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지금 카이스트가 사전 컨택 안 받고 있는데 저는 이게 어장관리 당하는 기분이라 더 싫네요.
카이스트 입시 통과해서 고생이란 고생은 다했는데 완전히 관련 없는 연구실 배정하거나 혹은 지도교수 없는 상태로 대학원생활하면 결국 자퇴로 이어 집니다.
차라리 컨택부터 안되면 다음 길이라도 빨리 알아볼 수 있어서 그게 더 학생 입장에서도 더 나음
비유하자면 서류 1차면접 2차면접 다 통과했는데 최종 떨어지면 서류부터 떨어진 애들보다 시간은 더 쓴거라 손해임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61 - 하다 못해 중소기업에서 사람 뽑을 때도 면접 보고 뽑죠
어디까지 오구오구 해주고 장단 맞춰줘야 하나요?
마치 사전 컨택이 되게 부조리한 사회 병폐인 것처럼 써놨는데 사전 컨택할 때 돈이 오고 가는게 없는데 무슨 이게 청탁입니까
랩실이 사람을 무제한 뽑을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기존 연구자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 봐야죠. 랩실에서 무슨 연구를 하는지 지도교수가 어떤 분야에 있는지 알지도 못하는게 무슨 학술적 기여를 할 수 있을까요?
미리 사전에 계획 세우고 꾸준히 노력한 사람을 우대하는 것은 당연한 겁니다.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48 - 인생이 무슨 내신성적 수능마냥 정답이 정해져있다고 생각하실 분이네.
사전 컨택을 위해서 어떤 지원자는 준비를 엄청하는데 그건 생각 못하시죠?
달랑 메일 하나 보낸다고 생각하시는건가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33 - 그럼 미국대학원들부터 없애라고 하세요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24 - 공정성의 문제가 있을 수는 있는데, 사회 자체가 그렇게 안돌아갑니다. 나중에 회사를 간다고 하더라도 석박사는 경력직으로 가는데,
공채에는 올라오지도 않는거 리크루터랑 따로 연락하고 면접잡아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점수로 줄세워서 받아주고/안받아주고 하는건 딱 대학 까지인 것 가고요, 사회 나오면
실력 100에 수동적인 사람보다, 실력은 85여도 얼굴에 철판도 좀 깔고, 적극적으로 알아보는 사람들이 잘되는 것 같습니다
사전 컨택 법적으로 금지시켜야 됨.
29 - 생각하는 꼬라지가 학생이니까 착취 당해도 된다고 생각하네. 애초에 Authorship 자격이 없고 저널들에서도 연구윤리에 어긋난다 (기여가 없는 저자의 저자 등재)고 공인한 것을 당연하다고 말하는 게 우리나라 망하려는 것임. 기여와 정당한 보상에 대한 요구가 나라를 망하게 하려는 게 아니라.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14 - 공학랩이라면서 예시로 가져온 논문기사는 왜 사회과학인가요 레퍼런스 잘 인용하세용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14 - 워라벨 얘기하는 놈들=대학원에 놀러온 놈들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25 - ㅋㅋ 대학원생이 직장인과 학생의 오묘한 중간 지점이라고 세뇌시키려고 하시네요. 세금자체를 안내는데 직장인의 영역에 정말 1%라고 포함되는게 있나요? 직장인 열심히 일하면 졸업장 하나 더 받나요? 임원되면 졸업장 하나 더 받나요? 그냥 공부하려고 연구하려고 오는 학생입니다. 그 이상 그 이하도 아닙니다. 성과라기보단 연구결과가 잘 나오면 재미있고 잘해서 밸런스를 포기하고 더 열심히 하는 겁니다. 애시당초 한국 교수문화에서 학생에게 성과를 나눠준다? 100명중 5명도 안됩니다. 잘하면 중소기업 악덕시장마냥 더 굴려서 뽑아내려고하죠. 대기업마냥 시스템 구축해서 교육하고 실적내고 다시 그걸로 더 좋은 학생을 뽑는식으로 선순환 모델 만드는 교수? 솔직히 기업생활도 안해본 교수가 80%정도 넘을텐데 본인들이 위에서 지시하고 아래에서 바라보는 그 느낌을 잘 알까요? 번데기라고 해봐야 대학원생활, 포닥생활을 해본 경험밖에 없는데 교수가 되면 퍽이라도 잘해주겠네요. 저는 회사경험없는 교수는 무조건 믿고 거릅니다. 창업한 교수를 욕하는 사람들 많은데 저는 오히러 좋게 봅니다. 본인이 하다보면 느끼거든요. 회사가 연구실보다 더 어렵다는걸요.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21 - 댓글들 보니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것 같은데, 저는 이 글에 전적으로 동감합니다.
저도 대학원생 저학기때는 선배실험들이나 돕는게 주된 업무였고, 아무리 열심히 한다한들 제가 논문 나올것도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던게 사실이었죠. 그래서 업무시간정도 일하고 주말이나 야근은 잘 안했었구요. (어차피 기본 밤 10시 퇴근이긴했어요)
그런데 4년차 이상부터는 후배들이 저를 돕고 제가 더 하는만큼 제 1저자가 더 나오는 상황이었어서 주말도 거의 매주 나오게 되더군요.
