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에도 여러 종류가 있는거같다.
크게 두가지로 나눠보면 연구를 위한 공부, 시험을 위한공부 이렇게 나눌수있는데 두 공부는 성격이 다른듯.. 보통은 공부라 하면 저 두개를 포함해서 말하긴 하지만...
연구를 위한 공부는 잘하는데 시험을 위한 공부는 못하는 사람, 시험을 위한 공부는 잘하는데 연구를 위한 공부를 못하는 사람, 둘다 잘하는 사람이 있고 다양하지만 확실히 근데 저 둘은 성격이 다른거같긴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11.30
당연한거 아님?
그래서 보통 학부때 성적 뛰어난 학생들이 대학원와서 조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반대로 학부 학점은 낮은데 연구 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이 많다는 사실이 빈번하게 관찰됨.
좀 극단적으로 예시를 들어보면, 학부 때 족보 같은 것으로 암기 위주로 시험 잘 본 학생들은 성적은 뛰어날지 몰라도 대학원 오면 쓰레기 됨. 반대로, 학부 때 자기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시험과 큰 상관 없는 것도 공부한 학생들은 시험 성적은 떨어질지 몰라도 대학원에서의 연구 능력은 월등히 좋아지게 되는 것임.
대댓글 1개
청승맞은 아리스토텔레스작성자*
2022.11.30
꼭 족보 같은 것에 의존안했더라도 시험 잘보던 학생이 연구능력은 떨어지는 경우도 많더라구요.,.
2022.11.30
혹시 어떤 부분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가령 연구를 위한 공부에는 단순 암기 능력이 중요한다던지..
대댓글 4개
2022.11.30
아 단순 암기 능력이 중요하지 않다던지 라고 말씀드리려했습니다
청승맞은 아리스토텔레스작성자*
2022.11.30
예 먼저 말씀드리면 소위 지식에의 접근'방법'의 차이입니다. 시험을 위한 공부는 지식의 습득 및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시험을 통해 정해진 방향성 내에서의 추론 등을 요하죠 (물론 시험의 특성에 따라 공부를 해야하는 방향성도 달라지고 요구하는 능력도 달라지지만)
반면에 연구는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이 아닌 소위 지식을 만들어내는 활동입니다. 물론 연구에서도 지식을 습득하는 건 당연하게 요구되지만 지식을 습득하는 능력은 연구능력의 핵심이 아니죠. 방향성이 시험에 따라 일방적으로 정해지는 (시험을 위한) 공부와는 달리 연구는 질문도, 질문에 대한 근거, 그리고 질문에 대한 대답도 자기자신(물론 공동연구자가 있고 기존연구에서 방향성을 찾기는 하지만)이 찾아내는 과정이죠. 시험에서는 적어도 질문을 만드는걸 요구하지는 않고 답도 미리 정해져있는 부분도 있고요....
때문에 저는 둘이 서로 상관관계는 있을지는 몰라도 인과관계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굳이 비교를 하자면 연구를 위한 공부가 시험을 위한 공부보다 자주성, 적극성, 능동성을 요구한다라고 생각합니다. 대학원에서 학점을 요구하는건 지식의 깊이 (학부마다 천차만별이라는 현실이 있지만) 및 성실성을 보겠다는 거고 그런 학생이 연구를 잘할가능성이 더많다라고 생각해서 그런거구요. 하지만 학점은 높지만 막상 보니 연구능력은 기대보다 훨씬 못미치는 경우가 왕왕 있구요., (요는 상관관계는 있지만 인과관계는 없다는 겁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연구 위한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 시험을 위한 공부를 잘하는 사람보다 더 똑똑하다는건 절대 아닙니다. 시험에서 연구에서보다 훨씬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왕왕있고 요구하는 능력이 상이하니까요...
2022.12.02
시험이 연구보다 더 고도화된 추론을 요하는 경우가 있나요? 연구잘하는게 시험잘보는것보다 훨씬 우수한거죠.
청승맞은 아리스토텔레스작성자*
2022.12.02
흠... 보면 그렇지도 않아요
학점을 따기 위한 공부도 그렇지만 수능이나 뭐 리트 psat 각종 적성시험이나 올림피아드 시험 고위 전문직 자격증 시험 등등...
그리고 그런 논리라면 연구잘하는 사람은 마음만 먹으면 막말로 시험따위 잘볼수있다 이런 말이 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 생각보다 되게 많습니다..,
2022.12.01
시험을 위한공부를 잘하면 기본기는 탄탄해져서 연구를 위한 공부할때 도움이되긴하나 연구위한 공부는 자기주도적인 경우가 많고 분야의 넓이나 깊이의 제한이 없어서 개인기량에 따라 차이가 나는것 같아요. 시험성적좋은애들이 전부 실험디자인 잘짜거나 좋은 논문내는것은 아닌데 실험디자인 잘짜고 좋은논문 내는 사람이 공부다잘하는것도 아니고...
2022.11.30
대댓글 1개
2022.11.30
2022.11.30
대댓글 4개
2022.11.30
2022.11.30
2022.12.02
2022.12.02
2022.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