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몇년 하다가 대학원에 뜻이 생겨 준비중입니다. 대다수의 학교 (특히 IST)가 공식적인 인턴을 학부생 한정으로 뽑더군요.. (이름부터가 URP,URF) 왜인지는 모르겠는데 IST는 개인적으로 컨택해서 인턴하고싶다고 하는데 졸업생을 안받는대요. 스펙의 문제인가? 싶어 다른대학도 문의를 넣어보면 상위 사립대까지는 긍정적인 반응인데.. 금전적인 문제로 IST쪽을 원하는데 슬프네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7개
2023.05.10
나이가…?
대댓글 1개
용감한 요하네스 케플러작성자*
2023.05.10
20대 후반입니다......
2023.05.10
인턴이 아니라 그냥 대학원 컨택을 하면되지않나요...? 그럼 학기시작할때까지 인턴 하라고 하실텐데
2023.05.10
상위 사립대가 어딘지 모르겟습니다만 연구쪽은 ist 랑 비교하기 어려울걸요 윗댓처럼 그냥 대학원 컨택을 하세요.
대댓글 9개
2023.05.10
UNIST가 YK랑 비슷한 수준이고 D랑 G는 ...? SH보다 아래던데요? 유의미한 연구성과만 체크하는 Nature index 기준으로 말하는 겁니다.
2023.05.10
아 잘못적었네요 성균관이 U보다 높네요
2023.05.10
요즘은 sh 훌리도 있네요
2023.05.1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ㄴ 그.. 규모 고려를 안하시나..?
2023.05.10
규모도 학교의 특징이죠. P가 규모가 작음에도 실적을 잘내니 인정받는거구요. 2021년은 P가 Y보다 순위높아요 Nature index에서. G랑 D는 규모가 작은데 실적도 특출나지 않은게 팩트인데요? 화학분야보면 U가 43.46 Y가 41.21 성이 37.77 고가 34.07 한이 19.11 G가 14.69 D가 6.11 생명분야는 Y가 14.24 고가 9.12 P가 8.61 성이 7.60 한이 6.08 D가 5.81 G가 5.47 U가 4.13 물리분야는 성이 64.00 Y가 57.25 K가 43.42 U가 39.72 H가 23.96 G가 17.54 D가 9.52
U가 전반적으로 실적 나오고 D랑 G는 실적이 압도적으로 밀리는데요? D랑 G는 물리나 화학분야에서 성균에 최소 3배~10배 밀리는데 이게 규모차이 때문인가요? 규모때문이면 D G가 U에 왜케 밀리는지요? 각 분야로 따지면 DGU가 규모면에서 크게 안밀리죠. 종합대학이 문과나 예체능 포함에서 사람이 많은거지 물리과 화학과 생명과에 교수가 크게 많은게 아니죠 (서울대는 교수가 많긴함) 저는 팩트로 얘기하는데 팩트없이 규모운운 SH훌리운운 하지마시구요. DG훌리 아닌이상 DG실적좋다고는 전혀 못할텐데요? 참고로 전 SH출신도 아니구요.
2023.05.10
너무 열심히 적으셔서 5분정도 대충 알던거 서칭해서 답글 달아드립니다.
애초에 무슨 대학원생 쪽수만 만명 가까이 되는 학교들이랑 1000명, 800명 이런 학교랑 저런 총량지표로 비교를 하나요? 유니스트 얘기 하셔서 쳐보니 U 가 D, G 보다 규모가 2배네요. 그게 이유인거 같고요. 문과 예체능 얘기하시는데 만명 vs 800명에 뭔 문과 예체능 대학원생 몇명이나 된다고 그걸 우기시는지... 분야별로 몇십배 이런얘기 하시는건 당연히 소수학교라 특정분야는 아예 교수가 거의 없어서 그런거일테고 수준은 더 높겠죠
일반적으로 알려진 인식을 말했는데 반박을 하시는걸 보고 찾아보니 인식이 더 견고해지네요.
