연구를 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니 어느 교수가 학점 3.6에 연구 경험이 전무한 학생에게 ‘너 하고 싶은 개로 하렴?’이라고 합니까?
그건 방치죠.
내가 그 글에서도 썼지만 연구를 해본 적이 없는 학부생 레벨에서 착각하는 것이 ‘자기가 하고 싶은 연구’를 한다는 것은 학생이 하고 싶은 주제를 정하고 지도 교수가 그 연구가 가능하게끔 연구 방법을 설계해 주고 가르쳐주고 막히면 해결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겁니다.
세상에 그런 것은 없습니다.
대학원에서 연구의 지도란 ‘풀어낼 가치가 있고 풀 가능성이 있는 문제를 찾는 것을 도와주고 푸는 장법을 찾는 것을 도와 주는 것’입니다.
보통 한국 개학원에서는 문제를 찾는 것부터 시키면 시간이 너무 걸리니까 문데 푸는 방법을 찾고 잘 정리하는 것만 훈련시키죠.
솔직히 이 글을 쓴 학생은 이런 얘기 해봐야 듣지 않을 것 겉고 다른 학생들 보라고 씁니다.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9 - 그런 대학원생이 계신 곳에 있는 본인의 잘못 아닐까요?
ㅈ소기업의 열악한환경에 지쳐버린 직장인만 샘플로보면 우리나라 사람은 의지박약에 걸린 환자만 있는거임?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5 - 웃긴게 저런 곳에 있는 쩌리 or 애매한급 교수들은 대학원생 탓합니다. 그렇게 능력있고 잘났으면 더 좋은 대학. 설카포로 이직하셔요. 학생들도 학부간판 아쉬우면 대학원으로 좋은곳으로 진학하고, 직장인들도 계속 이직하는걸요?? 그럴 능력이 안되거나 용기가 없으면 대학원생에게 불만 가질 시간에 대학원생에게 시간투자를 더 하시구요~ 하긴 저렇게 생각하니 쩌리 or 애매한급으로 남긴하겠다.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23 - 학생의 입장으로 생각해 보는 것도 중요하다고 봄.
1. 님에게 아무런 목표없이 힘든일을 하라면 열심히 할 것임?? (동기부여 관련)
2. 학생들이 지도교수를 신뢰하는가?(지도교수의 이기적인 목적으로 일을 시킨적이 있는가??)
잘하고 못하고는 주관적인 부분임. (세계최고 연구그룹에서는 님도 아쉬운점이 많아 보일 수 있음.)
잘 못을 외부에서 찾지말고 본인에게서 나아질 방법을 고심해볼 필요도 있어보임.
대학원생들을 믿고, 개인적인 나의 이익이 있는 것이라면 아예 시키지 않고,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면서도 연구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면, 대부분의 대학원생들은 스스로 잘 하려할 것임.(물론, 잘하고자 하나, 실제 퍼포먼스는 못 미칠 수도 있고, 그때 지도교수가 잘 지도해 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 결국 교수가 필요한 이유 중 하나가 교육으로 봄. 현상을 탓하기보다 주어진 환경에서 조금이라도 훌륭한 연구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봄.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4 - 결국 하고 싶은 이야기는 '자질이 부족한 사람들이 대학원에 간다' 인 것으로 보이는데, 글쓴이는 제대로 된 연구를 수행하기에는 지능이 좀 부족해보입니다. 글에 담긴 주장대로 연구기관에 투자를 줄인다고 합시다. 문제가 해결될까요? 아니오, 당연히 더 악화됩니다. 거기다가, 일반화를 할 거면 당연히 그 원인에 대한 깊은 고찰이 있어야 합니다. 단순한 자질 부족을 유일한 원인으로 짚는다면 국내 및 해외 유수 대학에 다니는 연구성과가 우수한 인재들은 설명할 수 없습니다. 차라리 성과가 지연되고 보상시스템에 문제가 있어 동기가 떨어진다, 라고 설명했으면 모를까 인풋 하나만 문제라면 대학원 다니는 기간동안 아무런 변화가 없어야 하고, 그런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시스템이라는 전제가 최소한 필요합니다. 생각이 많이 부족해보이네요. 어그로 글 쓰기보다 좀 더 지적인 소양을 최소한 일반인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활동을 추천드립니다.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3 - 지극히 공감함
얼마나 오래 앉아서 집중 하냐가 중요한데 위에 언급한 리스트가 우선 집중력 차이도 큼ㅋㅋㅋㅋ
요즘 애들보면 참... 늦게 출근 일찍 퇴근이 기본이고 중간중간 자리비움도 너무 잦음 도대체 뭘 하는지 모르겠음ㅋㅋㅋㅋ
나는 집중하면 화장실 6시간도 안가고 그자리에 쭉 앉아 있는데 왜 그렇게 자주 왔다갔다하는지도 모르겠고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1 - 정신나간 소리하노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0 - 재미있는 논리네요. 이 논리대로라면 이런 글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
국내 교수들은 왜 이리 무능하고 게으른가요?
