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20 대학 중 10군데 정도를 박사과정으로 지원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전컨택이 중요하다고 해서 열심히 메일을 보내고 있긴 합니다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회의감이 듭니다.
1. 답장률이 20%가 안된다. 대부분 읽씹이다.
2. 긍정적 reply라 해도 두가지가 전부이다.
'TO있으니 한번 지원해봐라.' '너의 연구핏이 우리와 잘 맞는 것 같으니 한번 지원해봐라.'
3. 심지어 어떤 분은 '미국에서는 교수에게 직접 컨택을 하는것이 아니라 학과에 먼저 합격을 해야 합니다.' 라고 살짝 면박을 주기도 한다.
결국 사전컨택 후 제가 얻는 것이라곤, '이 연구실에는 TO가 있구나' 정도인데, 실제 합격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 회의감이 듭니다.
차라리 교수 알아보고 메일 쓸 시간에 연구나 조금 더 하고, SOP를 좀 더 고치는 게 맞지 않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졸린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08.18
저도 지금 해박 준비 중 인데요.... 진짜 면접 잡힐때까지 일명 'State의 플래그쉽 대학교' 의 연구실 중 저랑 맞는 곳에 메일을 엄청 보내다보니 두 군데에서 화상 면접을, 한 군데에는 텍스트로 면접하자는 답장이 왔습니다. 세 군데 모두 면접 잘 마쳤구 두 군데는 풀펀딩 해주겠다는 얘기 들었습니다.
순위는 TOP 100 정도로 예상하는데 크게 신경 안쓰고 연결되는 주제를 다루는 연구실들을 최대한 집요하게 메일 드렸습니다. 컨택 된 학교들 중에는 제 전공에서 TOP 10 을 논할 때 반드시 들어가는 학교도 있네요.
자랑이 좀 들어가면서 길어졌는데 결론은 집요하게 하다보니 되기는 한다는 뜻입니다. 힘네세요 ^^
대댓글 4개
졸린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08.18
전 메일이랑 CV 를 미국에서 학석박 졸업하고 거기서 일하고 있는 사촌 누나에게 가이딩 받으면서 많이 고쳤는데 둘 다 지금 상태랑 처음 컨택했을때랑 내용이 많이 다른데요.... 컨택할때 교수님께 본인을 어떻게 이해시킬까 고민하면서 컨택해보고 있습니다.
2022.08.18
제가 지원하는 학교는 전부 다 9월부터 시작하는 박사지원 때 정식으로 학과에 지원서를 넣어서 먼저 학과차원의 합격을 받아야만 합니다. (이는 교수 개인이 절대 관여할 수 없다고 합니다.)
계속 컨택하다보면 되기는 한다는 게 제 상황에서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학과에서의 합격통지를 받기 전에 교수로부터 합격을 먼저 고지받는다던가 풀펀딩이 결정나는 건 불가능 한 거 같은데요..
졸린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08.18
풀펀딩 얘기 나온 두 교수님께서는 '내가 이 학생을 서포트할 생각이니 선발할 때 참고해주기를 바란다' 라고 "관련 사무실에 보낸 메일"을 제게 공유해주셨습니다.
교수님들이 보내셨던 메일들이 어느정도 효력이 있는지는 모르니 아직 합격을 100퍼 확신하기는 힘든 상태지만 그 두 학교의 두 교수님들께서 학교에 어필을 하신건 확인했습니다. 두 분 다 크게 걱정 하지 말라고 하시기는 했습니다.
졸린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08.18
https://phdkim.net/board/free/32358/
전에 제가 올린 글이고 첨부로 올린 사진이 교수님께서 제게 보내신 메일입니다. 이런 경우도 있는 것 같더라구요.
호탕한 밀턴 프리드먼*
2022.08.18
그거 메일 쓰는데 얼마나 걸린다고.. 안하는거 보단 하는게 무조건 낫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8.18
일단 해보긴 할건데, 한국에서는 아니겠지만 미국에서는 학과에서 먼저 합격하는게 우선이다 와 같은 답변을 몇 번 들으니 좀 회의감이 드네요.
2022.08.19
분야마다 편차가 좀 큽니다. CS 에서 ML 하는 중인데 여기는 컨텍메일이 너무 많이 와서 교수님들이 아예 안 봅니다. 그렇다보니 정식 입시로만 승부하는 경향이 있네요. 옆에 시스템 쪽은 오히려 컨택만으로 교수님이 적극적으로 붙도록 힘써주겠다고 약속하기도 하더라고요.
2022.08.19
학교/학과마다 다릅니다. 컨택이 매우 권장되는 학교/학과가 있고 의미 없는 학교/학과가 있습니다.
2022.08.1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일단 본문 2번에 긍정적 답변이라 말씀하신 것들은 사실상 완전 중립 답변입니다.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은 형식적인 답변일 뿐. 본문 2번=3번 같은 의미이기도 하고요.
컨택이 아주 파워풀한 학과들이 있어요. 학점 낮은데 실적은 있는 학생들에게 탑대학원 진학 거의 유일한 찬스...
2022.08.19
저는 화학과이고 원하는 학교랑 랩에 컨택없이 왔어요. 필수는 아니에요.
대댓글 1개
2022.08.24
원하는 학교에 어떻게 컨택을 안하신 건가여..?
2022.08.19
1. 컨택이 필수인 학과, 아닌 학과, 금지된 학과등 경우가 많아요
2. 컨택이 필수가 아니라면, 정답은 없어요. 본인 판단하에 하고 싶으면 하고, 말고 싶으면 마세요.
3. 컨택의 답장 여부와 뉘앙스에 일희일비할 이유는 없어요. 긍정적인 답변+인터뷰요청이 와도 가차없이 떨어뜨리는 경우도 있고, 시큰둥한 답변이 왔거나 씹었어도 뽑아주는 경우도 많아요. 보통 미국인 교수들이 답장을 긍정적으로 주는 경우가 태반이기도 하구요.
보통 미국인 교수님들이 지원자의 스펙이 대단히 압도적이지 않은 이상, 학생의 잠재성이나 랩에 왔을때 백그라운드를 다양하게 채워줄수 있는지를 따져서 뽑기 때문에 컨택하자마자 "너 뽑아줄게" 라고 하긴 힘들어요. 탑스쿨일수록 그런 경향이 심하구요.
2022.08.23
컨택했을때 화상미팅해보자 혹은 관심을 보이는 답변 정도가 유의미한 결과이고, 이렇게 된 랩에 입학가능성도 많이 올라갑니다. 그렇게 두세군데 컨택을 만들기위해 더 많은 랩에 컨택해보세요 !
물론 컨택안된 랩에 입학하는 케이스도 있으나, 컨택성공한 랩에 들어가는 케이스가 더 많을거에요
2022.08.18
대댓글 4개
2022.08.18
2022.08.18
2022.08.18
2022.08.18
2022.08.18
대댓글 1개
2022.08.18
2022.08.19
2022.08.19
2022.08.19
2022.08.19
대댓글 1개
2022.08.24
2022.08.19
2022.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