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여러분이라면 두 연구실 중 어딜 고르실건가요??

조급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2.03.24

10

2725

저는 미국 박사과정 EE 계열 대학원 진학 준비 중이고 요즘 연구실에 컨택 메일을 넣고 있던 중 두 학교에서 풀펀딩 해줄테니 와달라는 연락을 받았습니다.

여러분이라면 두 학교 중 하나를 골라야하는 상황이라면 어디를 선택하실건가요? (한국에 들어오기보다는 미국에서 취업한다는 가정하에)

공통점
-연구주제 비슷
-둘 다 주립대, 등록금 비슷
-풀펀딩 보장

차이점

Case A
-미국 10-50위권 대학, 우리나라 사람들도 많이 아는 학교
-지도교수가 그 학교로 온지 2년 정도 됐고 젊은 Indian American (인도에서 미국으로 귀화, 석박은 미국에서 취득)
-랩 규모 확인 안됌.
-이 교수의 지도교수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이분은 다른학교 교수님) 이고 이분하고 현재 내가 가려는 학교하고 연구과제 같이 하면서 논문 마니 내고 있음.

Case B
-미국 50-100위권 대학, 우리나라에서는 잘 모르나 미국에서는 연구실적이 좋은거로 인지도 있는편
-지도교수가 서양인이고 그 학교에서 10년 이상근무했으며 50대 초반
-랩은 여러 교수가 한 연구센터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는데 코로나 때문에 학생 안받았다가 최근 받기 시작해서 규모는 작음. 중국인, 한국인 좀 있고 서양인 조금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다정한 유클리드*

2022.03.24

저라면 둘 중 하나에서 골라야 한다면 CASE A 고르겠습니다.

다른 옵션을 조금 더 보시지요.

대댓글 3개

조급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2.03.24

이유를 여쭤봐도 될까요??
다정한 유클리드*

2022.03.24

일단 미국 외 외국인들과 교류 할 때에, 친숙한 이름인 편이 친밀감 형성에 좋습니다.

랩 규모는 A, B 에 차이가 별로 없는 듯 하고요.

Case B 같은 경우에 중국인, 한국인이 더 많다고 하셨는데, 좋은 사인은 아닌 것 같습니다.

+ Case A 할아버지교수님이 노벨상 수상자라고 하시고, 연결이 많이 되어 있다 하시니 배울 것도 많을 것 같습니다. 기회있으면 잠시 다녀오는것도 부담 없을 듯 하고요.
조급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2.03.24

넵. 답변 감사합니다.

IF : 5

2022.03.24

일단 안됌 ㄴㄴ 안됨 ㅇㅇ
저도 1번이요. 다양하고 좋은 연구 기회가 더 많아보이네요.

대댓글 1개

조급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2.03.24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022.03.24

닥전

머리 훨씬 잘 돌아가는 지도교수 + 노벨상 수상자 인맥 + 학교 네임벨류까지 3단콤보임

대댓글 1개

조급한 베르너 하이젠버그작성자*

2022.03.24

답변 감사합니다. 한국 유학사이트에서 두 학교의 학부 진학 비율을 찾았는데 8:2 로 A 가 압승이더군요.

2022.03.25

제가 보기에도 고민의 여지 없이 A입니다.

2022.03.27

모든 게 1이 더 좋은데요? 특히 미국 취업하고 싶으시면 학교 랭킹도 중요합니다 1단점이 신임교수라 고생은 많이 하겠다는 건데요 이외에는 다 좋아 보입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