제 고찰의 결과는 1단계로 가장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들 의대로 다 빠짐
2 단계로 그 다음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들 학계에 안 남고 대기업 취업함
3단계로 그 다음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들 해외대학 교수로 빠짐
그래서 1, 2, 3 ,단계에 다 필터링 안된 성실하지도 않고 똑똑하지도 않은 교수들이 일반 공대 대학원에 바글 바글한건데..이런 교수들에 과제랍시고 정부에서 돈을 퍼 넣는게 맞는건가요? 이런 사람들 밑에서 배울게 있나요?
동일한 논리라면 의료계에도, 법조계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겠죠? 1단계에서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들은 이민을 가거나 이미 미국 시민권자이다. 2단계에서 그 다음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들은 유학을 간다. 3단계에서 그 다음 성실하고 똑똑한 사람들은 (의사의 경우) 호주로 가려고 AMC를 합격한다.
이런 논리가 진정 옳다고 보시나요? 잘 생각해보길 바랍니다.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15 - 연구는 무한경쟁 이니깐.... 중국 애들이 같은 아이디어로 논문 쓰기 전에 먼저 써야 하니깐...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11 - 하기싫으면 하지마세요
본인 잘될라구 하는거아닌가;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13
대학원 진학 조언 부탁드립니다
2025.03.18

대학원 진학을 해야겠다 마음먹고 학부연구생을 1년째 했지만 제가 있는 실험실에 석사가 없기도 했고 행정업무에 치이며
막상 4학년이 되니 망상 큰 경험이 없어 크게 어필할 경험이 떠오르지 않네요.
관심있어서 연구실 논문을 읽어봤다는 것도 어필이 될까요? 시기가 좀 늦었는데 언제까지는 컨택이 되어야 할까요?
지방 국립대 쪽으로 컨택 넣고 싶은데 조언 부탁 드립니다..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 명예의전당 160 34 108060-
90 19 14053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42 104 8831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82 - 대학교 등록금 2배 인상
51 -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4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38 - 연구실 선택 고민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5 -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40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53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43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6 - 교내 성폭행 흔해?
17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41 - 세상은 참 불공평한 듯
7 -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6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고대 학부생입니다 kist 대학원 고민입니다
23 - 학점 3.6 건동홍 무스펙 대학원 진학
22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7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21 - 학부연구생 활동에 관해서 여쭈어 봅니다..
8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26 - 대학원 관련 궁금한 점 질문 받습니다.
8 - 자교생 장학금 우대 <- 이게 폐지되지 않는 한 타교 차별은 영원함
7 - 요새 석사 취업이 그렇게나 힘든가요
7 - 대학원 제일 이상한게 석사+박사 vs 석박통합
8 - 교수님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 해야할까요?
8 - 연구실 특허
7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1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심리학계 재현위기의 근황, 시사점 및 대응방법 (심리학계 재현위기 3편)
182 - 대학교 등록금 2배 인상
51 - 논문 읽고 정리하는 팁
24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238 - 연구실 선택 고민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5 - LLM 국산화 하겠다고 기업들이 세금 몽땅 가져가려는 속내가 너무 싫다
40 - 폐급 새끼랑 일 못하겠네
53 - 인건비를 아까워하는 분들이 많은데
43 - 인건비 속이는 랩실 탈출해야할까요..
16 - 교내 성폭행 흔해?
17 - 박사과정이 왜 힘든가
41 - 세상은 참 불공평한 듯
7 - 서울대 대학원 컨택 최대한 교수가 많이 받으면 되는거 아닌가요?
6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144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65 - 미박 ai 컨택 스팩
17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15 - 고대 학부생입니다 kist 대학원 고민입니다
23 - 인생 망한거같아요 조언,쓴소리 다 부탁드려요
17 - 이글 왜 욕먹는건가요
21 - 학부연구생 활동에 관해서 여쭈어 봅니다..
8 - 대학원생들이 게으른 이유에 대한 고찰
26 - 대학원 관련 궁금한 점 질문 받습니다.
8 - 대학원 제일 이상한게 석사+박사 vs 석박통합
8 - 교수님 결혼식 축의금은 얼마 해야할까요?
8 - 왜 교수님들은 대학원생들 휴일 없는게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걸까요
17
2025.03.19
2025.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