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국내 석사 거쳐서 미국 박사과정 온 사람들 충격받는 포인트:
1. 행정 업무가 없음. 직원들이 전부 처리해줌
2. 컴퓨팅 자원을 직원들이 관리해줌
3. 과제 제안서는 교수님 or 포닥분들만씀
4. RA/TA 맡은일만 시킴. 여기저기 불려다니는일없음
5. 대학원 수업 퀄리티가 좋아서그런지 청강생 바글바글
10 - 머 어때서... 박사 존나 힘들게 땃는데 ㅜ
15 - 부/경 정도의 교수는 중경외시급 이상이라고 봅니다. 자대생 수급도 매우 좋고, 등록금 저렴해서 인건비 걱정도 덜하고. 무엇보다도 공무원 신분이라 안정적이고 승진실적이 비교적 수월해요. 원하면 추후에 인서울로 옮기면 그만이니
13 - 부산대 현직입니다.
저는 부산대와 인서울상위(중경외시 라인) 합격했었는데 부산대로왔습니다. 삶은 매우매우 만족합니다. 과제따기 수월하고 지역사회에서 대우도 매우좋고 부산의 삶도 좋습니다ㅎㅎ
주위 부산대 교수님들도 skpyksh정도나 unsit 아니면 대부분 부산대 더 선호하실것같습니다. 최근에 이직하신분들도 skpyk만 가시고요.
14 - 지거국 선호도도 높지만,
반대로 서울 및 수도권 선호도도 매우 매우 매우 높습니다...
왜냐하면 '연구'라는 좁은 영역보다 결국 삶과 연계된 직장이기 때문입니다.
미혼 및 아이가 없으신 젊은 분들은 지거국의 삶에 매우 만족하시지만.
주변 분들을 보면 결국 아이가 태어나고 교육이 시작되면서 서울 및 수도권으로 많이들 이직을 고려하시는 거 같습니다.
지금 대한민국은 서울 및 수도권 쏠림이 더 극대화 될 것으로 여겨지며,
실제로도 현재 임용 시장에 있는 젋은 분들 중 서울 및 수도권 이외에는 아예 고려를 안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지거국에 계신분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최근 임용 지원자의 수준이 낮아진다고 하십니다 (분야별로 다른듯 합니다)
따라서 현재 부경전충보다 국숭세단이 우선시 될수있지만, 빠른 시일내에 뒤집힐 듯 합니다. (이미 학부 입결은 국숭세단이 몇 단계 위입니다)
10 - 흠 부산대 경북대 공대나 자연대 교수중에 연구인프라 다버리고 국숭세단에 갈분들이 계실까요...? 차라리 주말부부를 하고말지. 국숭세단 라인에서 적어도 저희분야에서는 논문을 내는것 조차 보기가힘든데
9 - 이런 초딩 같은 글이 교수 글이라고? ㅋㅋㅋ
10 - 너무 근시적으로 보시는것같은데, 모든 학교 신임교수들은 상향평준화 돼있습니다.
spk학석박-탑스쿨 포닥중이고 주변에 국내임용 준비하는사람들은 지방대는 과기원들제외하고 마지노선으로 부산/경북/충남대?? 정도까지는씁니다.
하지만 임용시장에서조차 인서울 선호도는 점점 높아지고있습니다. 건동홍을 비교하셨는데, 교수임용시장에서 건홍과 부산대 둘다 붙었을때 부산대를 간다는 보장은 전혀없습니다. 오히려 전자 선호도가 제 주변에서만 보면 더 높아보입니다. 동국대는 워낙 교수진들에게 불교중심적인 마인드셋때문에 비선호하는 사람들도 있기에 뺐습니다. 제 네트워킹이 한인교회중심이라서 더더욱 그럴수도
그리고 참고로 건동홍 간 친구들도 자매지들은 다들 많이 있습니다. 심지어 생각보다 국민대 혹은 좀더낮은 학교에 간 친구들도 자매지있는경우는 많아요. 그만큼 임용시장은 생각보다 상향평준화됐습니다.
시야가 너무 부산대중심으로만 맞추신것같길래 말씀드립니다. 부산대가 나쁜학교라는건 절대아니고, 저도 국내리턴 생각했으면 부산대까지는 당연히썼을겁니다.
