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제 잘 정리해서 출국만 하시면 됩니다.
어쩔 수 없어요.
해외에서 이방인의 삶을 살다 보면 원가족, 특히 부모 형제와의 시간이 점점 파편화되는 것을 느낄 겁니다.
그런데 유학 준비하면서 한번도 생각해 보고 각오하지 않았나요?
원래 유학이 자기 삶을 걸고 하는 겁니다.
60년 전 쯤 1세대들도 그랬고 지금 막 은퇴하시는 70뇬대 학번들도 그랬고 IMF 직후에 나간 90년대 학번도 그랬어요.
12 - 제 조부모님이 저 유학 올 때 보이셨던 태도가 떠오르네요. 저런 말씀을 하실 때 기저에 있는건 본인 자식을 자기가 아예 모르는 곳에 내놓는것에 대한 불안함을 자기가 아는 방식대로 통제하고 싶어서 그러신것 같습니다. 너무 말 내용 자체에 휘둘리지 마시고, 그냥 작성자님이 알아서 충분히 잘 할 것이고 부모님과 완전히 끊어지지 않을 것임을 가볍지만 꾸준하게 표현해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픈 하우스 참석, 유학 따라가기 등 이런 요구를 하실 때에는 '현실적으로 비자 받을 명분도 없이 뭘 가냐, 나 혼자서도 충분히 잘 한다'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시고요. 가치관적인 것들 (인종이나 문화 비하)도 그냥 '사람 사는게 다 다른거다, 나는 열심히 내 단도리 잘할 테니 걱정마라'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세요. 돈 관련한 것들도, '귀중한 교육 받으러 가는데 이정도라도 돈 주는 게 어디냐, 이렇게 전문성 가지면 나중에 더 많이 벌 수 있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되구요. 적당히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되, 부모님의 안심은 챙겨드릴 수 있는 가볍지만 단호한 표현을 추천드립니다.
16 -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요인, 이를테면 나이, 성별, 국적, 인종 등으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물론 특정 집단을 겪은 경험에 기반해서 어느정도 스테레오 타입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을 밖으로 표출하거나, 입시나 면접 등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만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동양인을 많이 겪어봤는데 영 별로라서 동양인 신입생은 안받으면 좋겠다' 와 비슷한 말인데, 저런 말을 대놓고 하면 당장 인종차별로 난리가 나겠죠.
실리적으로 생각할 때, 교수님이 만약 저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이 많은 학생들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믿으시는 편이라면 화내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분위기를 흐린다, 라고 하지는 마시고, 특정 인물과 그의 행동을 지정하면서 연구실 분위기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시면 교수님께서 적당히 개입하실 수도 있겠네요.
59 - 이딴 ㅂㅅ같은 소리하는 도둑놈들이 많으니깐 우리나라 연구실에서 연구하기 ㅈㄴ싫음. 당신 같은 사람 때문에 한국 연구문화가 쓰레기 소리 듣는 거에요
31 - 무능력한 착한 교수보단 인성 안 좋아도 실적 좋은 교수가 훨씬 좋은데? 인성 좋고 무능력한 교수 밑에서 인생 버리는게 더 끔찍함
20 - 쓸만 하니깐 뽑았겠죠
10 - 입사 1년 정도 지나 옆자리를 보세요
이새끼가 어떻게 여기 들어왔지? 하실겁니다
13 - Proposed Speedy Heuristic Approach for Navigating Geographical Unexplored Spaces (SHANGUS)
라고 논문에 나와 있네요.
14 - 어차피 무슨 의도인지 알 수 없는데 뭘 너무하다고 하기는 좀 애매해 보이는데요 ㅋㅋㅋㅋ 아니 애초에 저게 저렇게 되는 줄 처음 알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의도한건지 몰랐는지, 알았다면 좋은 의도인지 나쁜 의도인지 뭐 밝혀진게 있다면야 이야기가 다르겠지만요 ㅋㅋ
13 - 인기 없어서 아무도 안가려는 랩인데 그걸 모르고 덜컥 가버린다고 했나 라는 고민이신가요?
뭐, 컨택 과정이 수월했다는 것 만으로는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마침 그 시간에 메일을 확인하는게 교수님 루틴이었을 수도 있구요.
13
일본에서 발표한 인공지능 분야별 연구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2.03.03
컴퓨터 비전, 로보틱스 분야는
한국 내 주요대학(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등)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나
주목할만한 성과는 적다고 기술했더라구요
일본은 주목할만한 성과가 있다고 했구요
평가등급은
1. 특히나 주목할만한 성과가 있다
2. 주목할만한 성과가 있다
3. 주목할만한 성과가 없다
4. 연구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네 단계였습니다
이 보고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알기로는 카이스트가 논문갯수로 세계 7위를 먹었다고 들었는데
이런거와는 대조되는 평가라서 어떻게들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NLP와 계산뇌과학?에 대해서는 한국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https://www.jst.go.jp/crds/report/CRDS-FY2020-FR-TOC.html
일본어가 되시는 분들은 한번 들어가 보세요
한국 내 주요대학(서울대, 카이스트, 포스텍 등)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으나
주목할만한 성과는 적다고 기술했더라구요
일본은 주목할만한 성과가 있다고 했구요
평가등급은
1. 특히나 주목할만한 성과가 있다
2. 주목할만한 성과가 있다
3. 주목할만한 성과가 없다
4. 연구하고 있지 않다
이렇게 네 단계였습니다
이 보고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제가 알기로는 카이스트가 논문갯수로 세계 7위를 먹었다고 들었는데
이런거와는 대조되는 평가라서 어떻게들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NLP와 계산뇌과학?에 대해서는 한국이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https://www.jst.go.jp/crds/report/CRDS-FY2020-FR-TOC.html
일본어가 되시는 분들은 한번 들어가 보세요
인공지능 레드오션 맞다 김GPT 22 40 28711
AI 분야 거품임 김GPT 26 22 14414
로보틱스 분야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김GPT 2 1 5117-
38 31 9714 -
30 23 6553
컴퓨터비전은 비전있는 분야일까요? 김GPT 2 9 4578-
21 12 4574
인공지능이 인기긴 인기인가봐 김GPT 0 4 5608
국내 vision + nlp 연구실 김GPT 1 1 4339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 명예의전당 159 21 42909-
157 28 44936 -
146 49 5434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2.03.03
2022.03.03
대댓글 4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