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전 사람이 공감버튼 다 눌러놨길래 저도 다 눌렀습니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150 - ㄴ 222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655 - 뭔데 이거 ㅋㅋㅋㅋ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425 - 저는 공감 버튼 비율이 깨져있길래 다시 맞추어두었습니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480 - 이것만 공감 비율 깨져있는 거 개웃기네 ㅋㅋ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335 - 탈모생겨서 탈모약 받았는데, 약먹고나서 간 수치 5배 올라서 지금부터 내 인생은 수북한 머리는 끝났다.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75 - 새로운 랩에서 적응 잘하게 해주세요.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155 - 공대면 최소 SSH 이상으로 대학원가세요 여러분. 정말입니다. 대가 수준의 자대 연구실이 아니면 석사 이상은 비추이며 애초에 시작을 하면 안됩니다..ㅋㅋ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27 - KMO 출신은 대학원가서 날아다니던데 근데 과거의 영광에 빠져서 많이 안배우면 스트레스 받긴 할 듯
영재고, 과학고 사이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
24 - 애초에 대학원을
PKSKY 이하로 가는게 큰 문제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26 - 근데 과고 영재고 애들이 기본적인 머리가 똑똑한건 맞음.
대신 박사받고 연구하고 하는데에 있어서는 똑똑한건 하나의 무기일 뿐이지 그것만으로 다 할 순 없음. 끈기, 멘탈, 사회성 등등이 다 복합 됨.
그래서 오히려 머리는 좋은데 멘탈깨져서 대학원에서 죽쑤는 애나 포기하는 애도 많이 봤고, 더 나아가면 경쟁에서 지는 것이 싫어서(자존심) 그냥 현실에 안주하고 멈추는 애도 많이 봄.
물론 좋은 머리+독기+사회성 다 맞아서 훨훨 날아다니는 애도 있고.
영재고, 과학고 사이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
28 - 이하?ㅋㅋㅋ PKSKY도 가지 말란 소리네?ㅋㅋ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21 - 님 대학(원)생 맞기는 해요? ㅋㅋㅋㅋㅋㅋ최소한 대학교 3년만이라도 다니면 저런 말 안 나올텐데....
토플도 아니고 뭔 토익 점숩니까 KMO에서 상까지 받은 사람한테 ㅋㅋㅋ 과고도 아니고 영재학교에서 수석입학한 사람이 어느정도인지나 알고 하는 말이에요?
님 뭔가 말하는게 걍 고딩같음. 아니면 영과고 최하위권도 가지 않는 대학을 다니고있거나.
영재고, 과학고 사이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
18
자율주행이랑 로보틱스 희망해서 석사 생각하고 있는데 이거 맞말인가요?
2024.07.25

"
근데 대학원생들이 막 그렇게 죽자살자 해봤자 달라지는게 뭐가 있음?
비꼬는게 아니라 취업할때 경력이나 더 쌓는거 빼곤 뭐있는거냐?
한국에서 노벨상이 나올것도 아니고 구지 연구실에서 교수 따까리 하면서 밤샘공부하는 이유가 있냐
어차피 잘먹고 잘사는 놈들은 정해져있는데 대우 이상하게 받으면서 아득바득 할바엔 걍 그 노력으로 기업에 들어가는 노력을 하면 ...
내가 대학원생일때 남들은 백수도 있고 공무원, 회사원등이 되어있는데 사실상 백수가 좀 신경쓸게 많은게 대학원생아니냐? 지원비는 나와도.."
아무리봐도 설카 아닌이상 국내대학원은 갈필요가없는데
"비하의 분탕 그런게아니라
학령인구감소로 교수자리는 진또배기 씹천재들이
미국박사 받고 자리잡고 (노력해서 교수하겟던 소리 하지마라)
연구소취직은 일반 회사취직만도 효율못하고
연구교수는 최저임금이고
돈시간남아서 대학원갓다하면 국박을 갈게 아니고
설카이외 국박가면 실력이없어서 bep잡는직업 못잡고"
저도 대학원생으로서 항상 후배들한테 말합니다. 대학원은 들이는 노력과 시간에 비해 돌아오는 게 적다고.
조금만 제대로 된 대학원을 진학한다면, 하루에 8시간 10시간씩 공부해야 한다는 것은 다들 잘 아실겁니다.
박사의 경우는 잠자는 시간을 뺀 모든 시간을 다 공부에 투자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럴 노력으로 다른 걸 했으면 더 돌아오는 게 많을 겁니다. 차라리 일찍 취직을 해서 돈을 벌든지, LEET나 PEET, 아니면 CPA 준비를 하던지,
아니면 수능을 다시 치든지. 뭘 해도 대학원 공부에 투자하는 것보단 나을 겁니다.
