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먼저 MIT는 꿈 깨시고요, 미국에서 님의 관심사에 맞는 연구실이 MIT 밖에 없다는 것은 말이 안되는 소리입니다. 그냥 님이 덜 찾아본거에요.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1 - 학부 학벌은 평생 따라다닙니다 대학원을 학벌이라고 하진않죠 학력이지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2 - 박사급은 사실상 대학원이 학벌입니다. 학부 학벌 아무도 안 물어봄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7 - 자기가 연구하고싶어서 대학원 간거 아닌가? 연구가 적성 안맞는다고 느끼면 그만두고 취업하면 되는데 취업해서 하기싫은일하면서 돈버는 학부졸업들은 호구인가? 연구를 하는데 왜 성과가 안나오지? 평소에 게임하다가 미팅직전에 벼락치기로 밤새고 열심히 한다고 착각하는건가? 게임을 접으면되잖아?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47 - 평생 따라 다니고 학부 말 못하는 사람이랑 엮이지 마셈
학부가 창피했으면 편입을 하건 수능을 치건 했어야지
실적 안좋고 애매한 애들이 꼭 세탁한 학벌 말하고 다님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9 - 의대 가신 것은 당연히 대단한 것입니다. 근데 다른 업종을 비하하는 것은 다른 문제가 아닐까요? 생각은 그것으로 끝내시는 것이 향후 글쓴이 님의 앞길에 아무 일 없으실 거 같습니다.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17 - 박사 졸업하면 학부는 의미없음… 그런거 신경쓰는 사람들이 이성한거죠 ㅋㅋㅋ 박사 졸업이면 실적으로 증명해야죠.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17 - 박사 하는 사람 혹은 한 사람 중에 학부 학벌이 중요하다 한다면, 그저 실패한 것.
꼭 학부 학벌 좋은데 막상 대학원오니까 국영수사과 달달 외워너 하는거랑 너무 다르고 뒤쳐져서 그렇게 얘기함.
탑스쿨 대학원 때 잘하면, 학부 학벌은 거의 따지질 않음.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9 - 온/오프로 보는 것은 실패하기 매우 좋은 마음가짐임.
확률로 생각을 하길 추천함.
질문 : 님 선배중에 다라고 하면, 100프로 정출연 취업함?
추측 : 분명 그렇지 않을 것임.(취업보장되는 서성한도 학과성적으로 취업하려면, 학점이 좋아야 가능한 현실을 고려하면, 정출연 정규직이라면, 매우 경쟁이 치열할 것임)
유명 학교라고 보장되는 것은 없고, 유리함을 가지는 것임.(확률이 조금 더 높다 정도) 얼마전에 S대 2.3과 건국대 4.5 중 어느쪽 회사에서 뽑을지에서 50:50 나왔다는 것 어디서 봤는데, 대략 그런 개념으로 보면 유리함. 대학입학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고, 꾸준히 열심히 해서 쌓아간다면 유리함이 있는 것임.
그리고, 남의 노력을 존중하면 좋을 것 같음. 선배가 안유명학교에서 정출연 정규직으로 갔다면, 엄청난 노력을 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음. 학교만 같다고 다 같이 될 것이다가 아니라, 이후의 노력을 보고, 참고하여 가능성을 높여가야 할 것임.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2 - 궁금한게 있는데 도대체 이런건 어디학교 어디과정임?? 논문지도비를 회당 내는건 어디 화성에 있는 대학원인가?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3년하셨으면 논문 쓰고 나갈 만 하지 않나요?...
교수도 투자한 비용을 회수는 해야죠..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14 - 생각보다 다들 B라고 하셔서 놀랍네요. 제가 CS/AI분야이긴 하지만 실 작업량은 A가 훨씬 많거든요. (10배이상 많은 것 같네요) 통상 컨퍼런스페이퍼가 짧아서 그런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최소 공동저자는 될 줄 알았는데..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4 - 이건 무조건 B죠.
