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으로 줄세웠더니 알고보니 학벌도 좋더라는거지, 학벌로 줄세웠더니 실적도 좋더라가 절대 아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4.02.04
이공계는 이게 맞는 듯. 그냥 보면 느껴짐. 신임교수들 실적은 무시무시함.
2024.02.04
서울대공대 모 과는 가장 최근에 임용되신 교수님이 부산대 출신
2024.02.04
아카데믹 잡마켓 나가본적 없는 사람들이나 학벌어쩌고하지, 제대로된 연구중심대학이라면 실적만 보고 뽑는다고 봐도됨 (실적이 비슷하면 학벌이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는건 어쩔수 없고)
이말은 제대로된 대학이 아니면 학벌만 보고 뽑을수도 있다는말
2024.02.05
실적도 이름 넣어주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올릴수있는데 안걸리면 그만 인 사람들은 어떻게 대처하나요?
대댓글 2개
IF : 1
2024.02.07
임용 시 실적 계산법 보시면요. 저자 수 많으면 많을 수록 1/n으로 계산하기때문에 어짜피 실적이많아도 큰 도움 안돼요. 이건 정량평가일 때 기준이에요.
2024.02.07
아 그렇군요 제가 평가할 영역이 아니네요 감사합니다
2024.02.05
학벌은 그 사람의 과거의 실적 중 하나임.
2024.02.05
실적이 중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자기 학교 아래 학벌로는 안됨. 예를 들어 서울대에 연고대 출신들 안뽑음. 카 포나 이대출신 해외대학은 그래도 좀 깍두기로 뽑아줌. 연고대는 서성한 레벨은 잘 안뽑음. 사성한은 그아래는 안뽑음. 뭐 이딴 식임.
대댓글 5개
2024.02.05
자기가 본게 세상의 전부같지? 카이스트 ee 봐라 고대 건대 출신 교수님도 있다 젊은교수님들
2024.02.05
그러면 서울대에 어떻게 다양한 학교 출신 교수님이 있지요? 이런것을 억측 이라고 하고 이성보다는 감성에 의한 결론이라고 합니다. 님이 이공계라면 연구하는데 큰 장애가 있으실 것 같네요.
2024.02.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현실을 너무 모르시는듯
2024.02.06
그리 생각하고 싶겠지. 내가 카이스트 출신이지만 그나마 카이스트가 실적위주로 뽑아주는 학교고. 그나마도 박사는 해외 유학 한사람들이고. 퍼센티지 보면 그런 예외캐이스를 논하는 건 의미 없다는 것.
2024.06.01
서울대공대에 인하공대 학사도 있던디
2024.02.05
실적>>>>>학벌인데, 실적이 많지 않으면 학벌이 중요해지는거죠 그래서 상대적으로 실적이 많지 않고/많더라도 지도교수나 연구실 역량으로 평가받는 석사나 프레시 박사는 실적보다 학벌이 중요한 경우가 생기는데, 포닥까지 어느 정도 찍으면서 실적을 쌓으면 결국 실적이 전부가 되는 것 같아요
2024.02.04
2024.02.04
2024.02.04
2024.02.05
대댓글 2개
2024.02.07
2024.02.07
2024.02.05
2024.02.05
대댓글 5개
2024.02.05
2024.02.05
2024.02.05
2024.02.06
2024.06.01
2024.02.05
2024.02.06
2024.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