2023.05.10
왜 전체과로 얘기를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물리과끼리 비교해보고 화학과끼리 비교해보세요. 대학원생이 10000명이어도 문과대학원에도 상당수가 있고 각 과에 분포한 학생수 차이는 큰 차이가 안납니다. DGU가 애초에 없는과도 많고 종합대학은 모든과가 있으니 숫자가 많은거지 각 과로 비교를 하면 U는 몰라도 DG를 실적좋다고 얘기못하구요. 학생수가 중요한게 아니고 교수 숫자가 중요한겁니다. 애초에 서울대 말고는 종합대 교수 숫자가 별로 안많아서 실험실 숫자가 그렇게 안 많아요. DGU가 그렇게 대단하면 실험실끼리 비교를 해보세요. 대학원생 수 많아봤자 실적하고 관계없는 사람 (문과 등)이 얼마나 많으며 (문과 예체능 숫자 안된다고 내려치기 하지마시구요, 졸업식때 보면 이공계 아닌 사람이 더 많이 보일때도 있습니다.) 각 과의 교수숫자가 유의미한 차이가 안나는데, 각 과로 비교했을때 차이가 3배~10배 나는걸 규모작다고 쉴드칠 수 없답니다. DG에 교수님들 몇분 아는데 일부 빼곤 인서울 상위 사립에서 평범한 교수님 실적 정도구요. 규모 2배로 키운다고 실적이 2배로 늘어난다고 생각하시는건 아니죠?
2023.05.10
인정을 안하실거 같아서 다음자료를 찾아봤네요 화학과 교수 수입니다 (김박사넷에 등록된것 기준) 포공28 카이28 서울37 연20 고23 한양22 U28 D21 G14 성균은 등록이 안된모양이고 D는 화학물리학과니 찐 화학과는 절반정도라고 치구요. 교수 숫자가 서울대 > 카이 포공 U > 고 한양 연 > G D 순서네요. 포공이나 U 맨날 규모 작다고 하는데 KY보다 교수가 훨씬 많아요. KY가 대학원생수가 많아봤자 과 종류가 압도적으로 많은거지 각 과의 규모가 큰건 아니랍니다. 그러니 양적인 실적에서 큰 우위를 가질 수가 없죠. DGU는 몇가지 과에만 집중해서 교수를 뽑으니 규모자체는 작아도 특정과 교수 수는 절대 작지 않죠. U의 화학과 교수가 Y의 화학과 교수보다 8명이나 많은것 처럼요. 그러니 앞으로 단순히 대학원생 숫자만 가져와서 규모가 작다는 언급은 하지 않길 바래요.
청승맞은 마키아벨리*
2023.05.12
유니 디지가 교수수 대비 실적이 엄청안나오는군요. 장비도 훨씬좋지않나
2023.05.10
인턴은 대학원에 뜻이 있는 학부생을 모집하기 위함이라 졸업생이면 다이렉트 대학원 컨택해서 들어가시면 됩니다.
2023.05.10
졸업생이 인턴을 왜 하려하지?? 일반적인 렙에선 보통 안 뽑죠.. 심지어 나이도 적은 것도 아닌데
2023.05.10
졸업생이 인턴으로 들어오려는게 이해가 잘안가네요
2023.05.12
기졸업자라면, 그냥 대학원생으로 들어가면 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대학원생 입학이 인턴보다 조건도 좋고 (금전적 지원 포함) 연구기회도 많기에 굳이 인턴이 있을 이유가 없죠. 비슷한 이유로 기업체에서도 인턴사원은 대부분 재학생위주로 선발하죠. 기졸업자라면 공채에 지원하면 되니까요.
만약 타대학에 지원하고 싶은데 (e.g 미박 등등), 그냥 단기 경력용으로 인턴이 필요한거라면, 인턴 선발하는 PI 에게 문의해보세요. 다만 솔직히 말해야할겁니다. (그냥 인턴 지원하고 싶다고 하면 그쪽에서도 대학원과정으로 진학하라고 할겁니다. 상식적으로 그게 맞으니까요) 그쪽에서도 인력이 급하면 아마 뽑아줄겁니다. 다만 순위는 좀 밀리겠죠.
2023.05.10
대댓글 1개
2023.05.10
2023.05.10
2023.05.10
대댓글 9개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2
2023.05.10
2023.05.10
2023.05.10
2023.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