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박사과정을 4~5년 정도로 알고있는데
(석사 제외 박사 기간만)
주변에 이야기하다가 누가 박사를 2년만에 취득했다고 하더라구요.. 근데 상식적으로 교수님도 그렇고 주변에서도 정말 빨라야 3.5년이고 평균 5년이라고 했는데
2년만에 졸업한다는게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만약 2년만에 졸업할 수 있다면 어떤 경우인지도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4.0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년만에 졸업 하면
노벨상 컨텐더일껄요
대댓글 1개
세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09
뭔… 아닙니다. 박사 년수와 노벨상은 필즈상은 몰라도 노벨상이랑은 상관관계 전혀 없습니다.
IF : 1
2022.04.09
실제로 뵌 교수님들 중에 미국박사 3년 컷 하신 경우를 보긴 했습니다. 대신 apply 하는 시점에 정확히 언제 어떤 연구를 해서 어떻게 publication을 낼 것이다, 그 과정에서 어떤 도움을 받고 싶다가 firm하게 있으셨다고 들었습니다. 그리고 가서 실제로 execution을 하셨고요.
박사라는게 교수 네다섯명이 합의하면 줄 수 있는 것이라... 납득 시킬 수 있을 정도의 퍼포먼스를 내면 절대 불가능한게 아니고, 제가 교수라도 저에게 그정도로 훌륭한 사람이 학생으로 온다면 줄 생각이 있습니다. 빨리 박사를 받는게 능사는 아니지만, 내가 이 사람 기회 뺏을 정도로 훌륭하다 싶으면 어떻게서든 시간 맞춰서 줘야죠.
노벨상 컨텐더...를 감히 제가 판단할 것은 아니라서 얼마나 훌륭하신지를 얘기하는 것은 좀 애매한 것 같고, 다만 진심으로 존경하는 교수님이시고, 훌륭하신 분인 것을 보면 그러실만 하다고 느낍니다.
IF : 5
2022.04.09
정말 뛰어나지 않은 이상(그리고 그정도라면 교수가 잘 안놔주려고 하죠), 박사 2년안에 했다고 하면 사람들이 이상하다고 의심부터 합니다. 그냥 다들 하는 선 안에서 하는게 좋아요.
즐거운 헤르만 헤세
IF : 1
2022.04.09
좋은 의미로는 꽤 드물고, 안 좋은 의미로는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지도교수가 펀딩이 완전히 끊겼다거나, 연구를 지속할 수 없으면 그냥 그 시점에서 학위 주고 끝내는 경우도 왕왕 있습니다.
세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09
포항공대 교수님중에 박사 1년만에 따시고 임용되신 분도 있습니다. ㅎㅎㅎㅎㅎ 근데 그게 님은 아닌거 아시죠?
대댓글 2개
세심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2.04.09
세계 탑급대학들 쭉 보시면 생각보다 박사 1-2년만에 따고 임용된 젊은 교수들 찾기 생각보다 어렵지 않아요.
2022.04.10
그냥 묻는 말인데 마지막 왜이리 꼬여있는지...? 스크류바세요?
2022.04.09
아주 뛰어나거나 학위주는 곳이 이상하거나 둘 중 하나인데, 미국 탑스쿨이거나 본인이 어디 내놔도 인정받을 만하면 좋은 거고 평범하면 물박사 의심받기 딱 좋음. 전체적으로 비추. 박사는 면허같이 따면 끝인게 아니라 얼마나 실력있는지에 따라 대우가 천차만별이고 그 실력을 남한테 증명해야해서 무리해서 일찍따는게 오히려 안좋음
2022.04.12
풀타임 기준으로 학점 꽉채워듣는데만 2년 걸리는데, 공대 기준으로 회사 외주 및 프로젝트 진행하기도 버거운 시간이죠. 수업이 끝나고 프로젝트 결과 잘 정리해서 논문 내고 디펜스하는데 1년 잡으면 빨라야 3.5년 걸리는 것 같습니다.
2022.04.09
대댓글 1개
2022.04.09
2022.04.09
2022.04.09
2022.04.09
2022.04.09
대댓글 2개
2022.04.09
2022.04.10
2022.04.09
2022.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