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대학원 진학 관련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현고3재수고민중매우매우심각

2023.11.14

15

1503

저는 현재 고3인 학생입니다.
어려서부터 생명공학자를 희망하였기 때문에 생기부 또한 생명공학으로 가득 채워서 수시 6장 다 생명공학과으로 썼습니다..
생명이 워낙에 경쟁률도 쎄고 입결도 높은 탓인지 1, 2, 4지망 다 떨어졌습니다..
3지망은 경쟁률이 너무 높아서 애초에 기대도 안하고 있습니다..
제가 지금 최초합으로 안정으로 깔아놓은 서울여대 하나만 되었는데 문제는 이 학교에서 좋은 대학원에 진학이 가능할까요...??
방금 2지망 불합까지 떠서 정말 계속 울다가 이제는 재수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대학원은 대학에서 학점을 잘 따고 학부 연구생으로서 전공을 어떻게 굳히는가에 따라서 달라진다고만 알고 있습니다..
서울여대에서 충분히 좋은 대학원 진학 가능할까요..??
정말 심각하게 재수까지 고려하고 있어서 진지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3.11.14

대학원은 대학교에서 열심히 노력하면 다 좋은데 가니
지금은 대학입시 생각만하세요

대댓글 1개

2023.11.14

정말 감사합니다ㅠㅠㅠ 컨설팅 받고 원서 쓴건데 결과가 너무 안좋아서 정말 낙담했는데ㅠㅠㅠ 덕분에 좀 힘이 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2023.11.14

학점 잘 신경쓰세요... 매우 중요합니다

대댓글 1개

2023.11.14

넵!! 감사합니다!! ㅎㅎ

2023.11.14

그 내일모레 수능을 잘보시면 되는거 아닌지

대댓글 1개

2023.11.14

앗 저 수능은 보는데 최저가 없어서 완전 수시러입니다..!! 컨설팅에서 최저 안맞추는게 합격률 높다고 해서...ㅎㅎㅎ...

2023.11.14

좋은 대학이 좋은 이유는 님이 진로를 바꿀만큼의 큰 동기부여의 기회가 많이 주어진다는 점 때문 아닐까요 생공 대학원 꿈을 바꾸지 않을 자신만 있으시다면 그곳에서 학과 상위권 하시면 대학원 좋은 기회 있을겁니다

2023.11.14

이상한 희망을 주네;; 냉정하게 좀 힘들다 봅니다

2023.11.15

개인적으로 학계에서 서울여대 출신 학생이나 교수들을 만나보거나 들어본적은 없음.
가서 하기 나름인 부분도 있겠지만 대학마다 교육의 질이 다르고 성장의 기회도 차등이 있으니 스스로 노력을 많이 해야할것.

하나 덧붙이고싶은 말은, 너무 어릴때 꿈이 너무 구체적인 것이 좋다고 생각하지 않음. 다른 길도 적성에 맞을수도 있고, 지금 원하는 분야에 대한 생각이 바뀔수도 있고.. 여러 방향으로 진로를 더 탐색해보는것을 추천함.

2023.11.15

생공은 아니지만 같은 자대 서울여자대학교 출신입니다. 제 선배님들이나 주변에는 석사유학이나 박사 유학가신분들도 있고 학점 관리 잘 해서 skp ky로 대학원 진학하신 분들 많고요.
교수 테뉴어 받으신분들도 계십니다.

2023.11.15

김박사넷 보시면 타대 학생들 받네 마네, 차별하네 안 하네로 엄청들 다투시는 것 같던데... 우리 랩은 좀 마이너해서 자대생 아니면 다 외국인이라서 상황을 잘 모르겠다만, 여기 분위기만 보면 타대로 넘어가는 문이 굉장히 좁은 것처럼 느껴지더라구요... 그것도 분야에 따라 다르겠지만...

2023.11.15

학점관리 잘 하면 어디든 갈 수 있겠지만 서울여대인만큼 댜학원 진학시 또 그만큼의 도전이 되겠죠

2023.11.15

아무리 내가 학부, 대학원 입시를 미국에서 했다곤 하지만, 김박사넷은 특히나 SKY,SKP아니면 뭐때매 불리하니 마니 말이 너무 많은것 같음. 대학원 입시를 해봤는지 의문이 들정도로.

전역하고 3학년 복학 전에 SKP 대가랩에서 학부인턴 할땐 대학원 진학생각있으면 자기랩으로 오라고 할정도였고 지금도 연락 주고받고있는데, 물론 학부인턴을 한다해서 무조건 그 랩에 들어갈수 있는건 아니었겠지만 체감 난이도는 미국 대학원 입시가 훨씬 빡셌던것 같음.

이래나저래나 결국 대학에 들어가면 또 대학때의 기록들로 대학원 입시를 치를텐데, 일정이상 되는 학교라면 커리큘럼도 비슷비슷할거라 본인만 기죽지 않고 잘하면 된다고 생각함.

개인적으로 학벌의 차이는 해당 학과에 들어오는 투자 규모, 수업외로 학생들에게 주어지는 기회, 그리고 사람인것 같은데, 수업 열심히 들어가며 기초 잘 챙기고, 학부인턴 조금 일찍부터 시작해서 경험쌓다보면 웬만한 학부생들보단 나을거니 너무 걱정말길

2023.11.15

기준을 높이 잡자면 의대 가서 의사 면허 받고 M.D PhD 하는게 제일 교수되기는 쉬울거고 굳이 낮춰서 잡자면 진짜 지방사립대 나와도 할 사람은 합니다. 물론 후자는 대학 진학후가 많이 힘들겠지만...

2023.11.15

근데 요새도 생명 세나요?? 이과에서 낮은 축 아닌가?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