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요즘 챗지피티 어떻게 활용하시나요?

2024.10.04

4

2078

신입 학부생입니다.

저의 경우

교수님이 실험과제를 러프하게 주셨는데

중간중간 떠오르는 궁금한점들을 챗지피티 플러그인을 통해 검색하고 있습니다.
확실히 챗지피티 유료를 사용하고 scholar gpt 와 같은 플러그인을 사용하니 다방면으로 유용한 것 같아요.
그런데 교과서나 구글검색 등에서 완전히 멀어지게 된 것 같기도 합니다.

선배님들은 어디서 어떻게, 어떤 툴들을 활용하고 계실지 궁금합니당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2024.10.04

저는 SW 분야가 아니라서 그런가, GPT 응답이 전공 분야에 대해서는 모호하거나 틀린 설명을 줄 때가 종종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식은 웹 검색 정보 기반으로 생성하는 perplexity를 쓰고, 작문 첨삭하거나 번역할 땐 GPT 씁니다.

2024.10.05

영문교정 → 거의 전적으로 GPT 사용
콘셉구상 ~ gpt와 브레인스토밍, 결과분석 ~ 전적인 신뢰는 X, 의견수렴은 O
스칼라gpt와 대화할 때 근거 논문을 달라고 해보세요, 대여섯개 갖다주는데 한두개 정도는 본인 궁금증의 실마리가 되는 단서가 있을겁니다. 연관 없는 레퍼런스만 갖고오면 다시 달라고 반복하다보면 결국엔 찾아주더라구요.

2024.10.05

그냥 구글 검색보다 더 낫네 정도로 가끔 활용하다가.. 점점 더 발전하니까 앞으로가 기대됨.

2024.10.06

웹검색 대신으로 chatgpt에 시킵니다. 퍼플렉시티도 있는데 일단 chatgpt 유료사용자라서 얘도 웹검색할줄아니깐. 실험관련 논문이나 교과서 보다 좀 궁금한부분은 질문하면 어느정도 합리적인 설명은 해주더라고요. 그런데 심도있는 깊은 질문을 하면 엉뚱하거나 사실에 맞지않는 답을 줄때도 있던데. 실험에 필요한 코딩은 전적으로 챗gpt를 사용합니다. 자세한 부분은 잘 짜줍니다. 코딩잘하는 동료 찾아가서 굳이 물어볼 필요없음. 확실히 몇년 공부해야 나올수 있는 성과물을 금방 답해줘서 학문적으로 아주잘 활용하고 있죠. 전 인공지능 전문가도 아닌데 관련 모델 코드도 짜주고 여러가지 공부를 해보고 있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