이렇게 열심히 공부를 해도 미래가 보장되는 것도 아닙니다. 교수의 길은 까마득해 보이고, 평생 시간강사로 보낼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도 있습니다.
내 친구들은 사회에서 자리를 잡아 가는데 아직도 나는 어정쩡한 위치이고, 결혼을 했다면 배우자와 자식들의 생계도 책임져야 하는데
그럴 물적 여유도 심적 여유도 없습니다. 이게 보편적인 대학원생의 삶입니다.
그러면 대학원은 왜 가는 걸까요? 어떤 사람이 대학원을 가야 할까요?
저는 "연구가 너무 좋아 견딜 수 없는 사람"이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득실을 따지면 애초에 대학원은 오면 안 되는 곳입니다.
"나는 연구가 너무너무 좋다. 다른 모든 걸 포기하고서라도. 평생을 지방대 시간강사로 떠돌게 되더라도 연구를 할 수 있다면 만족한다"
라는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 와야 하는 곳입니다.
저도 미국에서 공부를 하며 정말 다양한 사람들을 봤지만, 결국 교수로 성공하는 사람은 두 가지 부류로 압축되더군요
1. 그냥 자기가 제일 잘하는 걸 했는데 그게 교수인 사람
2. 앞서 말한 연구가 너무 좋아 견딜 수 없는 사람
1의 경우는 타고 나는 것이고 어느 분야나 이런 선택받은 소수는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평범한 우리는 2밖에 선택할 길이 없습니다.
얼마 전에 HCR에 선정되어 언론을 타고 유명해진 박은정 경희대 교수는 동덕여대에서 학-석-박사를 했습니다.
한참동안을 학계의 변방에서 떠돌았습니다.
여러분이 만약 학석박을 국내에서 나왔고, 그 학교마저 명문대가 아닌 그저 그런 학교라면,
이런 상황에서 교수직을 노리고 연구를 계속 하는 게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느낄까요?
'나는 결국 이거밖에 안되는구나' '고작 이거 한다고 가족들 다 내팽개치고 난리를 쳤구나' '인생 헛살았구나'
하는 생각이 매 순간순간 들 것입니다.
그런 상황에서 10몇년씩을 버티며 계속 연구를 한다는게, 보통 멘탈로는 안 되는 일입니다.
제가 미국에 처음 갈 준비를 할 때 교수님이 그런 말씀을 해 주셨습니다.
"Top 10, top 20을 가면 좋지만, top 50, top 100을 가도 끝은 아니다. 결국 버티고 버티면 교수 할 수 있다. 다만 그 과정이 정말 고통스러울거다" 라고.
저도 미국에서 학벌은 안 좋지만 연구능력의 포텐셜은 보이는 사람을 제법 많이 봤습니다.
우리 교수님 식으로 표현하면 '버티면 교수 할 수 있는 사람들' 이었죠.
근데 그런 사람 10명 중 9명은 언제 끝날 지 모르는 불확실한 미래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중간에 그만뒀습니다.
끝까지 살아남은 사람들은 전부 교수를 목표로 노력하던 사람들은 아니었습니다.
연구 자체를 즐겼고, 교수직은 정신없이 연구를 하다보니 어느새 따라온 경우인 사람들이었습니다.
저는 이런 마인드를 가진 사람이 대학원에 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교수가 되기까지의 긴 긴 세월이 너무나 고통스럽습니다.
교수가 되고 싶어서 대학원에 오면 안 됩니다.
연구를 하기 위해 와야 하고 교수직은 어쩌다 보니 따라오는, 물론 따라오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일 뿐입니다.
그래서 '나는 교수가 못 되어도 연구만 할 수 있으면 행복해!' 라는 생각이 필요합니다.
앞에서는 좋은 케이스만을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결국 변변찮은 시간강사로 아직도 헤매고 있는 사람들도 많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이런 반론을 할 수 있습니다.
"평생 성공 못하고 시간강사로 살아도 좋다면, 결국 집안에서 공부시키고 실패해도 밀어줄 있는 집 자식만 하라는 소리 아니냐"
네, 맞습니다. 그래서 대학원은 좀 '있는 사람들' 자식들이 와야합니다.
물론 그렇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다만 그 중간 과정이 다시 곱절로 고통스러워질 뿐입니다.
이런 경향은 순수학문으로 갈수록 더합니다. 본디 현대의 대학이라는 것이 예전 전통적인 귀족들의 학문과, 실용학문이 합쳐져 있는 곳이라,
공학 같은 실용학문은 아무리 안 풀려도 자기가 배운 지식으로 취업은 할 수 있지만 인문학 같은 경우는 그냥 고학력 실업자가 될 뿐입니다.
