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것이 제게 더 도움이 될까요? 개인적으로는.. 랩실에 갈거라면 해당 랩실에 미리 가서 인턴을 하는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하는데 정출연 인턴을 예전부터 해보고 싶었어서 좀 고민이되는것같습니다. 연구 경험 란에 뭐라도 써둘 수 있기도 하고..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그렇다기보다 한학기 뜬다면 교수님이 당연히 오라고 하실 것 같네요 거기다대고 다른곳 가보겠다고 하긴 좀 그렇지 않을까요...?
재치있는 아이작 뉴턴*
2023.05.08
합격할확률이 달라질텐데 가고싶은랩실 ㄱㅂ
대댓글 3개
재치있는 아이작 뉴턴*
2023.05.08
ㄱㄱ
2023.05.08
교수님 컨택과 대학원 서류합격과는 별개니까 약 8개월 인턴하고 서류 탈락하면 의미가 많이 없어지기도 할것같구요.. 이런저런 생각에
재치있는 아이작 뉴턴*
2023.05.08
인턴한다고 합격 100% 그런얘기가 아님. 면접갔을때 오며가며 얼굴익힌 교수가 있느냐 없느냐, 타랩주제를 조금이나마 지나가다가 들을수 있느냐, 성향이 어떤가, 타학교라면 건물배치나 길이 익숙한가조차도 면접에 영향을주는데
2023.05.08
가고 싶은 랩 놔두고 저학년도 아닌데 왜 정출연 인턴을 가나요? 애초에 학부 인턴이란 것 자체가 대단한 스펙이나 엄청나게 트레이닝 받아서 역량이 팍팍 느는 것이 아닌데 가고 싶은 랩 빨리 가서 적응하고 자리 맡아야지요.
대댓글 4개
2023.05.08
그런가요.. 정출연 연구실에서도 분명 배울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것 같아서요. 박사 후에 정출연 연구원으로 일하고싶기도 해서 어떤지도 미리 보고싶고.. 또 대학원의경우 교수님 컨택과 대학원 서류합격과는 별개여서 8개월 인턴하고 서류 탈락하면 의미가 많이 없어지기도 해서.. 이런저런 생각에서 여쭤본 것이었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3.05.08
정출연에 관심있으면, 나중에 교수님을 통해서 파견제도나, 끝나고 포닥하셔도 충분합니다. 우선 원하는 랩 가는게 일차적인 목표고, 정출연은 한참 이후에 고민할 문젠데, 우선순위를 고려할때는 무조건 원하는 랩에서 인턴하면서 좋은모습 보이는걸 해야죠.
2023.05.08
대댓글 2개
2023.05.08
2023.05.08
2023.05.08
대댓글 3개
2023.05.08
2023.05.08
2023.05.08
2023.05.08
대댓글 4개
2023.05.08
2023.05.08
2023.05.08
2023.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