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포스텍 반도체공학과(계약학과) 어떻게 보시나요?

2024.12.21

13

3605

학/석박 3+3 으로 할 수 있다는 제도에 학생수도 매우 적어서 실적 내기도 좋을 수 있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지인이 포스텍 무은재학과랑 반도체학과중에 어디를 진학할지 고민중이라는데 3+3을 학계에서 인정해줄지 의문이네요

해외갈 생각도 많이 있다고 하여, 무은재학과나 반도체학과로 가서 해외 석박루트도 보고 있는데, 이때도 좀 더 넓은 전전(일반학과)가 나을지 실적을 낼 수 있는 반도체학과가 나을지 고민중이라네요.
(군대는 면제)

생긴지도 얼마 안된 학과라 조언 주기가 애매해서 알고계시는 분 있으면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12.22

학계에서 인정해주냐와 별개로 저출산 시대에 임용이 점점 바늘구멍으로 변할거 감안하면 6년 학석박에 삼성 커리어시작은 슈퍼핵꿀인듯

대댓글 2개

2024.12.22

6년 학석박으로 교수 임용이 좋을 것이라고 보시는건가요??

2024.12.22

그런 의미는 아니었는데, 교수 임용면에서도 9년 학석박보다 6년 학석박 후 3년 포닥이 압도적으로 좋은건 맞습니다.

2024.12.22

우리나라 기업 끼고 산학하는거 별로라고 봅니다.
일단 SKP 나와서 우리나라 대기업 못들어갈까 걱정하는 사람 없습니다. 오히려 우리나라 대기업은 안정으로 깔고 그보다 높은 목표에 도전하죠.
그런데 산학은 해당 기업에 발이 묶여 다른 선택지 자체가 지워집니다. SKP 나와서 갈 수 있는 진로중에 최하위 진로로 선택이 고정되는거죠. 종기원같은 연구조직이 아니라 사업부로 배치되니까요.
내가 SKP에서 갈 수 있는 진로 중 가장 안좋은 진로로 가도 상관없다는 강한 확신이 있다면 좋은 선택입니다. 사업부로 취업할거면 석박 빨리 따는게 큰 메리트고, 사업부에선 유명한 저널 한 두개 아니면 논문실적 볼 줄도 몰라서 그냥 SKP 박사 취급해주거든요.
하지만, 사기업에서도 종기원을 간다거나 정출연, 미국취업이나 교수를 노린다면 논문 실적을 많이 봅니다. 석박3년으로 쌓은 논문실적으론 당연히 가능성이 낮아 결국 남들이 석박하는 기간만큼 포닥으로 실적을 쌓아야 합니다. 그런데, 그것도 해외포닥은 실적을 보니 어렵죠.
이런 식으로 산학 갈까요 무은재 갈까요 라고 질문을 올리신다면 무은재 가는게 맞습니다. 삼성이 최고의 회사고 삼성 사업부 취업이 내 인생 최대의 목표라고 강하게 확신하던 친구들 조차 주변에서 정출연가고 애플가고 교수 도전하는거 보면서 후회하는데 어디갈지 확신이 없는 상황에선 후회할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대댓글 2개

2024.12.22

그렇군요 조언 감사합니다
의견 참고해서 같이 잘 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12.22

아니면 반도체가서 산학 안하고 돈 뱉어내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경우에 해외 진학에 어려움이 없을까요?

2024.12.2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니 근데 힘들긴 할테지만,
계약학과 졸업하고 회사 다니다가 원하면 돈뱉고 해외 포닥 가면 되지 않나요??
그런 경우는 좀 보긴 했거든요!
그떄쯤에 회사에 뱉는 돈이 문제가 될거 같지는 않은데요
회사에서 있다가 가게되면 그것도 하나의 커리어잖아요.. 반도체 계약학과니 삼성 하이닉스겠구만!!
이런 커리어 쌓을 기회가 또 있으려나요!!

대댓글 1개

2024.12.22

계약학과 졸업하고 돈 뱉는것도 생각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현업에 계신 주변 분들 이야기 들어보면 국내에서 학석박 할 경우, 해외 빅테크 가기가 어려울 수 있다며 무은재 학사-미국 석박을 추천하시더라고요.
국내에 있을거면 반도체도 나쁘진 않지만 해외를 가고 싶다면 무은재가 더 좋을 수 있다는 의견으로요.

2024.12.22

포스텍 학석박, 세계 1위 네임브 삼성지사 주재원 등으로 미국 근무 후 빅테크 이직 할 수 있겠죠. 무은재도 학사-미국 석박도 괜찮을 것 같고! 부럽네요 능력자신듯

대댓글 1개

2024.12.22

전자는 시간 단축이 매우 클 것 같아요.

2024.12.22

6년만에 박사학위 받을 수만 있디면 그 것은 그야말로 로또입니다. 6년만에 박사학위 받았다고 인정 안할 수가 있을까요? 그리고 삼성에서 인정하잖아요.

2024.12.22

6년만에 박사학위 불가능하다고 보는 사람도 있는데 저는 충분히 가능하다고 봅니다. 일단 3년만에 학사학위를 취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계절학기 등을 충분히 활용하면 되겠죠. 그리고 석박사를 3년만에 마치는 것은 의외로 어렵지 않아요. 석사나 박사나 사실 논문을 쓰는 기술을 배우는 것인데 뭐 3년만에 좋은 논문 쓰면 되는 것이니까요. 똑똑하면 2면만에 박사학위를 받을 수도 사실 가능하죠. 코스억을 하면서 동시에 논문을 쓰면 가능하니까요. 건투를 빕니다.

2024.12.23

해외진출은 국내학사, 해외석박이 유리하죠. 그렇지만 반도체는 국내 학석박, 삼성도 결코 나쁜 루트가 아닙니다. 해외기업들이 더 좋아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