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 vs 자대 메리트

Edward Gibbon*

2020.07.26

12

6623

연구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고 싶어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Carl Menger*

2020.07.26

자대를 진학할 경우에도 자대에서 박사까지 하실 생각이신가요?
Edward Gibbon*

2020.07.26

ㄴ 네 그렇습니다. 해외박사를 생각해봤지만 집안사정+박사취득시간 증가 때문에 제외했습니다.

2020.07.26

h-index 90이면 갈 수 있으면 가시는게 좋을 것 같은데..
연세 있으시다 해도 괴물급이시네요
교수님 이름보고 가세요
Edward Gibbon*

2020.07.26

ㄴ혹시 spk/자대 에서 spk를 초이스해주신 이유라도 있을까요?
Howard Florey*

2020.07.26

Spk가세요... 자대 박사들 말 듣지마셈. 거기 박사들은 교수밑에 자대생들 확보하는게 하나의 주요 업무기도 함... 교수님들이 박사들 압박 플레이 오짐.

2020.07.26

자대에서 자대 박사과정들이 Adv. Mater급을 1년에 한편 이상 쓴다면 그리고 지도교수가 해외 대가랩에서 박사과정 or 포닥을 했고 Alumni들이 좋은 곳으로 포닥 간다면 -> 자대가도 괜찮을 수도
아니라면, h-index 90 이상의 교수 랩으로 가는게 나아보임.
Edward Gibbon*

2020.07.26

ㄴ 혹시 adv.master 급이라는게 advanced material 말씀하시는건지 여쭤봐도될까여?

2020.07.26

ㄴStretchable Conductive Polymer 라고 했으니까 당연히 Nature/Science, 자매지는 최고고 Advanced Materials, Science Advances, Advanced Science,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ACS Nano, Nano Lett, Nature communications 등등.. 아마 IF 찾아보면 알거임.

그런 저널에 얼마나 그 랩 출신 학생이 자주 게재하냐가 중요함.
그러니까 주위 선배들도 자대가 좋고 실적위주라고 하지만, 사실은 SPK를 겪어보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들 말이 신뢰가 있으려면 같은 년차의 SPK H-index 90랩 교수보다 본인이 실적이 좋은지 비교해보셈.

개인적으로 나는 논문 편수가 NSC가 아닐경우
SSH 박사 논문 +1~3 편 = SPK 박사
이 정도가 되야 SPK 출신과 동등하거나 좀 낫다고 생각함.
Edward Gibbon*

2020.07.26

감사합니다

2020.07.26

학벌은 높을수록 좋습니다
무조건 SPK가세요
실적보다 어느 교수님 밑에서 배웠냐가 중요합니다
나중에 취업할때 "오~ ㅇㅇㅇ교수 제자군, 뽑아볼만한데" 이런얘기 들으려면 SPK가야합니다.
SPK교수님이 훨씬 유명세 있고 과제도 따기 쉽고 그렇습니다.
큰물에서 노십시오

2020.07.26

자대 선배들은 어쩔수없이 본인이 자대에 있는 합리화를 해야하는거니 그렇고
자대 교수들은 가장 좋은 일꾼인 자대생들이 떠나는걸 안반가워 합니다. (타대생보단 자대생이 똑똑하니)

2020.07.26

본인 학부 스펙과 실력이 되면 skp로 가면 좋고
아니다 싶으면 차선책으로 상위권공대 랩실 알아보고
그기는 가능하면 그쪽에서 노력해서 좋은 논문실적
내고 좋은곳 취업하면 되는것 아닌가 싶은데.....
사람 앞날은 운도 따라야되고 하는거니 너무 한곳으로만 진로를 집착할 필요는 없는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