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8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2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1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1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4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6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4 - 그리고 특임교수 돈 안받아요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7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8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1
김박사넷 글보면서 자신감을 갖는다
2020.06.20

생각보다 대학원을 열정과 호기심때문에 가는 사람이 별로 없구나라고 깨닫게 됨... 과고, 학부 서포카 애들도 미래 바라보고 가는 경우가 허다하고 그래서 모순적으로 의대와 비교질... 다른 삶과 비교질... 부모가 공부하라고 과고보내서 스트레스받아가며 대학원 진학한 친구들이 여긴 많은가봄
우리의 삶이 예술하는 사람들이나 운동하는 사람들이나 노가다하는 사람들이나 등등보다 나을꺼라 생각하나? 나는 그저 내가 연구하면서 가장 행복할 것 같으니까 진학하는건데
난 진짜 공부가 좋고 뭔가 발견해보고 싶은 열정이 가득한데 이런면에선 내가 경쟁력은 있겠구나 생각이 되는규만
어쩌다 김박사넷 오게 됐는데, 김GPT 48 34 9052-
31 20 17919
김박사넷을 응원하며 김GPT 16 1 3766
김박사넷 ㄹㅇ 정떨어지네 김GPT 15 5 7491
학벌싸움하는 김박사넷 보니까 김GPT 8 2 6675-
22 6 10484
김박사넷 수준 왜이럼 김GPT 19 10 2834
박사를 하고 싶은 사람은 김GPT 29 7 8605
김박사넷 커뮤니티 느낀점 김GPT 18 5 5618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37 37 36414-
378 71 48765
슬픈 국내 AI의 현실 명예의전당 126 38 3851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7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7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4 - FYI
10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11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1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2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1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4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7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7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4 - FYI
10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1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1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2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1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9
2020.06.20
2020.06.20
2020.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