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메인 학과 기준으로 (특이한 학과나 이상한 학과는 제외하고요) 'spk'처럼 멤버가 고정된 그룹이 있나요? 아니면 사람마다 다르게 정해지는 그룹인가요? 예를 들어 사람들이 생각하는 명문 공대의 순위나 명단이 어느 정도로 고정되어 있는지 혹은 개인의 경험과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TOP 30, TOP 50, TOP 100 같은 대학 랭킹이 많이 언급되는 것 같은데 이 랭킹은 어떻게 산정되는지도 궁금해집니다.
또 국내 SPK 대학원의 위치는 이 중 어느 정도에 해당할까요? 대략적으로라도 SPK 대학원이 세계 대학 랭킹에서 어느 수준에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특히 연구 성과나 논문 발표 수, 또는 학생들의 취업 성과와 같은 지표들이 이런 랭킹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도 궁금합니다.
혹시 이 질문들이 다소 포괄적이라면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4.10.21
과 상관없이 MIT 스탠포드 버클리 + 칼텍이 한국의 SPK포지션. 개인적으로는 top10정도가 탑스쿨이라고 생각함. SPK는 top 150정도에 랭크함. 보통 Us news ranking이 전반적인 전세계 대학 순위임
대댓글 4개
2024.10.23
사람마다 탑스쿨 정의는 다르고, us ranking으로가면 규모가큰 주립대가 순위가 높은등 안보이는 수치들이 많죠. 일리노이주만 봐도 대학원을 볼때 놀웨랑 uiuc 비교하면 놀웨가 더 좋은건 누구나 알지만, 많은usranking 수치는 가텍/uiuc/ut오스틴 등 주입대가 순위가 높고요. 그리고 us ranking은 거의 미국내에서만 보는수치고 심지어 그것도 미국학교위주로 랭킹보는데 사용합니다. 영어권, 특히 미국대학에 높은점수를 유독매기고 분야별순위를 잘보시면 spk와 더불어 Utokyo도 세부순위들 전부 개판인갈요. EPFL ETHZ조차도 순위 상당히 낮게평가하는 곳입니다.
2024.10.23
저는 세부랭킹만 참고하고 전체랭킹은 특히나 관심없지만 전체 학교랭킹보면 뮌헨공대 (82위) 동경대 (84위) EPFL(88위) SNU(134) 교토(168) 델프트공대(187위) 카이스트(296)... 그외에 찾다보니 미국대학중에서도 신기한건 CMU(133) 타뮤(171) 등도 유독 낮네요. 짧게만 찾아봣지만 한국대학을 제외해도 누가봐도 이해안되는 순위들은 많습니다. 맹자님은 한국대학만 말씀하시는데, us ranking을 신뢰하시는분이면 다른 수치들도 똑같이 생각하시는지 궁금하네요~ 저도 미국넘어온지 꽤됐고, 지금은 탑3포닥하는데 us ranking으로 세계대학 평가하는사람을 주변에서는 한명도못봣습니다.
2024.10.23
원댓글에 적었듯이 전반적인 순위이고, 학교 랭킹이란게 발표기관에서 어떤 지표에 가중치를 두냐에 따라 워낙 달라지다보니 저도 신뢰하진 않습니다. 그나마 us news ranking이 질문자님처럼 아무 감이 없는 일반인이 보기에 적합한 순위 아닌가 싶습니다. 저도 탑3에서 박사5년차이고, 학생 실력 퀄리티로 따지면 spk 대학원생들은 top 50이내 학생들과도 경쟁력있다고 생각합니다.
2024.10.24
Us news ranking의 전세계 대학 순위는 딱히... Usnew는 미국 국내 용이죠 근본으로 치면 ARWU나 THE가 차라리 낫다고 봅니다. 역사도 훨씬 길고 참고하는 기관도 많고
2024.10.21
공대기준, MIT 스탠포드 버클리 칼텍 미시간앤아버 UIUC 조텍 CMU 퍼듀 텍사스오스틴 이 정도가 탑10이고 소위 이름들어본 명문공대이지않나싶네요
2024.10.21
윗분들 말이 대체로 맞는데
1) 각 전공 (재료, 물리, 화학) 별로 랭킹이 다르고
2) 세부 전공 (고체이론, 고체실험, 입자) 별로 또 다릅니다.
