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사용합니다.
수백Hz 이상으로 제어 돌리려면 파이썬만 사용해서는 연산이 느려서 안되요.
2022.08.03
LABVIEW,C,C++로 합니다.
대댓글 5개
사려깊은 게오르크 헤겔*
2022.08.03
오 랩뷰 쓰는곳이 아직도 있군요...
2022.08.03
메카트로닉 시스템 개발하는데 랩뷰만한게 없어요. 하드웨어 다 만들어진거 가져다 통신만 뚫어서 쓸거면 C++만 써도 되겠지만..
사려깊은 게오르크 헤겔*
2022.08.03
저도 2016~7년까지는 c-rio(오래돼서 기억이...) 많이 썼는데
그 이후에 mcu가 워낙 잘나오고 가격경쟁력도 랩뷰쪽이 많이 밀려서 mcu쪽으로 넘어왔습니다.
물론 지금도 mcu가 못따라가는 성능이나 편리성이 있지만... 가격과 무게, 후진적인 라이센스 정책때문에 다시 사용하기 꺼려지더군요. 어떤 분야는 랩뷰가 여전히 장점이 있는 건 인정합니다.
2022.08.03
저희도 재작년에 누클리오를 써볼까 해서 작업 하다가 6개월동안 삽질만 하고 못넘어갔습니다. NI것들이 비싸긴 한데.. 개발기간이나 신뢰성에서 워낙 차이가 많이 나서, 인건비를 따지면 오히려 더 저렴한 것으로 결론 내리고 계속 쓰고 있습니다. 무게는 sbRIO 쓰면 해결이 되고요.
그래도 계속 보고 있긴 한데, 혹시 최근에 나온 mcu 보드 중에 잘 쓰고 계신거 있으면 추천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사려깊은 게오르크 헤겔*
2022.08.03
저희는 칩이랑 필요한 센서, 부품 선정해서 레이아웃 그려서 직접 만드는 편입니다.
워낙 유명한 ARM사의 Cortex-M3, M4, M7가 있고 TI사의 제품도 있는데 이건 마이너한 편입니다.
인페니온의 차량용 MCU로 나온 제품이 있는데 이걸 탑재한 보드설계를 못하고 졸업하는 게 약간 아쉬운 편입니다.
2022.08.03
실험랩이냐 알고리즘 랩이냐에 따라 다름. 알고리즘 개발하는 거면 일단 MATLAB, SIMULINK로 만들어서 시뮬레이션 돌려보고 ROS + gazebo로 옮기거나 함. 실험 랩도 적어도 gazebo나 airsim 정도는 돌려보고 하는 경우가 많음.
요즘 파이썬도 빨라져서 엄청나게 time critical한 거 아니면 파이썬도 충분히 빠름 + 머신러닝 붙일 거면 파이썬이 통일성 면에서 좋죠. 그런데 어차피 ROS 쓰실 거면 머러 노드만 파이썬 쓰고 나머지 C로 짜도 상관 없으니 편한 대로 해도 좋습니다.
2022.08.03
2022.08.03
대댓글 5개
2022.08.03
2022.08.03
2022.08.03
2022.08.03
2022.08.03
2022.08.03
대댓글 1개
2022.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