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Mdpi mathematics 잘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2022.07.04

15

5950

안녕하세요, 얼마전 정말 감사한 기회로 교수님 도움 하에 학부생이지만 일저자로 논문을 투고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교수님께서는 이 논문을 mdpi mathematics에 투고하실 계획이신 거 같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구글링을 하다가 mdpi가 윤리적으로 논란이 많은 저널이며 대한수학회에서는 아예 mdpi mathematics 투고를 지양하라는 강한 권고문까지 내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물론 저는 아직 학부생이고 솔직히 저널의 수준은 정말 상관없이 어디에라도 어셉이 되면 감사한 심정인데, 윤리적인 측면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저널 투고는 솔직히 조금 걱정되긴 합니다.. 김박사넷이나 다른 커뮤니티들 둘러보니 mdpi에 투고하는 연구자들을 강하게 비판하시는 분들이 많더라구요.. 어셉되리라는 보장도 없긴 하지만, 학부생 신분에서도 mdpi mathematics에 퍼블리쉬하는 게 추후 해외대학원 어플라이 등 연구 커리어에 안하니만 못한 흠이 될까요..? 그렇다면 저는 차라리 수준은 더 낮더라도 국내 저널에 투고하는 것이 낫다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2022.07.04

석사까지할거면 내보셔도되고
산만한 스티븐 호킹*

2022.07.04

요즘은 퀄리티 컨트롤 하고 전보다 리뷰 프로세스 많이 개선되었지만 수리과학쪽에서는 여전히 배척당하고 있죠.
나노나 센서쪽으로는 괜찮다고는 하지만 수학회에선 분위기가 많이 다르기 때문에 교수님께 직접 물어보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교수님이 그쪽으로 투고 하시자는건 해당 학교에서 실적인정 해준다는 거라 없으니만 못하고 그런건 아닙니다. 박사까지 연구커리어 생각하면 국내저널이나 mathematics나 크게 영향있는 실적은 아니라 본인 공부한다 생각하고 정리하시고, 나중에 해외나가실 때 마음에 안들면 본인 CV 에서 빼시고 지원하시면 됩니다.

대댓글 3개

2022.07.04

저는 지금 학부 졸업 후 다이렉트로 미국 phd 어플라이 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학부생 신분으로 쌓을 수 있는 연구 실적이 많지가 않아 이번 경험도 최대한 잘 살리고 싶은데 혹시나 이게 대학원 교수들 입장에서는 되려 윤리적으로 안좋게 보일까 걱정입니다.. 그리고 제가 검색해보기로는 저희 학교에서도 나름 공식적으로 MDPI 실적 인정 안해주겠다고 선언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수님이 이 저널을 생각하시는 건 추가로 논문 봐주신 해외대학 교수님이 이 저널에 내기를 원하셔서인듯 합니다ㅠㅠ
산만한 스티븐 호킹*

2022.07.04

해외나가실거면 없는걸로 치는 국내출판sci보단 mdpi가 훨씬 낫습니다. 사실 해당 저널의 윤리적 문제는 학부생 수준에서 크게 상관없구요 본인 연구역량을 나타낼 수 있는 좋은 증빙자료이기 때문에 주어진 시간 동안 퀄리티 높이는데만 신경 쓰시길 추천합니다. 저널 수준은 학생보단 교신저자인 교수님이 떠안고 가는거고 교수님인 본인 커리어에 해당 저널이 추가되는것에 거리낌 없다는건 학생도 크게 신경 쓸 필요 없다는 거니 너무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산만한 스티븐 호킹*

2022.07.04

그리고 대가들 중에 mdpi에디터로 계신 분들고 많으시고
현실에선 인터넷에서 만큼 악명?높지 않으니 인터넷상의 극단적인 말들에 너무 신경쓰시지 마세요

2022.07.04

교수님이 내자고 하시는건 아마 여러가지 생각이 있으실껍니다. 난이도에 비해서 MDPI 가 내기 쉬운 것도 있을거고, 리뷰가 빠르다는 점도 있고요. MDPI Entropy는 그래도 나쁘게 보지는 않는 편인데 MDPI Mathematics 는 이미지가 안 좋은 편인가 보네요. 교수님께 이왕 내는거 조금 더 정통성 있는 곳은 어떻겠냐고 살며시 여쭤보세요.

대댓글 2개

2022.07.04

정말 저널의 레벨은 낮아도 상관없는데 윤리 문제로 크게 논란이 되었던 저널이라 그부분이 조금 걱정되네요ㅠㅠ

2022.07.04

일단 교수님께 말씀드리고 걱정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사실 첫 논문이면 어딜 "내느냐"보다는 일단 어디든 "붙는것"을 걱정하시는게 맞아요. MDPI 라도 있는 것과 MDPI 조차도 없는건 차이가 크니까요
징징대는 로버트 보일*

2022.07.05

학부생이 내는 수학 저널로는 나쁘지 않죠. 사실 수학은 아카이브에만 올라가 있어도 영향력이 있기 때문에..

2022.07.05

학부생이 작성한 논문으로는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더 깊게 파고들어 논문 수준을 끌어올리지 않는 이상, 아마 쓰신 논문 수준에서 적당하다고 판단하신건지 or 시간적 여유가 없으신건지 둘 중 하나 이유입니다.

2022.07.05

어차피 학부생이 저널 선택 결정권이 0.1%라도 있을거라 생각하지 않으니 그런 걱정은 하지 마시고, 내시는게 맞는것 같습니다. 논란이 있더라도 scie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7.05

네 맞아요 사실 제 결정권은 정말 0에 수렴합니다 ㅋㅋ 그런데 얼마 전에 우연히 해당 저널을 구글링해보니 한국 학계분들이 mdpi에 투고하는 것은 학계를 좀먹는 행위..? 학문적 자살 행위..? 논문의 수준을 떠나서 여기다 투고하는 건 연구자로서 학계에 완전히 피해를 주는 일..? 이런 식으로 강하게 비판하시더라구요.. 그래서 윤리적으로 너무 지탄을 받으니 조금 걱정이 돼서 큰 용기를 내어 교수님께 차라리 수준은 더 낮아도 국내 저널에 투고하는게 어떨지 조심스럽게 말씀드리려 했는데 여기 댓글로 다들 잘 조언해주셔서 저는 그냥 걱정 안하고 교수님 뜻대로 가려구요!

2022.07.05

내 박사할때 mdpi = 돈내면 논문실어주는곳 이라고 들었는데.. 그정도로 퀄리티 신경안쓰던... 2년전인데.. 근데 국내sci보단 나을듯

대댓글 1개

2022.07.06

지금도 붙기 쉬운건 맞아요. 근데 다 붙여주는건 또 아님. 전략적으로 애매한 포지션을 유지하고 있는 듯 합니다.
능글맞은 프랜시스 베이컨*

2022.07.09

근데 수학논문 인가여?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