사람이란게 본인한테 떨어지는게 있어야 추가근무할 동기가 생기는게 사실인듯 합니다. (돈이든 논문이든 승진이든요)
제가 본 대학원생들 중에서 박사를 따는건 자체만이 목적인 애들은 하나같이 박사를 언제딸지만 관심있고 본인실력 늘리는데는 관심이 없더라구요. 당연히 근무도 최소한으로만 하려하고 편하게만 지내려하구요. 그런애들은 그냥 고딩때처럼 시간만 지나면 박사도 졸업하는 거로 생각하는거죠. 그런애들 공통점이 학부는 죄다 지방대학 (지거국아님) 나오고 취직 자신없으니 대충 박사나 따자는 마음가짐입니다. 김박사넷에서 워라벨 따지는 애들도 다수는 박사따는거 자체가 목적이니 그런거로 보입니다. 교수입장에선 그런 애들을 잘걸러서 그런애들은 대학원을 진학 안하는게 서로에게 좋을거라 보입니다.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14 - 전형적인 z세대 마인드 같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말은 논점을 흐린다...
결국 본인 주장에 동의하지 않으면 발작하시는 스타일 같은데...
혹시 그 랩실에 혼자 계신건가요?
그러면 얼른 도망치세요.
그게 아니라 본인만 그런 상황에 놓였다면 사회생활을 잘 못하시는 것 같습니다.
뭐든지 당연한건 없습니다. 본인도 마찬가지겠지만 내적으로 예쁜 사람에게 더 마음이 쓰이겠지요.
글쓴이가 잘나서 혼자 일을 다 하셨다고 해도 교수가 보기에는 독단적인 학생으로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페이... 이건 참 예민한 문제입니다. 챙겨준다는건 의무가 아니라는 것 쯤은 알고 계시는 것 같습니다.
즉, 금전적으로 좋지 못한 환경이라고 느끼셨다면, 도망을 치든 버티든 그건 본인의 선택이겠죠?
세상에 당연한건 없습니다.
대학원 밖으로 나오시면 장비하나 쓰는 것도 그리 쉽지 않으실겁니다. 구축해논 인프라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저자에 이름이 실릴수 있다는 걸 아직 모르시는 것 같습니다.
조금 더 성숙해지신 후에 본인이 쓴 글을 꼭 다시한번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참 안타깝습니다.
조금만 더 힘내서 얼른 탈출하시고 세상으로 나와 더 넓은 시야를 가지시길...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19 - 남의 일이라고 생각해서 일인게 아니고 박사과정 대학원생이면 일반기업에서도 실무자 포지션이고 실제 연구에서도 성과를 내는 시기인데 이걸 "공부"라고 딱지를 붙여서 일로 취급을 안 하니까 "학생"이라느니 "네가 하고 싶은 연구"라느니 하는 것들을 붙여서 저임금 초과노동을 강요하는 일이 생기는 거죠. 연구가 취미활동인가요? 엄연히 일하는 것이고 그에 맞게 대우해야 합니다.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15 - 인생을 부동산 자산으로만 판단하는 수준의 눈에는 그렇게 보이는게 맞지.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23
서울대 화학과에
2020.08.11

ㄹㅇ로 괴수천국인가요? ㅜㅜ
-
335 32 69471 -
76 61 14961
학회가서 우연히 포닥인터뷰까지 보고 온 후기 명예의전당 273 39 6172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2025 이공계 대학원 순위 라인별 정리 수정본
49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40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31 - 인건비 관련 문제 어떻게 언급하는게 좋을까요?
11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38 - 용역과제 많은 실험실은 진짜 피하는게 좋을거임
14 - 인건비 많이 주는 랩실
14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13 - 인턴 스펙 한 번만 봐주세요
22 - 외국인 많은 랩실은 별로인가요?
13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14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6 - 한국 대학원 순위 (이공계열)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2025 이공계 대학원 순위 라인별 정리 수정본
49 - 어용 김박사들 역겹다
40 - 대학원을 일이라 생각하는거 충격이네
31 - 대략 보니까 워라밸 주제가 핫한데요. 교수입장에서 보면,
38 - 용역과제 많은 실험실은 진짜 피하는게 좋을거임
14 - 인건비 많이 주는 랩실
14 - 연구를 하는데 워라밸이 챙겨짐?
13 - 인턴 스펙 한 번만 봐주세요
22 - 외국인 많은 랩실은 별로인가요?
13 - 교수가 남아서 더 하라고 하는 애들 특징
14 - 직장인 커뮤니티의 30대 대학원 인식 . jpg
16 - 김박사넷 | 2026 미국 대학원 SOP 실전 워크숍 – 합격 사례 분석 & 전문가 피드백
65 - 미국 유학에서 학부 중요합니다
21
2020.08.11
2020.08.11
2020.08.11
2020.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