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남자 신입생 평균나이 = 25.5살

얌전한 레프 톨스토이*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4.23

42

13982

저것보다 많으면 솔직히 늦은거 맞지

여자는 평균이 24.5 정도임.

신입생 중에서 28 이상부터는 사실상 거의 큰형님인데 뭐..

30줄 꺾이고 신입으로 오는 사람은 진짜 몇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2개

깔끔한 로버트 후크*

2023.04.23

여자는 왜 1년밖에 안빠름? 요즘은 휴학도 잘 안하던데

대댓글 8개

얌전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3.04.23

여자가 시기에 맞춰서 잘 들어오는거고 남자가 늦게들어오는거지. 누가 군필상태로 대학원을 감?
깔끔한 로버트 후크*

2023.04.23

?? 내주변은 반은 군필로들어왔는데 일반화보소

2023.04.24

학교마다 분위기가 다르겠죠.. 카이스트에서 11년 있었는데 저포함 대다수가 보통 휴학도 잘안하고(해봤자 교환학생정도?) 과고 출신이 많다보니 23-24입학에 29-30 박사졸업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제가 졸업할즈음부터 군대가는 후배들도 저때보다는 확실히 꽤많아졌네요.
나오자마자 정출연갔는데, 제 주변이 유독 빠른거였다는걸 알았죠.. 30중반정도 박사학위자도 많았습니다.
얌전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3.04.24

사실 남자든 여자든 25살 입학부턴 늦었다고 보는게 맞음. 실제로 29에 박사졸이 얼마나 많은데 29살 입학을 논하고 있으면;
깔끔한 로버트 후크*

2023.04.24

??? 29살 박사졸 하는사람 있겠죠. 그런데 남이 29살에 입학을하건 졸업을하건 뭐 똥을싸건 그게 늦니 빠르니를 왜 신경을쓰셔요ㅋㅋ s같은곳에서 잘못걸리면 빨리들어가도 늦는케이스가 한두건있는것도아닌데 그럼 그사람들은 졸업 20대에못해서 인생이 늦은건가요?
얌전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3.04.24

늦은건 늦은거죠 그럼 빠르다고 하나요. 늦냐고 물어보니까 늦다고 답해주는거지
깔끔한 로버트 후크*

2023.04.24

밑에 글보고 글쓰시는거같은데 그 질문에 대답이 하고싶으시면 밑에 가서 댓글을 다셔야죠.. 대뜸 글써서 25세 위면 늦다느니 그러면 좋게보일리가없잖아요
얌전한 레프 톨스토이작성자*

2023.04.24

밑에 글뿐만이 아니라 그 아래로도 나이 얘기가 하도 많이 나오길래 쓴거죠

2023.04.24

만나이임 한국나이임?

IF : 1

2023.04.24

실제 통계: https://www.unipres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6

공학계열 박사 취득 평균 나이가 33세임

대댓글 3개

IF : 1

2023.04.24

또한 공학 풀타임 박사학위 취득 평균 기간은 61.6개월로 나오네요.
건강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4.24

평균은 아웃라이어들이 나이가 너무 많아서 별 의미 없을듯..

2023.04.24

아웃라이어 빼고 계산했겟지. 그리고 어차피 나이라 고작 그거 몇명 있다고 평균 크게 차이 안남.

IF : 5

2023.04.24

회사 다니다가 다시 석박/박사오는 경우도 꽤 있습니다. 스물여덟에 돌아와도 서른에 돌아와도 학위받고 알아서 취직 다 하고 잘먹고 잘사니 늦었네 안늦었네 남들이 뭐라 할 일이 아님. 인생이 퀘스트 깨는 겜도 아니고 속도겜은 더욱 아님.

대댓글 8개

건강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4.24

잘먹고 잘사는건 다른 문제고, 늦은건 늦은거죠. 늦었냐고 물어보니까 늦었냐고 대답하는게 무슨 문제라도?

2023.04.24

아랫글은 본인이 늦게들어가는건 아는데, 차후에 입사할때 불리한게 있는지 물어봤고, 이분이 가장 근접한 답을 하신것 같은데요.
질문 자체가 29살에 들어가는건 과연 늦은걸까요 안늦은걸까요? 이딴 질문이 아니였잖아요? 여기에서 제대로된 취업 경험도 없으신 분들이 "응 너 늦엇어" 이딴 답을 하시는거고요. 학계에서는 포닥경력도 많고 여러변수가 많기에 35에 직장들어가면 충분히 빠른편입니다.

