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학부 졸 / 평점 3점 중후반대 / 지거국 졸업 / 수도권 소재 대기업 재직 중(2년차) 2. SPK, -ist 대학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 3. 진학하고자 하는 연구실 교수님과 컨택 완료, 면담 예정 4. 분야 전환 혹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대학원 진학 목표(R&D 직종 근무 중 이지만, 학부 학위로는 한계가 있는 것을 느낌)
[질문] (1) 연구실 연구 분야와 현 직장 업무 분야의 교집합이 있을 시 상대적으로 낮은 학점을 직장 경력으로 커버 할 수 있는지? (2) 분야가 다르더라도 대학원 서류 과정에서 직장 경력이 장점이 될 수 있는지?
선배님들 답변 부탁드림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4.03.03
아뇨,,,회사 다닌게 뭐 큰 경력이 되나요. 가서 뭐 논문을 쓴 것도 아니고. 파트로 회사에서 돈 대줘서 오는거면 조금 감안이 될 순 있겠네요.
2024.03.03
현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학부 졸 / 평점 3점 중후반대 / 지거국 졸업 / 수도권 소재 대기업 재직 중(2년차) 2. SPK, -ist 대학원을 목표로 하고 있음. 3. 진학하고자 하는 연구실 교수님과 컨택 완료, 면담 예정 4. 분야 전환 혹은 전문성 향상을 위해 대학원 진학 목표(R&D 직종 근무 중 이지만, 학부 학위로는 한계가 있는 것을 느낌)
[질문] (1) 연구실 연구 분야와 현 직장 업무 분야의 교집합이 있을 시 상대적으로 낮은 학점을 직장 경력으로 커버 할 수 있는지? (2) 분야가 다르더라도 대학원 서류 과정에서 직장 경력이 장점이 될 수 있는지?
선배님들 답변 부탁드림다.
대댓글 1개
2024.03.04
이런박제는 왜하는건지,,,
2024.03.04
대기업 다니다 온거 교수들이 굉장히 좋게 봐줍니다.
대기업 물망에서 한번 검증됐다고 보구요. 회사 출신들이 서류 작업에 트레이닝이 돼있다보니 연구계획서 및 발표 자료 작성과 같은 일에 도움되는 일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리고 일하다 온 사람들이 대부분 업무 캐파나 스트레스 한계가 학생들보다는 높게 적응이 돼있어서 교수 입장에서 아무래도 일시키기가 편하죠 ㅎㅎ..
대댓글 2개
2024.03.04
skp는 입학처에서 대학마다 학점 서류컷을 설정해두고요. ist는 실시하고 있다는 곳이 있다고는 하는데 어딘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서류통과는 경력을 떠나서 학점의 영향이 크다는 뜻입니다.
그치만 서류통과를 하신다면 대기업경력은 높은 학점을 커버할만한 스펙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컨택이 잘됐다는 가정하에)
2024.03.03
2024.03.03
대댓글 1개
2024.03.04
2024.03.04
대댓글 2개
2024.03.04
2024.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