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공계 KCI급

2023.01.06

5

1749

김박사넷 커뮤니티 보니까 고등학생도 KCI쓴다고 하고 남혐주제인 내용이 KCI에 실린다고 하는데 KCI는 왜 존재 하는 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온화한 피에르 페르마*

2023.01.06

물론 KCI가 평균적으로 SCI나 다른 좋은 저널과 비교하여 수준이 낮긴 하지만, 논문을 한번도 안써본 학생 입장에선, 연구 주제설정-가설 제시- 검증-논문 기술-동료 평가의 풀 사이클을 맛볼 수 있어, 학부생, 석사 저년차에대한 교육적 관점에서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은 제대로 된 논문 리뷰 프로세스를 형식적으로라도 갖췄을때의 얘기고, 위의 예시 처럼 말도 안되는 연구를 받아주는 저널은 그런 형식적인 리뷰 프로세스조차 갖추지 못하였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별로라고 하는 것 입니다. 이 경우에는 논문을 출판하더라도 어떤 것도 배우기 힘들 것 입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짓궂은 노엄 촘스키*

2023.01.06

장사하려고 있죠. Kci뿐만 아니라 sci중에서도 70%는 아무도 안읽는 저널입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선량한 레프 톨스토이*

2023.01.07

심지어 SCI급 저널이라고 해도 딱히 퀄이 높거나 좋은 저널이라고 보장 할 수 없습니다. 윗분 말씀처럼 파급력 없는 허수 SCI 논문이 대다수에요.

이런 허수 SCI들은 공신력 있는 리뷰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그나마 저널로써 최소한의 기본은 수행하는 저널 정도로 보심 됩니다. 이런 기본역할의 관점에서 보면 아주 초년차때는 KCI를 쓰는거나 허수 SCI를 쓰는거나 교육적인 목적에선 대동소이 하기에 (물론 정량적 실적이나 영어작문교육 측면까지 고려하면 당연히 SCI가 더 낫지만) 학부생 또는 석사저년차들 위주로 교수님들께서 KCI를 많이들 활용하여 트레이닝 시키십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