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미국 박사가 목표이면 솔직히 미국 탑100도 서울대보다 낫다고 생각.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23 - ETRI도 네이처 퍼블리셔 구독안해줘서 보고싶으면 전부 논문 하나하나 부탁해야했어요. 웃긴거죠 ㅎㅎ
학교에서 ELSEVIER 쪽 저널 구독을 안합니다.
7 - 회사에서 학사졸로 살아가느냐 박사졸로 살아가느냐의 차이가 있죠. 거기에 차이를 자각하지 못한다면 학사졸이 낫습니다.
똑같은 사람이 학사졸 vs 박사졸
20 - 투잡뛰는거 좋아하는분없고..
출퇴근시간도 양호한데
어디까지 맞춰줘야된다고 생각하는지..
심지어 강의잘하시네.
이게최악? 최약체를 잘못말한건가
개인적으로 최악의 교수님
13 - 우물 안 개구리들이 애 하나 망치는구나. 미시간 vs 서울대 하는데 서울대 가야지 이러고 있네.
서울대 버리고 갈 미국대학
14 - 짝짝짝~~!!!
박수 아니고 빰 때리는 소리임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교육 체계
8 - 저도 GPT 생성 의심 사유를 보니 문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고 나오더라고요 ㅋㅋ 기분이 나쁘면서 좋았던 기억이.. ㅋㅋ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1 - 저는 졸업논문이 실험 결과 표까지 표절로 걸리길래 진짜 식은땀 줄줄 나고 밤새서 수정했는데... 알고 보니 교수님이 미리 도서관에 등록하고 돌려보신 거였어요 ㅋㅋ
내 손으로 글 썼는데 카피킬러 걸렸을때
10 - 카이는 원래 지잡대도 들어가는데라 가능할거같네요
서울대는 학벌봐서 안될듯요
설/카이 불안핑 도집니다
8 - 인턴한테 기숙사비 정도도 지원 안 해줄 정도면.. 한번 고민해 보는것도 좋을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0 -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한테 기숙사비까지 지원해줘야 당연한 건가?
진학 확정이 아닌 학부생 방학 인턴이 랩과 과제 진행에 무슨 기여를 하는데?
지금 알엔디 삭감에 있는 대학원생 인건비도 걱정하는 마당에 딴 세상 이야기 인 듯.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 사실 인턴한테 돈 받아서 가르쳐야하는데 돈까지 달라하노 ㅋㅋㅋㅋㅋ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8 - 랩에 어떤 기여를 하시길래 인건비를 받으시려는건가요?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11
반도체vs통신분야 고민입니다.
2022.10.26

안녕하세요.. 똑똑한 박사님 여러분!!
저는 서울권 모 대학에서 전자공학부 통신전공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제가 전자공학에서 반도체공학을 공부할때 재미가 있었고 흥미가 많아
취업을 반도체계열로 목표해서 대학원을 가고 싶은데
제가 제일 가고 싶었던
교수님께서는 반도체계열 수업을 많이 이수하지 않아
들여보내주기 힘들다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저의 전공을 살려 통신계열로 가야하나 고민도 했었지만 통신계열은 막상 공부를해보니 흥미가 없었고..
대부분 통신계열은 코딩을 능수능란하게 잘해야 하는 것 같던데.. 못해도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통신계열로 오게 된 이유가
삼성전자 등에서 백혈병으로 일찍 사망하는 근로자들을 보며 반도체는 부모님께서 거부하셔서 오게 되었었는데요..
취업 분야나 커리어를 쌓을려면
아무리 봐도 반도체가 기업도 많고 커리어 쌓기도
쉽다고 생각했습니다.
통신분야는 그에 비해 기업수가 월등히 작았으며
커리어 쌓기도 특정분야만 되는거 같더라구요..
다만 반도체는 Asml Amk 삼전 sk 하닉등등
교대근무가 필수적으로 많아서 워라벨은 힘들다고 들었으나 커리어나 돈은 많이 번다고 들었습니다.
통신 분야는 한화 그룹이나 SK 계열사를 보면
자율 근무제와 워라벨이 좋다고 들었는데요..
장단점이 서로 있는 것 같아서 고민이 많습니다..
그래서 자문을 구해보고자 질문을 드려봅니다.
(아직 학부 나부랭이라
안목이 좁아 보이셨다면 사죄의 말씀을 드립니당ㅠㅠ)
Q.1 반도체 분야를 선택할 시에 정말 야간근무와 워라벨이 없고 건강에 많이 나쁜지..
Q.2 통신계열로 간다면 코딩을 조금 못해도 괜찮은지
Q.3 반도체와 통신을 두고 보았을때 직종의 전망성
이 궁금합니다.
저 보다 유능하시고
경험도 많고 취업하신 분들도 계실꺼라
생각이 들어 견해를 여쭈어보게 되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감사합니다.
반도체 분야는 어떤가 김GPT 1 8 8183
전전 전공선택 도움 부탁드려요... 김GPT 1 10 8368
반도체, 배터리 전망 김GPT 1 11 11275
통신? 회로? 김GPT 0 1 8504
반도체 학과 고민 김GPT 1 3 3893
(반도체)고대vs한양대 김GPT 1 8 8158
반도체, AI 전망 김GPT 0 9 5093
머신러닝과 하드웨어 분야 진로고민 김GPT 0 4 7702
안녕하세요 고삼입니다 김GPT 4 7 2104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97 18 43338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2 57 68421-
134 15 5795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해외 학부 후 대학원 진학 고민중입니다
9 - 출퇴근 시간에 대한 빡도는 얘기
8 - 피겨셋 예쁘게 만드는건 진짜 어케하는걸까
5 - 연대 석박 서류
7 - Te 텔루륨 cvd 열처리 할 때 일반마스크로되나요?
5 - 설/카이 불안핑 도집니다
6 - 교수님들도 트렌드 좋아하시나 보다.
5 - 레퍼런스 보통 어떻게 찾으시나요
6 - 교수님께 메일 답장이 왔는데..
10 - 대학원 입학 경쟁률 알아내는 법이 따로 있음?
6 - 인턴이 교수님한테 인건비 질문 예의에 어긋나는 걸까요
22 - 김박사넷 여러분 스승의 날 행사 준비 평가해주세요
15 - 대학원 연구비 다들 어느정도 받으시나요? (석사)
1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10.26
대댓글 2개
2022.10.26
대댓글 3개
2022.10.26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