IF : 5

2023.04.24

기업체에서도 박사는 무조건 30 이하 누가 요새 이래요. 어차피 대졸입사로 과장된 사람보다 웬만하면 박사신입이 다 어리기도 하고 인사팀은 나이 많으면 안 도망가겠다고 더 좋아하기도(...) 나이는 졸업과 사회 근처에도 안가본 일부 학교 안이 전부인 분들이 오히려 더 따지는듯
건강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4.25

밑에 글 다시 보고왔는데, 늦은건가요? 가 1번 질문이고 불이익이 있는지가 2번 질문임. 둘 다 물어본거고 그 중 첫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이 늦은게 맞다. 인데요. 아무도 "글쓴이 늦어서 인생 망했고 잘 안풀릴겁니다"라고 안했어요. 그냥 늦었냐고 물어봐서 늦었다고 한거 같은데 이해력이 좀 안좋으신듯.. 기업이 어쩌구 취업이 어쩌구 다 관심없고, 평균적인 나이보다 늦은게 맞다고요.

2023.04.25

댁을 설득하려는 제 시간이 아깝지만,
"늦은나이에 공부를 시작하여 올해졸업예정입니다. 내년 대학원입학 기준으로 29살이면 입사할때 많이 불리하게 작용할까요...?"
이글에서 글쓴이가 묻는 질문이 뭐일지 이해못하시는 분이, 다른사람한테 이해력을 논하시는게 어이가 없네요.
이해력과 공감능력은 제 생각에는 평균보다 한참 부족하신듯 합니다^^ 연구능력이라도 훌륭하시길 바랍니다.

2023.04.25

그리고 박사과정은 학부처럼 커리큘럼따라가면 졸업하는게 아니라서, 기간이 정해진게 아닙니다.
25살에 입학해서 석/박사를 8년한사람과 27살에 입학해서 석/박사를 6년한 사람은 졸업은 똑같이 하는겁니다.
저도 카이스트에서 학위받았는데, 자대 과고출신에 전문연까지 해도 '박사 늦어지는것 + 스타트업참가' 등으로 학부+대학원을 총 13년해서 졸업한 친구도 봤습니다. 언제 들어갔는지보다 언제 졸업했는지, 어떻게 졸업햇는지가 훨씬 중요한건 본인도 잘 아실겁니다.
혹시 모르시면 이번기회에 알아두시고요.

IF : 5

2023.04.25

아 알림 꺼야지... 특히나 한국 사회에서 늦은 나이가 갖는 사회적 의미가 뭔지, 입학 나이가 어린게 별로 의미가 없다는 게 이해가 안된다면 정말로 졸업은 눈앞에 보이지도 않는 정도로 어린 학생인가보네요. 평생 어릴 수는 없는게 앞으로의 사회생활일테니 한번 생각해보시길.
건강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3.04.26

어떻게 이렇게 말귀를 못알아 들을 수 있지..

제목: 29살에 석박통합하면 너무 늦은건가요...?
내용: 늦은나이에 공부를 시작하여 올해졸업예정입니다. 내년 대학원입학 기준으로 29살이면 입사할때 많이 불리하게 작용할까요...?

첫번째 질문 (29살에 석박통합하면 너무 늦은건가요...?) 에 대답한거라고요. 두번째 질문은 관심도 없고요. 늦었으니까 늦은거죠. 설명해도 이해를 하실 것 같지 않으니 더이상 댓글 안달겠습니다.

2023.04.24

대학원은 입학 때 나이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님아

대학원은 입학이 문제가 아니라 졸업이 문제라는거죠. 연구실 최소 근무 년수와는 별개로 졸업 요건에 있을 수 있는 SCI편수, IF합산, 영어, 퀄티 등 능력 안 되면 일찍 들어와도 나이 많이 먹고 졸업 합니다. 또 반대의 경우도 발생되지요.

대학원은 학부 마냥 학점만 채우면 졸업하는 그런 곳이 아닙니다. 석사도 2년만에 졸업하는게 당연하게 여기시는 분 많은데 미국 석사 졸업요건 SCI 1저자 1편, 혹은 CVPR 구연 1편인 연구실도 있어요. 주로 한국애들 중국애들은 잘 채우는 편인데 요건 못채우면 5학기, 6학기 가는 양키들 많습니다.

어디 대학원 다니시는지는 모르겠지만 년수나 학점만 채우면 졸업시켜주는 대학원이라면 님 논리가 맞을 수도 있겠네요.

2023.04.24

이런 사람들이 살아 숨쉬고 있어서 출산율이 개박살난거임
쩨쩨한 소크라테스*

2023.04.24

제발 남의 인생에 늦었네 뭐네 뇌피셜 쓸 시간에 연구 좀 해라ㅋㅋㅋ

2023.04.24

대학원 일찍 들어간게 인생 최고 업적인가 보네.

