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팩트는 글 처럼 하는 사람들 거의 없고, 유능한 학생들 소수한테 짬질해서 글과 유사한 다운그레이드 방식으로 랩 굴리면서 나몰라라 하는 경우가 대부분임. 단지, '이게 되네?' 라는 운의 반복이 지속된거고 랩 관점에서는 이게 글쓴이가 말한 선순환 구조라고 볼 수 있음.
20 - ㄹㅇㅋㅋ 유능한 노예가 핵심임 본문은 너무 교수입장에서 포장된듯
16 - 설 카 연 포 고 순서
20 - 스탠포드는 박사생 인건비 1년 8500만원씩 주던데…
10 - 그정도 받을 능력 되면 스탠포드를 가세요 ㅇㅇ
한국에서 쥐꼬리만큼 받지말고
10 - 랩바랩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과기원이 전반적으로 낫죠. 종합대랑 과기원이랑 환경부터 차이가 큽니다.
12 - 할거면 35전에 취업한다고 마음 먹고 하셈. 별로 안 늦었다는 개소리고 그딴 좋은 말은 누가 못함
11 - 27살에 석사 시작한 여자입니다. 다이렉트로 박사시작하고 지금 4년차 34이네요.
(이런말 실례일수도 있는데, )남자라면 고민안했을건데...ㅎㅎ
20대였으면 고민도 안하고 미국포닥 준비할 것 같은데...여러가지 생각을 뒤로 하고 취업준비합니다.
박사과정에는 3가지가 잘 따라줘야 한대요. 운, 건강, 실력.
박사과정을 마무리하는게 생각보다 어렵다고들 했는데 콧웃음친 대가인지..
실력이 없어서 실패한건 내잘못이니 덜 억울하지만, 운이 너무 없었어서 억울은 합니다 ㅎㅎㅎ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하는 순간 지르세요. 매일 같이 울었고 1년이 멀다하고 정신병걸릴뻔하긴했지만 버틴것에 대해 남는건 있습니다.
최선을 다했거든요.
진짜 힘들때(지도교수 횡령으로 랩이 없어질 위기있었음 ㅎ) 누가그러더라구요.
박사과정은 졸업이 최우선이라고.최선을 다하되 실패했을때를 대비한 Plan B를 반드시 세울것!
박사과정의 최우선은 드럽고 치사해도 졸업이었습니다. 별말아닌데 죽어라 최선을 다했어요.
글쓴이님은 성공하시길 간절히 바랄게요!
10 -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요인, 이를테면 나이, 성별, 국적, 인종 등으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물론 특정 집단을 겪은 경험에 기반해서 어느정도 스테레오 타입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을 밖으로 표출하거나, 입시나 면접 등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만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동양인을 많이 겪어봤는데 영 별로라서 동양인 신입생은 안받으면 좋겠다' 와 비슷한 말인데, 저런 말을 대놓고 하면 당장 인종차별로 난리가 나겠죠.
실리적으로 생각할 때, 교수님이 만약 저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이 많은 학생들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믿으시는 편이라면 화내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분위기를 흐린다, 라고 하지는 마시고, 특정 인물과 그의 행동을 지정하면서 연구실 분위기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시면 교수님께서 적당히 개입하실 수도 있겠네요.
31 - 이딴 ㅂㅅ같은 소리하는 도둑놈들이 많으니깐 우리나라 연구실에서 연구하기 ㅈㄴ싫음. 당신 같은 사람 때문에 한국 연구문화가 쓰레기 소리 듣는 거에요
13
IST 대학원 합격가능성이 어느정도일까요?
