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맨날 게시판에서 미국 탑스쿨 박사도 실적 없으면 국내 박사보다 못 하다메?
실적이 깡패라메?
그래서 주변에 딱 들어 맞는 케이스 있어서 글 좀 썼는데 그걸 또 열라 까네..
다들 피인용 횟수 100도 안 되는거야? 그래서 까는거야?
그렇게 엄청나게 논문 쓰면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01.08
실적이 없으면 의미없긴하지ㅋㅋㅋㅋㅋㅋㅋㅋ근데 어그로처럼보여서 그렇지 실적없는 미박은 의미없는거 맞음...그냥 미국 회사에 취업이 유리하니 그렇지. 학부가는거 아닌이상 대학원으로 미박갈때는 그냥 좋은학교만가는거보다 좋은 대가랩들어가는게 중요하지...거긴 네이쳐 사이언스 시도때도없이 찍어내니...나도 미국 석사랑 국내석박중에 저울질하다 uw-madison교수들중 2분빼고 전부 내가 국내에서 가기로 내정된 랩실보다 실적이 안 좋아서...이 학교 합격해도 그 두랩은 박사생만 받는데 석사로 가면 들어갈 수 있을까?싶기도하고 두개 이외에 다른 랩실가서 그정도 실적이면 내가 국내돌아오면 살아남을까? 고민많이하긴했음...사실 미박의 장점은 미국의 좋은 회사에 취업과 미국 이민이 가능 할 수 있다라는 것에 큰 장점이있지
덤덤한 막스 베버*
2022.01.08
이분 전 글 보고 왔는데, 도대체 프레시 박사 능력이랑 피인용횟수랑 무슨 상관이 있는지..ㅎㅎ 제 주변에 졸업 직전에 네이처 본지 2편 쓰고 졸업한 사람 있는데 이 분 아직 피인용 10회도 안됬는데 그럼 이분도 물박사인가요?
대댓글 1개
IF : 5
2022.01.08
됐
2022.01.08
나는 김박사넷에서 국내 박사가 미국탑스쿨 박사보다 좋다 얘기는 못봤는데..
그럼 국내에서 실적 간간하게 내는 SPK랑 실적 엄청 좋은 지거국 중에 고르라고 하면 어디 갈거야?
10에 9은 SPK 간다고 하지 않나? 그놈의 SPK SPK 간판 노래를 부르면서 SPK와 미국 탑스쿨 사이에는 다른 잣대를 들이대려하네..
SPK는 입시가 있고 그 아래 대학은 입시가 없으니 SPK 아래 대학은 다 거기서 거기고, SPK에 입학하면 간판이 그 사람에 대해 어느 정도 보증을 해 준다는 논리면서 SPK 입시보다 어려운 미국탑스쿨 입시는 왜 인정을 안하려하지?
같은 논리로 탑스쿨 미박이 국내 박사들 보면 SPK나 지거국 박사나 다 똑같아보이는데
대댓글 8개
달리는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1.08
입시가 그 입학 시험 얘기하는 거죠? 예전에 S 지원 했을 때 그런 문제 풀었던거 같은데. 미국은 박사 입학 결과 전에 불러서 캠퍼스 투어 하고 면접 보는 경우는 있어도 이렇게 시험을 보는 경우는 없는 거 같은데요, 물로 GRE는 냈었지만 요즘은 그것도 안 내는 학교도 많고..
2022.01.08
아녀 입학시험 말구 학점/실적/영어점수 등등 제출해서 줄세워서 뽑는 거요
달리는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1.08
다른 대학은 그걸 안 해요???? SPK 빼고는 학점 실적 영어 점수 안 내요?
S, Y대 지원 할때 다 냈었는데 S는 시험도 봤고 면접도 하고 Y는 면접만 봤던거 같은데.
2022.01.08
다른 대학도 있긴 하지만 워낙 SKP로 사람이 몰리다보니 SKP 아래로는 인기랩 아닌 이상 경쟁률이 1이 안되는 경우가 많죠
덤덤한 막스 베버*
2022.01.08
형식적인 시험이나 면접은 있겠죠.. 엥간하면 다 받아주니까 의미가 없을뿐
2022.01.08
'SPK는 입시가 있고 그 아래 대학은 입시가 없으니' 라는 부분이 혼동을 줄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저도 얼마 전 댓글에서 본 내용 그대로 따온거라.. 하고자 하는 말은 윗 댓글 내용이에요.
달리는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1.08
ㄴ 오 그렇군요. 확실히 대학원 진학하는 사람들이 많이 없군요. 2000년대 대학원 들어갔던 사람이라 엄청 놀랐습니다
기쁜 쿠르트 괴델*
2022.01.08
yk도 서류컷, 면접전형 있고 과에 따라 필기시험도 있습니다. 경쟁률은 평균 3~4대 1입니다.
2022.01.08
그 밑에 미국가서 교수나 해야지 말만 안했어도 더 추천 받았을듯..... 당연히 실적이 좋으니 한국에서는 더 교수되기 쉬운게 맞지. 그렇지만 국박으로는 미국 교수나 미국취업은 포닥가서 몇 년가서 구르지 않는 이상 원시적 불능이고.... 국내 학위를 거기서 누가 쳐줌?? 그 김박사넷에서 말하는 실적이 최고다 얘기가 국내교수 임용얘기지 미국 임용 얘기인가?? 자기가 핀트를 이상하게 꼬아서 말해놓고 왜 공감안해주냐고 그러면 뭐라해야되는지.....
2022.01.08
병신먹이금지
2022.01.08
ㅋㅋ그래서 작성자 너한테 피인용 횟수 적은 MIT 박사주면 안받을거냐고~ 개웃기네 이사람ㅋㅋㅋ
2022.01.08
피인용같은 멍멍이 소리로 비교해서 그렇지, 본인이 NCS를 쓰기 어려운 분야에서 NCS본지에 저널을 주저자로 쓰셨으면(지도교수가 떠먹여준케이스가 아니라), 본인 스스로 능력에 대해서 같은분야 어느사람이든지 다 인정해줍니다.
물론 NCS같은 탑저널들은 특정분야 대가가 지도교수일 경우 쓰기가 편하겠지만, 심지어 그런경우도 아닌데도 학계에 큰 임팩트를 준 논문을 쓰면 아무도 무시안해요. 다만, 박사졸업당시 피인용이나 H-index같은거로 말하는건 좀 어불성설이에요.. 졸업하고나서 포닥6개월정도쯤 탑저널쓰는 사람들도 있는데요.
큰틀은 이해는 되나, 본인이 좀 이해를 못하는게 있는것같네요. 그리고 그것과 별개로 당연히 탑스쿨에서 학위받으면 인정해주기도 하죠. 그 자리까지 들어가는게 어려운건 누구나 아니까요. 남들과 비교하지말고 본인 자리에서 그냥 최선을 다하면됩니다.
2022.01.08
2022.01.08
대댓글 1개
2022.01.08
2022.01.08
대댓글 8개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
2022.0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