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Overleaf vs 워드

2025.02.07

8

571

주로 무얼 선호하시나요??
프로세서 형식에 따라 피어 리뷰에 영향이 가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2.07

요즘은 레이텍으로 쓰는걸 권장하지 않나요

대댓글 2개

2025.02.07

overleaf = latex 컴파일러

2025.02.08

네 그러니 저는 오버리프...

2025.02.07

컴이 구려서 워드 버벅이고 저장 너무 잘 날아가서 몇번 당한 이후로는 안써요.

피어리뷰에 영향은 있기 어려운데, 많은 저널에서 업로드된 원고를 pdf로 후처리해서 리뷰어에게 보내기 때문.

2025.02.07

대체로 tex 선호하는데 새로 배우는걸 좋아하지 않는 분들은 워드를 더 선호하기도 합니다. 피어리뷰때는 어차피 pdf로 제출하기 때문에 상관 없고 accept후 proof 할때 좋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굳이 피어리뷰에서 유리한점을 꼽자면 형식을 깐깐하게 보는 저널들의 경우 가이드를 자세하게 읽고 작성해야하는데 tex는 애초에 조판 프로그램이라 그럴 필요가 없다는거 정도가 있지 않을까 싶네요.

2025.02.07

latex쓰면 그 정교함때문에 word 못씁니다. 특히 수식 많은 분야에서는 최고죠. word쓰는 분들이 endnote때문에 버티긴 하시는데 latex에서도 크게 안불편합니다

2025.02.07

저는 논문마다 달라요. 일반적으로 포맷없이 내는 탑저널들은 워드로, ieee나 acm컨퍼런스같이 오리지널 드래프트부터 포맷요구하는곳은 무조건 레이텍 써요. 레이텍 장점은 공유해서 에디팅 할수잇기도 하고 포맷 맞추는건 레이텍이 매우 좋아요.

2025.02.08

사실 워드프로세서를 뭐쓰느냐는 그냥 분야마다 달라서 뭐라하기가 그래요. 근데 라텍이 보편화된 분야에서는 라텍을 쓰는게 맞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