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망 지도교수님을 알아보려 google scholar에 검색중에 있는데,
이 사이트의 citation수가 곧 실적을 의미하는 것인가요?
정말 궁금해서 여쭤봅니다,,ㅠㅠ
선배님들의 많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10.13
교수가 교신이고 그 랩 출신 학생이 주저자인 논문들이 얼마나 많이 나오고 좋은 곳에 나왔는지가 중요함.
citation은 분야마다 차이가 크고, 상대적으로 신입교수는 딸릴 수밖에 없음
대댓글 1개
2022.10.13
답변 감사합니다
체한 마키아벨리*
2022.10.13
H-index 보셈
대댓글 1개
2022.10.13
h index는 처음 들어보는데 한번 공부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10.13
citation은 단순히 인용수 아니예요? 그거보단 논문 편수나 제출 저널명을 봐야하는거 아닌가요?
대댓글 3개
2022.10.13
정말 잘 몰라서 여쭤보았습니다 ㅜㅜ 다른 척도가 있는것 같네요 !
2022.10.14
citation도 완벽한 지표는 아니지만 보통은 citation의 갯수가 연구의 질이랑 비례합니다
2022.10.14
아 그건 또 몰랐네요;;;; 보통 인용은 연차가 오래될수록 어찌되었건 쌓이는거라 실적볼때 안보는줄 알았는데....
나중에 저도 참고해야겠네요!
2022.10.13
사람들중 citation 개수나 h-index를 유독 강조하는사람들도있는데, 절반은 맞고 절반은 틀리다고 생각합니다.
citation은 본인이 공동저자로 올린것도 포함되며, 리뷰페이퍼가 있을경우 쉽게 올라갑니다. 리뷰페이퍼 하나 대박터지면 2-3천 citation잡고 가니까요. 저또한 학위과정때 당시 지도교수님이 게스트에디터여서 어쩔수없이 리뷰페이퍼 썼던 한편이 현재 citation 400개가 넘습니다. 심지어 그렇게 좋은저널도 아닌데도 불구하고요..
공동저자도 한국에서는 유독 평가절하하는 바가있기는하지만(그만큼 공동저자 남용하는 곳도 많다는 뜻이겠죠), 분명 주저자나 교신저자보다 공동저자의 중요성이 떨어지는것은 당연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생때 논문많이썼지만, 졸업후 교수임용되고나서는 못쓰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5-6년정도에 주저자/교신저자로 쓴 논문들이 보통 어느정도 저널에 쓰는지를 보시는게 가장 좋다고 봅니다. 물론 박사과정 숫자도 중요하기때문에, 연평균 논문수/박사과정수 이 factor도 중요할수있다고 봅니다.
대댓글 1개
2022.10.13
윗분말대로 citation/hindex는 연차가 갈수록 급격하게 올라가기도 합니다. 단순히 연도가 높아지면서 다른사람들이 해당논문을 인용많이 한것을 넘어서, 특히나 교수할경우 논문쓸대 해당연구실에서 쓴 논문 4-5편은 인용을 하다보니, 교수연차가 쌓일수록 h-index나 citation은 급격히 올라갑니다.
2022.10.14
비슷한 분야 비슷한 나이대면 비교 가능합니다.
2022.10.14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citation 우상향 하는지.
임팩트 강한 논문들 분포가 어떻게 되는지.
citation에는 공저자 논문들도 다 섞여 있어서, 주저자/교신저자 논문 선별적으로 체크해봐야 합니다
2022.10.13
대댓글 1개
2022.10.13
2022.10.13
대댓글 1개
2022.10.13
2022.10.13
대댓글 3개
2022.10.13
2022.10.14
2022.10.14
2022.10.13
대댓글 1개
2022.10.13
2022.10.14
2022.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