다만 전공 별 상위 학교로 진학한 경우 응급한 상황 발생시 피벗이 가능하고,
전공 불문한 랭킹이 높은 학교에서 근무하면 연구 외적인 이점이 클 확률이 높습니다.
서카포는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미국 기준 75-150, 세계 기준 100-200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2024.10.22
서카포 = T200도 간당간당
대댓글 1개
2024.10.23
서울대 공대 전 세계 랭킹에서 30위 정도 하는데? 까더라도 좀 찾아보고 까
2024.10.22
분야마다 천차만별인게 우리 분야에서는 칼텍이 30위권 들어갈까말까임
2024.10.22
국제대학평가는 저는 개인적으로 신뢰하는 편이 아닙니다. 특히 국내대학이 국제대학에서 받는 평가는 상당히 이상하다고 생각됩니다. 상당 부분이 설문조사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높은 평가를 받으려면 그러한 학교를 다른 학교보다 위에 두는 설문이 많아야 되고 이는 졸업생이 많이 대학이 절대적으로 유리합니다. 그냥 일반적인 기준으로는 마국의 경우 학부만 본다면 하바드, 예일, 프린스턴, 스탠포드, MIT, 칼텍이 탑 스쿨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모두 사립으로 알고 있고요. 대학원이 우수한 경우를 추가한다면 버클리, 미시간 등이 추가될 수 있다고 봅니다.
2024.10.22
국내대학보다 우월한 미국 대학을 찾는 간단한 방법은 국내대학의 졸업생이 미국의 어디로 유학 가는지 살펴보면 된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만약 국내대학의 졸업생이 가는 일반적인 미국대학이 주립대학이라면 적어도 국내대학은 미국의 주립대학보다 국내에서의 인식이 못한 것이죠. 그런데 이 것도 우리나라 동네에서의 예기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0.22
그냥 발에 채이는게 국내 정상급 대학(서카포)보다 우월한 대학들임
2024.10.22
공대 기준 SKP는 MIT Stanford Caltech Princeton Harvard (Cornell) (UIUC) 정도고요
이후는 개인의 주관이 많이 들어가는데, 공대 기준으로는 Georgia Tech, Michigan, Texas, Wisconsin, Washington, Purdue, UCLA, UCSD, Columbia, (Northwestern) 정도가 많이 언급됩니다.
2024.10.22
https://www.usnews.com/best-colleges/rankings/national-universities US News 랭킹 보시면 됩니다 모두가 아는 아이비리그 학교들 빼고 주립대 중에서는 UCB, UCLA, UCSD, Michigan-Ann Arbor, Texas-Austin, UIUC, 사립대중에서는 USC, Caltech, Northwestern, CMU 정도가 있겠네요
2024.10.24
USnews 보시면 분야마다 랭칭 천차만별입니다. 스탠포드 mit야 어떤 분야든 높지만, 위에서 거론된 공대 top 스쿨 중에도 막상 분야 상관없이 그냥 학교 전체 랭킹 보면 100위권 하는 대학도 꽤 됩니다 (그만큼 학교가 많습니다)
마찬가지로 skp 낮추는 경향 있는데 그건 학교 전체 랭킹이 좀 낮게 나오기 때문이고 공대 랭킹 혹은 예를 들어 EE 랭킹만 보면 50위 안쪽으로 주로 나옵니다.
2024.10.21
대댓글 4개
2024.10.23
2024.10.23
2024.10.23
2024.10.24
2024.10.21
2024.10.21
2024.10.22
대댓글 1개
2024.10.23
2024.10.22
2024.10.22
2024.10.22
대댓글 1개
2024.10.22
2024.10.22
2024.10.22
2024.10.24
대댓글 1개
2024.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