2023.10.20
현재 부산대 지질학과 18학번 25살입니다[군필]
-사실 빠른년생이라 00년 2월생입니다
다음학기까지 하고 졸업예정이고(현 4학년1학기)
영어성적은 토플 84점 / 아이엘츠 6.5 있습니다
총학점 4.5만점에 4.14 이고 전공학점 4.08입니다
부전공으로 대기과학을 하고있으며(복전하다 포기했습니다. 현재까지 21학점 수강. 다음학기때 대기과학 6학점 더 들을듯)
부전공 성적은 3.9/4.5 정도 됩니다
연구실 경험은 자대 연구실 여름방학기간 경험이 끝이며 논문 쓴것은 없습니다(그냥 프로그램 돌리는거랑 대학원생 보조만 해봄)
2020-2021 군휴학이라 코로나 학점버프는 없었습니다
유니스트 연구실(자대생 타대생 반반에 타대생은 지거국 출신이 대부분 일부 지사립생 외국인생 있음)
지스트 연구실(위와 마찬가지 수준)
생각중이고
상향으로 포스텍 연구실(석사 4명인데 2명 자대 1명 부산대 1명 충북대) 고려중입니다
뭐 사실 스펙도 아니지만
컴활1급 보유 기상청 국민참여단활동. 환경교육봉사 이런거 하긴 했습니다
지구과학이라는 학문 특성상 위 연구실 모두 기후나 환경 대기과학에 중점이 있고 부가 학문들도 같이 융합해서 다루는 느낌입니다(해양 지질 환경공 지리 등등)
하지만 주로 대기과학과 졸업생들이 가장 많습니다
인접 전공이긴 하지만 지질학은 땅 광물자원 이런걸 다루는거라서 좀 차이는 있고 그래도 대기를 부전공해서 잘 융합하면 그게 저만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스펙으로 승산이 있을까요?
-사실 빠른년생이라 00년 2월생입니다
다음학기까지 하고 졸업예정이고(현 4학년1학기)
영어성적은 토플 84점 / 아이엘츠 6.5 있습니다
총학점 4.5만점에 4.14 이고 전공학점 4.08입니다
부전공으로 대기과학을 하고있으며(복전하다 포기했습니다. 현재까지 21학점 수강. 다음학기때 대기과학 6학점 더 들을듯)
부전공 성적은 3.9/4.5 정도 됩니다
연구실 경험은 자대 연구실 여름방학기간 경험이 끝이며 논문 쓴것은 없습니다(그냥 프로그램 돌리는거랑 대학원생 보조만 해봄)
2020-2021 군휴학이라 코로나 학점버프는 없었습니다
유니스트 연구실(자대생 타대생 반반에 타대생은 지거국 출신이 대부분 일부 지사립생 외국인생 있음)
지스트 연구실(위와 마찬가지 수준)
생각중이고
상향으로 포스텍 연구실(석사 4명인데 2명 자대 1명 부산대 1명 충북대) 고려중입니다
뭐 사실 스펙도 아니지만
컴활1급 보유 기상청 국민참여단활동. 환경교육봉사 이런거 하긴 했습니다
지구과학이라는 학문 특성상 위 연구실 모두 기후나 환경 대기과학에 중점이 있고 부가 학문들도 같이 융합해서 다루는 느낌입니다(해양 지질 환경공 지리 등등)
하지만 주로 대기과학과 졸업생들이 가장 많습니다
인접 전공이긴 하지만 지질학은 땅 광물자원 이런걸 다루는거라서 좀 차이는 있고 그래도 대기를 부전공해서 잘 융합하면 그게 저만의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스펙으로 승산이 있을까요?
디지스트대학원 김GPT 0 7 9465
대학원 고민이 됩니다. 김GPT 6 19 2992-
1 9 8619
서울대 대학원 관련 스펙 김GPT 0 2 9570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김GPT 1 8 10138
연고대 대학원 합격 스펙 김GPT 0 7 5337
지거국 4점대 대학원 가능 라인 김GPT 9 8 2271
유니스트 대학원 합격 가능성 김GPT 0 8 5509
연고대 대학원 질문이요 김GPT 0 3 5109-
312 68 88257 -
157 28 44865
미국빅테크 vs 인서울교수 명예의전당 21 80 32159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3.10.20
2023.10.20
2023.1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