A한테 공동주저자를 주겠다면 말릴 일입니다.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12
방재 안전 소방쪽으로 진학하신 분 계신가요???
2020.05.17

지거국 방재안전관련 학부생이고 올해 졸업예정입니다.
대학원 지원할 준비를 하고있는데 저는 젤어려운게 학교찾는거에요..
대부분이 학과가 아예 없고 (진짜 거의 없습니다.)
있는데 지방권이나 하위권학교라서 조금 가기 망설여지고
그래서 랩실을 찾아보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1. 방재안전공학이 아니고 비슷한 학과인 건설환경분야 학과에 방재안전관련 랩실이 있는경우입니다. 이때 여기에 컨택받아서 입학하면 여기서 실적만 내면 되는건가요?? 학점따는 수업은 제가 아예 모르는 건설분야쪽 수업들이던데 그걸 못하면 입학이 안되는건지 궁금하구용..
2. 카이스트에도 학과는 없지만 재난학연구소라고 있습니다. 여긴 소속학과가 없는곳 같은데, 이런곳은 그냥 연구만 하는 곳인가요?? 석사학위를 받는곳은 무조건 어느학과 소속 랩실 이렇게 되어있는곳인가요??
3. 한양대에는 아예 공학대학원에 방재학과가 있는데, 다좋은데 아무래도 사람인지라 인지도가 걱정입니다. 연세대도 이런 과가 있지만 spk 아니면 안쳐준다그래서 주저하고있는데... 저는 이쪽이 아니라 석사만 따고 취업할 계획인데 취업할때도 spk만 따지나요??
아무래도 과가 소수과라서 선택하기가 조금 어렵네요. 일단 역량을 스스로 키우는데에 집중하고있지만 막막해서 여쭈어봅니당...
대학원 공부 따라갈수 있을까요?? 김GPT 15 41 9181-
5 25 11381
배재대에서 서울대대학원 김GPT 23 18 10641-
0 9 6490
원래 대학원이 다 이런가요,,,? 김GPT 9 10 10731
보안 대학원 김GPT 0 1 2189
배터리 대학원 안전문제 김GPT 0 2 5626
조언 부탁드립니다.. 김GPT 1 14 2601
대학원 망한건가요....? 김GPT 0 7 7296-
125 19 19404 -
64 31 32071 -
219 30 7999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0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30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50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4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7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32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43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0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5 - 노력이란 무엇일까?
14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제 슬슬 spk거릴 시기 지나지 않았나..
170 - 욕먹을 생각하고 쓰는 꼰대글 (feat. 9 to 9)
130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50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62 - 모두가 잊고있는, 반드시 잊혀질, 대학원의 본질
84 - 대학원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은…
37 - 연대 박사장학금 쩌네요..
32 - 대학원은 정말 우울에 매몰되기 쉬운 환경인 것 같습니다
43 - 근데 솔직히 학교가 어쩌니 근무가 어쩌니 다 의미없음
10 - 등록금 내고서 대학원 다니는거
8 - 대학원생 노조라도 누군가 총대 매세요
15 - 노력이란 무엇일까?
14 - 정말 너무 힘이 듭니다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안녕하세요 spk 2학년 학부생 카네기 멜론 석사 질문 드립니다
10 - 미국석사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tip
20 - 서성한 경영학부 졸업 - MIT 박사를 위한 석사 과정 설계 (직장 병행) 문의 드립니다
16 - 특허는 원래 교수혼자 단독으로 가져가나요?
28 - 박사까지 하고나면 학사학위는 전혀 상관 없나요?
21 - 대학원 때려치고 의대 간 사람으로서 묻고 싶음
22 - 박사 논문 심사 2학기 밀리면서
13 - 졸업생인데 학교에 매일 나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9 - 중경외시 석사는 대기업 못가나요?
11 - 석사 취업은 학부가 다인거같네요.
13 - Gist와 Kist
9 - 연구주제 듣고 무시하신 교수님..?
8 - 둘 중 1저자는 누가하나요 보통?
24
2020.05.17
2020.05.17
2020.0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