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질문이 생길때 수업시간 도중 혹은 마치기 전에 질문을 드리면(수업 이후 개별질문을 받지 않는 교수님입니다.)
학생들이 사이에서 볼멘소리가 나오곤 합니다.
비싼 등록금 내고 들어와서 하나라도 더 얻어가려는게 이상한가요?
대학원에 들어가면 이런 현상이 좀 덜할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IF : 5
2022.10.07
보통의 이공계 학과라면 어차피 그사람들이 그사람들이고, 코스웍이랑 연구랑 상관없는 경우가 많아서 수업에 아주 관심들이 없습니다. 질문도 잘 안하겠지만 누가 한다한들 관심은 더 없을걸요
다만 질문을 위한 질문이나 헛질문에는 훨씬더 민감한듯 합니다
2022.10.07
학계는 기본적으로 self study가 베이스라서 insight가 없는 질문, 그러니까 혼자서도 충분히 찾아볼수 있는 내용이라던가 기초적인 개념에 관한 것들은 달갑게 보진 않죠.
그 사람 지적 수준을 가장 잘 보여주는게 질문이니까요.
2022.10.07
한국은 학부 오는 사람들 중에 공부에 큰 뜻을 갖고 오는 사람이 별로 없어서 특히 더 그렇습니다.
2022.10.07
애초에 수업이후 개별질문받지않는 교수님이 잘못된거가튼데
2022.10.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질문도 적당히 선을 지키면 아무도 뭐라 안해요.
다른 사람 질문타임까지 의미없게 잡아먹는 핑프성 질문이나 전공의 기초의 기초 수준 질문 등으로 시간을 질질 끄는 경우는 모두가 싫어합니다
대댓글 1개
2022.10.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리고 수업 마치기 전에 질문은 눈치 봐가면서 해야죠. 질문 받는 동안 교수님이 수업 안 끝내시는 교수님들 계시는데 그런 경우면 교수님 잘못이고, 알고도 질문하면 님 잘못입니다. 보통 그런 경우는 메일로 하죠.
답답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10.07
안타깝게도 님이 다니는 대학이 전혀 명문이 아니라는 뜻입니다.
대댓글 1개
온화한 프리모 레비*
2022.10.07
ㅋㅋㅋ 진짜 썩어빠진 대학민국 교육의 현실을 보여주는 댓이네 그게 어떻게 기준이되냐
생각좀 하고 댓글달길.
온화한 프리모 레비*
2022.10.07
대학원가면 더 심하면 심했지 공부를 가르쳐줄거라 생각하고 들어가면 절 대 안됩니다 밉보이기 쉽습니다
스스로 공부하고 연구해서 실적내는곳이 대학원입니다
직장+공부+기간안 실적 이라고 생각하면 쉽겠죠
무튼 연구목표갖고 입학하는걸 추천합니다.. 아무것도 모르는데 질문하는거 달가워 하지않을겁니다 그래서 공부를 아주 많이 해야하죠
언짢은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2.10.07
다른 학생들이 다음 수업이 먼 건물에 있을수도 있고
볼멘소리가 아니라 본인도 궁금해서 혼잣말한 걸수도 있고
정말 누구나 아는 내용이거나 수업때 말한 내용인데 질문을 해서 시간을 낭비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다 아니라면 그냥 빨리 끝내고 집에가서 놀고싶은거죠.
수업 아예 끝나고 개별질문이 안되면 차라리 메일로 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2022.10.07
그게 신경이 쓰이시면 개인적으로 찾아가서 질문드리세요!
저는 글쓰신 분의 질문하는 태도가 굉장히 좋게 보이네요.
윗분들 중에 한 댓글처럼 질문 내용도 중요하고,
저 사람은 저 내용을 어떻게 이해했고 설명하는지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들어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그 과정에서 지식을 습득하는 것과, 설명의 태도에 대해서 배우거나 반면교사 삼을 수도 있고요.
혼자서만 공부하고, 문제풀고, 그리고 생각하는 사람은 그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분명히 이해했다고 생각하는 개념도 누군가에게 질문받으면 잘 모르는 걸 느낄 때가 많아요.
파이팅!
2022.10.09
해외에는 대학도 중고등처럼 '수업 시작하는/마치는 종'이 있음. 아주 불쾌하게 '대래래래래래래랭' 우렁차게도 울림. 그래서 교수님 수업하시다가도 누가 질문 이어서 하거나 말거나 종 울리면 학생들이 알아서 짐 싸서 문 열고 나감 ㅋㅋㅋ 아무도 뭐라 안함. 아니 뭐라 못하는 게 맞다고 해야 할 그런 분위기임. 마지막 질문에 관심 있는 학생들만 계속 남아서 교수님하고 계속 이야기 주고 받고...
나는 이게 참 좋아 보임. 각자 수업 스케줄이 있는데 교수님이 수업 끝나도 질문 받느라 학생들 다 붙잡고 있는 게 상식적으로도 좀 어색해 보이고.
2022.10.11
기본적으로 연구는 의심의 과정입니다.
모든 것을 의심하고 맞는 지 스스로에게 질문하고 해답을 찾는 과정입니다.
당연히 질문이 많아야 합니다만, 그냥 모든 걸 질문하면 본인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이 생기지 않습니다.
기본적으로 본인이 충분히 공부 및 연구를 한뒤, 답이 나오지 않을 때, 질문을 정리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분께 질문을 드리는 게 가장 좋습니다.
2022.10.07
2022.10.07
2022.10.07
2022.10.07
2022.10.07
대댓글 1개
2022.10.07
2022.10.07
대댓글 1개
2022.10.07
2022.10.07
2022.10.07
2022.10.07
2022.10.09
202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