2023.04.24

32살 2월에 풀탐으로 박사 입학한 후 SCI 1 저자 6편 공동 1저자 1편 총 IF 합 48 점으로 34살 8월에 졸업했습니다. 졸업하고 대기업 연구원 들어왔어요. 늦고 빠르고가 중요한게 아닙니다. 본인 연구역량이 높다면 빨리 졸업하는거고, 연구역량이 평균이면 평균적으로 졸업하는거고, 연구역량이 없으면 그만큼 늦게 졸업하시면되요. 이제는 하다하다 학교 순위 서열질하는 김학사넷에서 대학원 입학 나이 서열질까지 나오는 김연세넷으로 바뀌는게 참으로 기가 찰 노릇이네요.

2023.04.24

나때는 30중반이었는데?
용감한 백석

IF : 1

2023.04.24

하도 '-살인데 석사/박사하면 늦은가요?' 하는 쓰잘데없는 글들 올라오니까 오히려 그거 저격하는 고도의 돌려까기 같기도 하고.

2023.04.25

늦은걸 늦었다하는데 왜리 화나있지..? 교수님들도 당장 학부연구생둘 오면 재수 편입생들은 꺼리는거 보이시고
프박들도 평범한 실적으론 삼십중반 넘어가고 나이많으면 갈 곳 없는 것도 맞는데
남의 인생이라고 쉽게 이야기 하는 것도 볼로라고 상각하는게 진짜 늦은건데 안 늦었다고 말하는게 인생 망치는 소리임

대댓글 1개

2023.04.25

늦은걸 늦었다하는데 왜리 화나있지..? 교수님들도 당장 학부연구생둘 오면 재수 편입생들은 꺼리는거 보이시고
-> 님 주변에 있는 사람들로 일반화ㄴㄴ 안그런 교수님들도 졸라 많음. 오히려 나이 많은 분 들어오면 더 신경써주시는 교수님도 존재함.

프박들도 평범한 실적으론 삼십중반 넘어가고 나이많으면 갈 곳 없는 것도 맞는데 -> 이건 맞말

남의 인생이라고 쉽게 이야기 하는 것도 볼로라고 상각하는게 진짜 늦은건데 안 늦었다고 말하는게 인생 망치는 소리임 -> 늦은건지 안늦은건지 님이 아직 판단하기에 매우 이름. 님 기준 늦었다고 생각한 사람이 님 보다 더 빨리 졸업해서 더 좋은 곳을 갈 수도 있으니 사람 인생은 모르는거임.

좋은 연구자가 되고 싶다면 근시안적인 시야와 성급하게 일반화 하는것 부터 버리고 대의적인 시각을 가지셈. 세상은 졸라 넓고 님보다 어리고 뛰어난 천재는 진짜 개많음. 솔직히 나나 님이나 남 걱정 안 해도 됨. 끗

2023.04.25

전문연하고 회사 더 다니다가 29에 미박 하러 왔습니다 ㅎㅎ 26~7에 박사 졸업 직전인 친구들이 정말 대단해보이더군요! 새로온 포닥이랑 같은 나이 ㅋㅋㅋㅋ
엉뚱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3.04.25

연구도 못하는 나라가 나이부터 해서 따지는 건 드럽게 많음

2023.04.25

25.5세가 평균이면 대-충 절반은 25.5세 넘는거 아님..? 모두가 평균보다 빨리 입학할 수는 업씀...

2023.04.25

ㅋㅋㅋ

2023.04.25

대학원을 언제부터 나이가 우선 이였음?
나이 20대에 하든 30대에 하든 40대에 입학하든 졸업하든 대학원에서 어떤 성과와 연구를 했는지가 중요한거 아님?

대학원이 자격증 따러 가는것도 아니고 연구하러 하는 곳인데 뭔 나이에 민감한지

2023.04.26

뭐든지 평균에서 벗어나는순간 큰일나는 줄 아는 불안한 심리가 돋보이는 게시글..ㅋㅋ

2023.04.26

여기 기웃거리는 인간 대부분 20대 중후반에서 30대 초반 대학원생일텐데, 나이 평균 얘기하면서 늦었네 평균이네 이 지랄 하는 인간이라니.... 저런 인간들이 전형적인 젊꼰임 나이 먹으면 연공서열 타령하면서 나때는 말이야 하면서 꼰대질 할거 눈에 선하다....역겹다 ...

2023.06.30

오늘부터 만나이 적용이라 타격없다 난 아직 20대 중반이다 하하하핫!!!

대댓글 1개

2023.06.30

어제부터구낭

2024.01.05

?? 대학원 나이에 평균이 그런게 어딨노.... + 대학원마다 차이가 있을 뿐만아니라 그렇게 따지면 학부 졸업하고 공백 없이 바로 대학원 진학 해야합니까? 추후 대학원 진학 하는 사람들도 있을것이구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