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퇴합니다. 이제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2024.12.02

7

2792

인서울 4년제 컴공과이고, 석사 2학기 입니다.

자대 ai 비인기 신생 랩실인데, 제가 존경하는 교수님 추천으로 들어갔습니다.

막상 들어가보니까 전공자가 저 하나뿐이더군요.

홈페이지, 서버관리, db관리 같은 잡무는 저만 전공자니까 도맡아서 하고,

뭐 하나 알려주지 않는 타대출신 비전공 사수, 간단한 CS 관련 얘기도 못알아듣는 동기들. 너무 지칩니다.

더군다나 방치형 랩실이라, 저 혼자 뭘 해야 합니다. 지금 연구하는것도 저 혼자 자료찾고 모델 설계해야 하는데, 이럴거면 그냥 집구석에서 혼자 공부해서 논문쓰는게 더 빠르지 않나 생각듭니다.


랩실 들어온지 1년 지난 시점에서 제가 지금까지 한걸 되돌아 봤습니다. 리눅스 좀 잘다루게 된거랑 논문 수십편 읽은거 빼고는 제 능력이 학부 4학년에 멈춰있네요.

그냥 1년 부캠갈걸 그랬나봅니다.. 이제 자퇴하고 어떻게 살아야할지 막막하네요.. 취업도 바로되는것도 아니고 참..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4.1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진심 방치형 연구실은 노답임. 배우려고 가는건데 왜 방치를 하시는지...

2024.12.02

skp도 방치형 랩실 있던데 진심 왜가는지 모르겠음

2024.12.02

졸업은 하지

2024.12.02

스스로 잘하는 학생은 방목형이 낫기도 합니다만.. 그런게 아니라면 케어 받을 수 있는 곳을 고르셨어야.. 의미 없는 후회겠지만, 졸업은 하길 추천합니다.

2024.12.03

1년이나 했으면 자퇴하지 말고 ㅡ 졸업을 하면서 타대박사 또는 취준하세요. 사수가 진짜 일부러 아무것도 안알려주면 교수님께 여쭤보면서라도 학위 마무리하세요. 그래도 학위가 있는사람과 없는 사람은 선택의 폭이 완전 달라요

2024.12.05

석사정도 되면 누가 뭘 알려준다고 되나요..? 논문쓰는 노하우나 알려줄거 같은데
논문 잘 나오는 주제 선배들 한테 건져먹을게 있긴 하겠네요 ㅋㅋ 선배들이 생각나는거 던져주긴 할테니까, 어떻게 연구하고 눈문 각 나오는지 정도는 알려줄듯

그냥 솔플로 졸업은 하시는게;
홈페이지 관리?? 할게 많나요; 걍 홈페이지 솔루션 설치하면 될건데; 대단한 기능 필요한건 아닌거같고

2024.12.08

방치형랩실이라는 것의 본질을 보면 세대 차이에서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과거의 연구실 대부분은 사실상 방치형이었습니다. 다만 그때는 집단주의식 분위기라 학생들끼리 스터디하고 디스커션하며 자연스럽게 사고력을 키워갈 수 있었죠. 요즘은 개인주의가 강해지고, 서로 민감한 주제를 피하는 경향이 있다 보니 학생들 간의 디스커션이 거의 사라진 점이 안타깝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사수나 지도교수님이 그 역할을 해줘야 하지만, 대부분의 교수님들이 그런 경험이 부족하거나 물리적으로 모든 학생을 세심히 지도할 시간이 부족하죠. 이러한 문제점은 결국 연구실의 노하우가 깊어지기 어려운 구조를 초래하게 됩니다.

이런 양쪽의 입장이 모두 이해가 가는 만큼, 연구실의 체계를 잡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물론, 이 시스템을 만들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뿐 아니라, 연구에 대한 교수님의 가치관과 철학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잘 정착된 시스템에서는 세부 주제별로 그룹이 형성되고, 그 안에서 활발한 디스커션이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이를 흔히 팀 미팅이라고 하죠.

또한, 석사 1년 차 때와 박사 과정 초반, 포닥, 그리고 교수가 되었을 때 가지는 생각은 모두 다릅니다. 각 시기마다 입장 차이가 있고, 개개인의 관점도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특히, 연구 단계가 낮을수록 문제 해결에서 스스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제한적이기 마련입니다. 따라서 사람에 의해 발생하는 문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해결하느냐가 매우 중요합니다.

석사 1년 차에 중도 포기를 고민하고 있다면, 잠시 휴식기를 가지며 스스로 더 깊이 생각해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한 학기 정도 쉬어가며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방향을 고민해보는 시간이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이런 결정을 내리는 과정 자체도 연구실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본인에게도 귀중한 성찰의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