공대는 중간 정도의 실험실도 필요합니다. 획기적이지 않아도 데이터를 뽑아주는 랩도 필요합니다.
하지만 순수학문은 상위 1%를 제외하면 사실 나머지 99%는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세계입니다. 본인들이 그걸 더 강하게 느낄겁니다.
본래 대학원이라는 것 자체가, 생산을 하지 않고 오로지 공부에만 몰두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이러한 귀족적 성격을 띈 곳이라, 귀족 아닌 사람이 오면 힘들고 괴롭습니다.
그래서 그렇게 괴로워도 연구만 하면 좋다는 정신적으로 맛이 간 사람들이 와야합니다.
위에 언급한 박은정 교수도 나 때는 박봉에 악조건에 교수 수발에 시달려도 연구만 하면 너무 기뻤다. 요새 애들은 너무 조건을 따지고 든다는
인터뷰를 한 적이 있으셨죠. 대학원생의 자격요건을 잘 나타낸 인터뷰입니다.
한국이 석사 과정이 박사과정과 별개로 분리되어 있어서 좋은 점은
이러한 고민들 석사 때 해보고 진로를 바꿀 기회가 있다는 것 같습니다.
현재 대학원 진학을 목표하고 있거나, 석사과정에 재학중이신 분들은 한번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나는 춥고 배고파도 연구를 하는 것만으로 즐거운 삶을 살 수 있는지.
그냥 회사를 먼저 가는게 맞을까요
-
140 53 25741 -
100 53 21017
대학원 원래 이런 곳인가요? 김GPT 36 27 9643-
45 11 34478
대학원 오지 마세요 제발 경고합니다 김GPT 174 62 29172
지방대 대학원의 현실 김GPT 6 24 21814
취업하려고 대학원 가는 애들은 김GPT 17 5 10706
공대생의 어쩔 수 없는 현실 김GPT 21 30 15271
확실히 대학원생들이 김GPT 58 14 7067-
401 75 52316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84 22 54052-
228 30 8518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박사과정생과 프레시 박사들을 위한 연구제안서 쓰는 팁
218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05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73 - 일을 잘 한다는 것.
197 - 연구 너무 못 하는거 같아서 우울함
43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5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13 -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 대학원은 오지마세요
48 - 광주과기원 불합격
15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7 - 한국형 스타이펜드 문제점
3 - 이공계 대우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 대학원 학비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들 진짜 열심히 사시네
16 - 영재고, 과학고 사이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
20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24 - 외국인 학생들 정말 싫다.
6 - 자대 석사는 면접을 죽쒀도 붙는다는데 진짜인가요?
13 - major revision due date 2주..
12 - 군대 , 전문연구요원 고민 있습니다.
8 - spk 가능할까요?
4 - 올해 2000억 투자하는 K-AI 컨소시엄 포함된 대학들… ㄷㄷㄷㄷㄷ
4 - 우울증이 심한데 다니기가 버겁습니다
11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6 - 컨택 면담 반팔 셔츠 + 슬랙스
6 - 확실히 여자친구 있으면 연구 효율 떨어지는 듯
1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박사과정생과 프레시 박사들을 위한 연구제안서 쓰는 팁
218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05 -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273 - 일을 잘 한다는 것.
197 - 연구 너무 못 하는거 같아서 우울함
43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5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13 - 어중간한 인서울 사립 대학원은 오지마세요
48 - 광주과기원 불합격
15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7 - 한국형 스타이펜드 문제점
3 - 이공계 대우 관련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4 - 대학원 학비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2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TOP 5 대학교 풀펀딩 박사과정 합격자 초청
28 - STEM분야 미박 탑스쿨 가능성 냉정히 평가 부탁드립니다.
27 - 기계공학 박사유학 관련 질문드립니다.
11 - 교수님들 진짜 열심히 사시네
16 - 영재고, 과학고 사이에서 많이 보이는 유형
20 - 랩 차이가 아니라 대학 차이는 실존합니다
24 - 자대 석사는 면접을 죽쒀도 붙는다는데 진짜인가요?
13 - major revision due date 2주..
12 - 군대 , 전문연구요원 고민 있습니다.
8 - 우울증이 심한데 다니기가 버겁습니다
11 - 컨택 면담 반팔 셔츠 + 슬랙스
6 - 확실히 여자친구 있으면 연구 효율 떨어지는 듯
12
2024.07.25
대댓글 1개
2024.07.25
2024.07.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