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 라이팅 대개 얼마나 걸리셨나요?

2023.02.28

21

4920

어이디어를 내고 관련 논문을 읽으며 실험을 하고 고군분투할 때는 보람을 느꼈는데,
막상 본격적으로 분량 25 페이지 목표로 논문을 쓰기 시작하고부터는 이게 과연 학계에 무슨 의미가 있을까라는 회의감이 들면서 두 달이 넘어가고 있는데도 아직 초안을 완성하지 못하고 있네요. ㅠㅠ
선배님들은 논문 라이팅에 대개 얼마나 걸리셨는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3.02.28

60페이지 2주

대댓글 1개

2023.02.28

정말 부럽네요.
실험결과가 좋게 나왔을 때 논문을 금새 완성할 수 있을 것 같았는데,
저도 분발을 해야겠어요!

2023.02.28

Appendix 포함 30페이지 3일 걸렸습니다 CV분야라 좀 특수하긴합니다 분야특성상 글의 퀄리티보다는 결과위주라서

대댓글 1개

2023.02.28

와 부럽습니다.
저는 이게 투고할 가치가 있을까, 억셉이 되긴할까라는 쓸데없는 생각들이 계속 발목을 잡고 있는 것 같아요.
댓글 감사합니다.
저도 분발해야겠어요!

2023.02.28

논문은 실험이랑 동시에 작성해야 효율적이예요. 작문하다보면 실험 다 다시 해야되고 추가로 해야되고 필요없는 것도 보이고 그래요

대댓글 1개

2023.02.28

조언 감사합니다!
튼튼한 레온하르트 오일러

IF : 1

2023.02.28

결과까지 내놓고 논문쓰는게 좋습니다. 분량이나 기간에 너무 매달릴 필요는 없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28

결과 내놓고 쓰는데 이 모양잊니다. ㅠ
앞으로 쓸데없는 생각은 접어두고 직진해야겠어요.

IF : 1

2023.02.28

박사학생중에 자기가 논문 처음부터 끝까지 작성하는비율이 얼마 없습니다. 작성자님 좀만집중해서 고비를 넘기면 진짜 박사가 되는거에요!! 화이팅.

대댓글 4개

2023.02.28

아 감사합니다.
좀 지쳐있었는데 동기부여가 팍팍 되네요.
열심히 달려 보겠습니다!

IF : 1

2023.03.01

첫 논문부터 다 혼자 했는데요???

2023.03.02

첫 논문부터 혼자 다 하셨다면 연구자로서의 자질, 만렙이십니다.^^

IF : 1

2023.03.02

직설적인 안톤 체호프님,
비율이 얼마없다는거지, 다하는 학생이없다는건 아닙니다...

IF : 5

2023.03.01

첫논문은 거의 1년
그다음부터는 1개월...? 처음엔 워낙 어렵죠

대댓글 1개

2023.03.01

뭐든 처음이 어려운 것 같아요..

2023.03.01

논문은 기왕이면 짧을수록 좋지 않나..? 왜 페이지 수를 정하고 하시는거죠? 분야 특성인가..

대댓글 1개

2023.03.01

네 이 분야에선 25페이지가 기본인 것 같고, 지도교수님도 그 정돈 돼야 한다고 하네요.

2023.03.01

그낭 스토리 짜고 거기에 필요한 결과만 넣으면 작성자체는 1주일 만에도 끝나는데 분석 제작 등 부가요소가 시간을 많이 잡아먹는편

대댓글 1개

2023.03.01

네, 쓰다보면 보완할게 눈에 띄게 마련인가 봅니다. ㅠ

2023.03.03

사람마다 분야마다 많이 다르겠지만 출판기준 12페이지정도 1년도 걸려본것 같아요. 잘써지는 논문도 잘 안써지는 논문도 있는 법이니까 편하게 생각하셔요. 어차피 다 마라톤 아니겠습니까

대댓글 1개

2023.03.13

아 그런 것 같아요. 격려의ㅜ말씀 감사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