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출연 학생연구원으로 일하면서 대학원을 다니고 있습니다.
정출연 학연산으로 지도교수와 회사 박사님 두분의 지도를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대학원 랩실이 아니라 정출연 소속이라고 보시면 되는데, 지도교수가 갑자기 3학기 때부터 sci 논문이 안되면 졸업을 안 시켜준다고 한 상황입니다.(대학원 입학할 때, 컨택할 때는 이런말이 아예 없었습니다.)
그리고 저의 연구는 1학기 때부터 정출연 과제와 연결되서 지금까지 같은걸로 하고 있고 졸업논문도 이 방향으로 쓸 계획입니다.
참고로 해당 과제는 지도교수 랩실도 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제 연구분야가 지도교수가 하고 있는 쪽이 아닙니다,, 지도교수는 공대이긴 하지만 사용자 평가?와 같은 인문계 성격이 강한 실험을 위주로 하고 제가 하고 있는 건 성격이 완전 다른 비전, 알고리즘 쪽입니다.
지도교수는 1기 때부터 제가 이걸 연구하고 있는 걸 알고 있었고 별 다른 말을 안했습니다. 오히려 랩세미나 때 하고 있는 연구 학생들에게 발표하고 소개해달라고 했을 정도였습니다.
그런데 졸업할 즈음이 되니 자기 분야가 아니라며 지도해줄 수 없다고 하면서 무조건 sci 논문은 내놔라 하는 상황입니다.
더 최악인건 정출연 박사님도 지금 이 연구 분야 전공자가 아니시라 지도를 해주시는 과정에서 턱턱 막히고 있습니다. 여차저차 해서 10월 초 데드라인인 sci 논문을 준비중인데 두달동안 데이터 쌓고 연구한게 최근에 와서야 현재 알고리즘으로는 전혀 사용할 수 없는 걸로 판별이 났습니다. 한마디로 그동안 삽질을 한거죠..
지도교수는 지도는 못해주지만 sci를 갖고오라고 하고 있고, 회사 박사님의 지도하에 하는 연구는 아기 걸음마 수준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왜 그 주제로 연구를 진행한거냐?라고 하실텐데, 이 주제에 대해서 회사 박사님도 관심이 있으셨고(물론 저도) 과제도 되면서 같이 연구를 해보자는 식으로 진행이 됐습니다. 그래서 석사 1기 들어오자마자 이 연구를 하면서 국내 학회에 발표도 해왔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와서야 박사님도 연구에 대해 힘들어하시는 부분이 보이시는 것 같습니다..
추가로 애초에 왜 그런 랩실을 선택했냐고 하신다면 컨텍시 교수님 구글 스칼라와 홈페이지를 전부 봤는데 비전과 인공지능 관련 논문을 많이 쓰셨더라고요. 하지만 들어와서 알게 된건 교수님께서 해당 논문이 메인 연구가 아니었으며 전부 다른 교수들이 쓴 것에 마지막 저자로 이름을 올리신 거였습니다....
그래서 지금 상황이 sci는 물론이고 졸업 논문도 힘들 것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이게 안되면 자퇴를 해야하나 싶을 정도로 자괴감에 빠지고 있습니다..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2.08.25
논문을 조금 써본 사람 입장에서 SCI급 저널은 랭킹이 있고 관련 분야 하위 랭킹 논문들은 게재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데이터만 충분하고 정출연 PI가 해당 데이터로 논문 퍼블리싱을 허락한다면 일단 시도는 해보고 그만두는게 어떨지 판단됩니다. 제 주변의 경우에는 이공계 석사과정들은 보통 SCI한편 내외 쓰고 졸업을 합니다. 출연연 학생연구원도 마찬가지로. 다만, PI들끼리 소통이 엄청 안되나보네요. 이런건 학생보다 둘이서 합의보고 준비할텐데요...
대댓글 4개
2022.08.25
네 일단 SCI 논문 트라이는 해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교수님께서 제시한 SCI 저널들이 BK21 컴퓨터 사이언스 분야 목록으로 말씀하셨습니다. 그래서 더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2022.08.25
아, 그리고 PI들끼리 소통은 전혀 없습니다. 사실 교수님께서는 학연 제도를 모르고 학생들을 받는 느낌입니다. 입학과정에서도 학연이 뭐하는 거냐고 물으시더군요.. 제 생각이지만 랩실 채우려고 학연을 받는 느낌입니다.
2022.08.25
해당 분야 리스트 중 open access 기준으로 찾아보셔야겠네요. 게재율을 잘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2022.08.25
출연연은 게재료 부분에서는 많이 자유로우니 open access쓰기 좋을 거에요. 다만, 교수이름을 넣어야되는거 아닌지 모르곘네요.
2022.08.25
정출연 진학의 대표적인 나쁜 예입니다.
정출연 방학 인턴이니 해서 혹하는 학생들 있는데 랩을 매우매우 잘 알아보고 들어가야지 안그러면 이런 경우 부지기수라서 많이들 정출연 진학을 말리는 겁니다. 학생으로 신경써서 지도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요.
물론, 정출연 랩이 모두 학생들을 이렇게 대하느냐 면 그건 아닌 건 맞습니다.
잘 고르면 좋은 랩도 있지요.
안좋은 경우의 비율이 학교보다 높다는 거지요.
대댓글 1개
2022.08.27
네 정출연 대학원은 정말 이도저도 안되는 케이스라고 뼈저리게 느끼고 있습니다. 대학원 진학시 나름 알아보고 들어왔다고 생각했는데 정출연 끼고 대학원 오는게 이렇게 안 좋은지는 와서 알았습니다..
심지어 지금까지 저희 팀에서 정출연으로 졸업하셨던 선배들 모두 힘들게 졸업하셨습니다. 하지만 그들도 이제 내일이 아니니 입학하는 학생들을 말리지 않았던 것이었습니다.
저는 정말 정출연 산학으로 대학원 가시려는 분들 모두 뜯어말리고 싶을 정도입니다...
2022.08.31
정출연 산학으로 대학원을 준비하려고 했는데,,, 조금 고민이 되게 만드는 글입니다.. 혹시 어떤 정출연인지 지역이라도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2022.08.25
대댓글 4개
2022.08.25
2022.08.25
2022.08.25
2022.08.25
2022.08.25
대댓글 1개
2022.08.27
2022.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