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년도에 대학원 진학을 희망합니다.
근데 제가 뭘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요.
응집물질물리쪽으로 특히 초전도체에 호기심이 있는데 그게 다 입니다.
관련 교수님을 찾아 보려 해도 '초전도'라는 연구실은 없는 거 같고(성균관대가 유일한거 같던데), 또 다른 방향으로 찾아봐도 박막이니 산화철?이니 이렇게 알 수 없는 말만 있고, 봐도 모르겠고, 읽어도 모르겠습니다.
대학원생 선배님들은 어떻게 대학원을 진학했나요?
현재 제 희망 사항은 한국서 석사를 하고 박사유학을 가고 싶은데... 석사조차도 어떻게 진학을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아무 연구실이나 들어가라고 한다면 할 수 있죠. 근데 그래도 관심있는쪽으로 가야하는 거 아니겠습니까?
아니면 제가 아는 초전도라는 용어와 이미 연구가 진행중인 초전도의 용어는 다른가요?
물리과 대학원 선배님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4.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응집물질물리의 궁극적인 목표 중 하나가 결국 초전도 현상 및 물성을 잘 설명하는 거에요. 실질적으로 잘 알려진 초전도체 물질 자체를 연구하는 건 트렌드에서 벗어난지 오래이고, 여러 물질에서 비슷한 물성을 연구합니다. 공부가 많이 필요해 보이시네요. 4학년이면 슬슬 관심 분야 찾으셔야 되는데 인턴 이라도 해보시는건 어떨까요? 유학 말씀 하셨는데, 물리학과에서 좋은 대학들은 석사로 잘 안 받아주고 자대생들이 거의 들어갑니다. 그리고 물리학과로 유학 가는 사람들 보면 학부, 학점, 연구 중 하나는 제대로 하고 가는데 뭘 할 수 있을지 고민해보셔야 될 것 같습니다.
대댓글 3개
2022.04.21
저도 제 스스로가 공부가 많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다른 과목 복전 중이라 물리학과 4학년 과목을 하나도 못 듣고 졸업할 것 같거든요. 글쓴분 말씀대로 석박사통합으로 생각을 해봐야 하겠네요. 그러다가 열심히해서 좋은 결과 있으면 유학을 가 보는 것이고 아니면 한국에서 열심히 해야 하는 것이고. 답변 감사합니다.
2022.04.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잘 모르겠으면 학회 내용을 보면 어떤걸 연구하는지 대충 알 수 있죠. https://march.aps.org/sessions 얼마전 미국물리학회인데 참고 하세요.
2022.04.22
감사합니다. 공부해보겠습니다.
IF : 5
2022.04.21
그만큼 인기가 없는 분야인건 아닐지요
대댓글 2개
2022.04.22
하하하
2022.04.22
제가 무지해서 그런거 같더라고요
2022.04.21
현재 응집물질물리쪽 석사 중입니다
하도 물리가 진짜 랩실마다 연구하는 분야가 다양하고 응집물질물리쪽에서도 많이 갈려요
우선 저 같은 경우는 소재를 합성하는데 겉으로 보면 공대쪽이랑 다를 바가 없는데 분석하는 관점이 달라요
공대는 소자로 만들어서 특성을 분석하고 얼마나 뛰어난 성능을 가지고 어떻게 성능을 향상했나가 관점이면
물리쪽에서는 합성된 메커니즘과 그게 맞는지, 유추하는 바가 맞는지 왜 그러는지 요런걸 따져서 분석합니다
결론은 둘다 한다가 맞긴 한데 어느 쪽을 우선 순위로 두냐가 조금 달라요
그리고 다른거 무엇봐도 중요한건 대학원 랩실은 꼭 잘알아보고 가세요 또라이들 진짜 많아요...
대댓글 1개
2022.04.22
꼭 확인해보겠습니다.
2022.04.21
http://psac.kisac.org/ 참고하세요.
초전도체의 어떤면에 관심을 가지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재료측면이라면 제일 최근에 핫했던게 iron based supercondutor라서 산화물 하는데서 많이하지 않을까 싶고, 통계나 하드코어 물성이론(시뮬레이션말고) 하는데는 초전도 한번씩 안해본데가 없을겁니다.
대댓글 4개
2022.04.2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노파심에 말씀 드리자면 주류 학계에 남고 싶으면 이런 국내 저널은 쳐다보지도 마세요... APS 저널, 특히 review of modern physics 같은 곳에서 리뷰 논문 보세요
2022.04.21
저 저널 보란 소리가 아니고 에디터 리스트 보란 소립니다.
2022.04.22
저런 저널 메인으로는 안 읽어도 남는시간에 재밌게 보는것도 이해도 쉽고 나름 도움됨.
2022.04.22
사이트 추천 감사합니다. 담주 화요일이 시험끝인데 당일날 무조건 읽어 보겠습니다.
2022.04.21
윗 분이 말씀하셨듯이 초전도는 응집물리의 꽃이죠. 국내에서도 초전도 연구하는 분들 굉장히 많습니다. 뭘 해야한다고 물으신다면, 여러 대학 사이트 돌아다니면서 응집물리 이론/실험하시는 교수님들 랩에 컨택해서 인턴부터 하세요.
대댓글 1개
2022.04.22
인턴 무조건 해보겠습니다.
짓궂은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21
초전도의 기본적인 원리는 아세요? (BCS theory, Bugoliubov quasiparticle, critical field/current, s-wave/d-wave SC 등등..) 모르시면 이쪽 개념부터 먼저 정리해보시고, cuprate나 pnictide같이 역사적으로 중요한 SC에 대해 공부해보세요. Fermi liquid, CDW, SDW, pseudo gap state 등 거의 모든 강상관 현상과 관련 있는게 초전도입니다. 연구실 이름에 대놓고 초전도가 들어가는 경우는 별로 없어도, 국내에만 초전도와 관련있는 분야를 연구하는 물리학과 그룹이 50개가 넘게 있습니다. 다시 잘 조사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2.04.22
아는게 BCS이론이 다 인것 같습니다. 먼저 강상관 현상이 먼지 모르니 그것 부터 공부해보겠습니다.
2022.04.24
크게 보면 초전도란 물질의 한 Phase에 불과합니다. 그래서 응집물리하는데서 DFT아니면 다 크게 초전도와 관련 있다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초전도 이론을 하고싶은건지 실험하고 싶은건지, 이론을 한다고 해도 그게 수치계산인지 아니면 장론으로 접근하는지 다 다릅니다.
2022.04.21
대댓글 3개
2022.04.21
2022.04.21
2022.04.22
2022.04.21
대댓글 2개
2022.04.22
2022.04.22
2022.04.21
대댓글 1개
2022.04.22
2022.04.21
대댓글 4개
2022.04.21
2022.04.21
2022.04.22
2022.04.22
2022.04.21
대댓글 1개
2022.04.22
2022.04.21
대댓글 1개
2022.04.22
2022.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