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미박중인데 여긴 코스웍+잡일+연구까지 해야함.
한국은 코스웍 부담도 없으면서 징징대는거 보면 한심ㅋㅋ
잡일 때문에 연구 못한다는 글 잘 이해가 안됨
35
- 여긴 인간관계 파탄자들만 모여있나? 왜 이딴 글들 계속 올라오지? 인간관계 맺기 싫으면 산속에 처박혀 사세요.
인간 네트워킹
18
- 여기 글들 보면 비슷한 수준 많던데요? 여기 그런 곳 아닌가요?
대기업 연구 가고 싶으면
13
- 그게 책임감 없는거죠..취업하기는 힘드시겠네요
랩실 나가는게 책임감 없는건 맞는데
13
- 실적 빵꾸내고 교수 탓...ㅋㅋ
연구성과와 학생의 책임
14
학점 낮아도 연구자로 성공 가능한가요?
2022.04.22
24
4185

서울 중위권 대학 3-2 복학 예정인 생명공학과 학생입니다.
다름 아니라, 제목 대로 학점 낮아도 연구자로 성공 가능한가 궁금합니다..
제가 말하는 낮은 정도는 제 학점 2.9를 기준으로 말했습니다.(코로나 전 기준입니다. 이제 복학하거든요.)
저는 새로운 논문 읽거나 최근 유행하는 바이오 생명공학 기술을 좋아합니다.
즉, 그냥 호기심이 엄청 많은 타입이에요.
근데 이상하게 시험공부는 재미가 없고 좀 부족한 편이여서 학점이 낮았습니다.
원래 연구자가 꿈이었는데 아무리 학점 올려도 3점 초중반 3.4? 정도 가 최대일거 같아서.
학과 담당교수님이랑 오늘 면담하는데, 연구 관심은 있는데 다른 친구들 처럼 학점 열심히 챙길 자신도 없고
이런상태로 대학원 가봤자 잘 안될거 같다 라고 했는데
교수님이 허허 웃으시더니
학점과 연구 잘하는 것은 연관성이 거의 없다 하시더라고요.
대학원가면 어차피 지식은 계속 논문 읽고 부딪히고 찾다보면 쌓아지는 것이라고
정말 중요한건 호기심을 유지하고, 연구자적 마인드를 갖는 것이라 그러시는데
솔직히 대학원도 안가봐서 와닿지도 않고 제가 생각하는 연구자는
박학다식한 느낌인데 교수님이 그냥 저 듣기 좋으라고 하시는 말일까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연구자면 실력으로 증명하면 되지53
7
3198
-
6
26
6206
-
0
14
3000
-
0
12
1622
김GPT
학점과 연구능력과 상관관계4
6
6905
-
2
9
12228
-
6
22
3706
김GPT
학점 낮은데 대학원 진학 가능할가요ㅠ1
13
2587
-
7
12
3359
명예의전당
대학원 생활이 힘든 이유들115
27
75283
-
258
56
24413
명예의전당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164
66
97022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IF : 5
2022.04.22
대댓글 2개
2022.04.22
대댓글 1개
2022.04.22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