17 - 요즘은 개나소나 교수하는구나
9 - 뭔소리지 skp 교수는 주2~3일 출근하고 연구비로 해외출장 다니고 맛난거 사먹고 방학4개월있는데 연봉 약 1억 찍히고 도시에서 근무를 안하는 줄 아나? ㅋㅋㅋㅋ 가만히 있으면 고퀄 논문 매뉴스크립이 쏟아지는데 일을 왜 함? 오토 돌리고 해외 있다가 수업있을 때만 출근하는게 s대 교수 삶인데 뭘 모르네 ㅋㅋㅋ
17
연구실의 신묘한 학생에 대해...
2024.12.09
정출연 포닥입니다.
학생이... 말그대로 신묘합니다..
그 학생은 평소 말하는거 보면, 기본 메커니즘도 모르고, 장비도 모르는데 떠들어대서 틀린말 퍼트려서 주위 사람들이 정정하고 다니는데
논문 데이터를 잘 뽑아냅니다
겸손은 아닌것 같은데, 전부 일단 해봤는데 됐다 논리 입니다
일단 해보는것 자체가 연구의 시작이고 행동력 실행력 대단한거죠,,
그렇게 한게
1. 실험실 선배가 만든물질 했더니 -> 잘됨
2. 다른 학생 물질 가져다 해봤더니 -> 잘됨 -> 그래서 보고 했더니 PI가 이대로 논문 못쓰고, 공부좀 하라고함 -> 논문을 PI에게 던지고 PI가 개쩌는 분석툴 완성 -> 분석한 사람이랑 공1저자
3. 이미 너무 잘 알려진 방법이긴 하나, PI가 해보라해서 했더니
-> 잘됨
4. 포닥이 아이디어 줌 -> 했더니 잘됨
5. 다른 사람 아이디어에서 메인 물질만 바꿔서 함 -> 잘됨
이런식으로 1저자가 끊임없이 늘어나는걸 보면서
대단하다 싶으면서도 신기합니다....
보통의 원생들이 하나 잘 만들어보려고 시행착오를 거치는 시간에,
했더니 돼서 거의 3배 이상의 논문 뽑기 효율을 보이고 있어요;;
진또배기 연구원이나 교수님들 보면 논리 가정해서 파생시키고, 가설이나 예측도 생각해서 논문 엄청 내시는 경우만 봤는데,,,,
이런 학생들 종종 많이 보시나요...?
학생이... 말그대로 신묘합니다..
그 학생은 평소 말하는거 보면, 기본 메커니즘도 모르고, 장비도 모르는데 떠들어대서 틀린말 퍼트려서 주위 사람들이 정정하고 다니는데
논문 데이터를 잘 뽑아냅니다
겸손은 아닌것 같은데, 전부 일단 해봤는데 됐다 논리 입니다
일단 해보는것 자체가 연구의 시작이고 행동력 실행력 대단한거죠,,
그렇게 한게
1. 실험실 선배가 만든물질 했더니 -> 잘됨
2. 다른 학생 물질 가져다 해봤더니 -> 잘됨 -> 그래서 보고 했더니 PI가 이대로 논문 못쓰고, 공부좀 하라고함 -> 논문을 PI에게 던지고 PI가 개쩌는 분석툴 완성 -> 분석한 사람이랑 공1저자
3. 이미 너무 잘 알려진 방법이긴 하나, PI가 해보라해서 했더니
-> 잘됨
4. 포닥이 아이디어 줌 -> 했더니 잘됨
5. 다른 사람 아이디어에서 메인 물질만 바꿔서 함 -> 잘됨
이런식으로 1저자가 끊임없이 늘어나는걸 보면서
대단하다 싶으면서도 신기합니다....
보통의 원생들이 하나 잘 만들어보려고 시행착오를 거치는 시간에,
했더니 돼서 거의 3배 이상의 논문 뽑기 효율을 보이고 있어요;;
진또배기 연구원이나 교수님들 보면 논리 가정해서 파생시키고, 가설이나 예측도 생각해서 논문 엄청 내시는 경우만 봤는데,,,,
이런 학생들 종종 많이 보시나요...?
-
112 50 18995
딥러닝한다고 하는랩 유심히 보세요 김GPT 19 11 13226
대부분의 대학원생은 9to9 해야함 김GPT 118 71 15058-
42 10 14715
그냥 다 꺼졌으면 좋겠다 김GPT 34 12 4491
일을 잘 한다는 것. 김GPT 132 9 11734
학부생 논문 김GPT 6 7 11256
학생 자랑도 해도 되나 김GPT 157 16 10812
대학원생 예절에 대해 쓴 글 보고... 명예의전당 164 10 27908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69 22 8812-
132 15 5611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12.09
2024.12.09
2024.12.0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