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의대 대학원 기초연구실 질문이 있습니다.

2023.01.13

2

1154

의대 대학원 중 md는 피하라는게
md분은 진료봐야하고 바쁜데, 실적 내야하니 대학원생 지도 제대로 안하고 굴려서 실적 뽑고, 임상쪽만 해서 의사가 아닌 자대, 공대 출신 대학원생들에겐 악영향이라는 것 같더라구요.

근데 이제 기초교실 쪽의 md가 아닌 phd 교수님은 결국 오히려 비 의대 자대 공대 교수님들보다 좋은게 아닌가 싶어서요.

의사가 아니니 제대로 대학원생 지도해줄 거고
(물론 교수 마다 다르겠지만 이건 비 의대 대학원도 마찬가지구요),
오히려 의대가 가지는 환자데이터 (md와 공동연구)로 임상까지 해서 더 좋은 논문 쓰고 그런거 아닌가요??

결국 요점은
"의대의 기초교실 phd = 비 의대 자연대 공대 약대 교수"
라고 보고 흔히들 보는 3~5개년 논문 실적 (교신저자 인것만) 보면 되는 걸 까요??

빅5 의대라서 일단 대학원 급?은 보장되는거 같구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3.01.13

크게 보면 의대기초 특히 Ph.D 인 교수들 랩은 의대 내의 자연대나 공대같은 분위기 맞습니다.
그런데 같은 과나 단대 내에서도 활발하게 공동연구하고 두루 잘 지내는 교수 있고 사이 안좋은 교수 있듯이 마찬가지라서요. 그런 장점들 살려서 잘나가는 랩 있고 자연대 공대보다 못하는 랩 있습니다.
일단 기초에 Ph.D 랩이면 임상 MD 교수 랩에서 자주 이야기되는 문제점들은 거의 없는 것 맞고요. 물론 MD 랩도 연구 잘하는 랩 있지요. 비율이 낮아서 그렇지.
그 다음에는 의대냐 자연대냐 공대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최근 논문 실적 보고 잘하는 랩으로 가야지요. 좋은 논문 많이 내는 교수는 단대 소속에 상관없이 어디서든 인정받습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