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1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6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7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6 - rnd예산이 포퓰리즘이라니요. 이러니 예산 삭감하는거지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2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1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5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0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9
도대체 어떤 지도교수를 만나면...
2020.02.19

저도 공학박사학위 받았고, 신생랩에서 학위하면서 별별 걸 다 겪었지만
어차피 졸업하면 연 끊을거다 생각하면서 참고 참으면서 학위했습니다.
교내포닥으로 남으라는 거 미친 사람(신임교수인데 돈내고 들어온 비리교수임,
총장라인 잘못 서서 과에서도 쓰레기 취급 받고 연구실도 망해감, 빨리 도망치고 싶었음)이랑
그만 엮이고 싶어서 취업했다가,
그 연구소에서 만난 교수님이랑 케미가 잘 맞아서 포닥으로 가게 되었습니다.
연구소에 있는 동안 같은 팀이던 박사님이 계신데, 미친 사람처럼 보였어요.
포닥오고도 가끔 연락이 오는데 뜬금없이 교수욕을 했다가,
입사동기들끼리 만든 단톡방에 갑자기 다른 사람 인스타 사진을 올렸다가,
대학원을 가야된댔다가 말아야 된댔다가, 갑자기 연락두절이 되었다가 난리입니다.
자기가 교수 밑에서 포닥을 3년해서 너무 힘들다고 계속 욕을 하는데
1년 정도 같이 지내면서... 그 교수 말도 좀 들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원래 정말 저렇게 대학원생활이 힘들어서 미친 사람도 있나요?
연구소도 그만두고 다시 포닥했던 연구실 가서 빌붙다가 1월부턴 그 지원마저 끊겨서
집에서 논다던데;;; 교수가 그 정도 지원도 해줬는데 고마운 게 없는 건지;;
인건비도 포닥하는 동안 380 받았고, 과정하는 동안 200 이상 받았다면서;;
여자도 있는 단톡인데 야동얘기도 올리고.. 한두번 뭐라했는데 나이도 낼모레 40이라
자꾸 뭐라하기도 뭐하고..
밑에 8년동안 졸업 안시켜준 교수도 있는 거 보면.. 갑질 때문에 정말 저렇게 된건가 싶어서
불쌍하다가도, 본인이 안 좋은 일 겪었다고 지금 잘 지내는 사람들한테 너네도 망할거라고
뜬금없이 욕하는 걸 보면 그 교수랑 후배들이 얼마나 스트레스 받았을지 생각도 들고..
여기 교수님은 혼자 일하는 스타일이라 업무분장도 잘 되어 있어서 딱히 불편하지도 않고
임용 준비도 생각중인데, 갑자기 연락해서 너 교수 떨어질거다, 나도 떨어졌다,
이런 소리 들으니깐 화가 난다기보다는 좀.. 불쌍하기도 하고 그러네요.
저런 사람 또 보신 분 계신가요?
우리 지도교수님.. 김GPT 149 32 49546
지도교수에 의한 스트레스 김GPT 11 9 4581-
59 14 14938
지도교수와의 인연 끊고싶습니다. 김GPT 39 29 43325-
25 16 8888
다들 지도 교수님하고 사이 어때? 김GPT 1 13 4551
쌍욕하는 지도교수 어떰? 김GPT 0 12 3388-
24 9 17256
지도교수랑 안맞을 때 (퍼온 글) 김GPT 32 7 12326-
265 25 30113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7 76 193189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91 25 1318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교수 특
72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2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대학원 들어가는 게 맞을까요?
7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7 - 랩실 출퇴근시간
12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9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9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7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7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교수 특
72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6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2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7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9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랩실 출퇴근시간
12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9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9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7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1
2020.02.19
2020.02.19
202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