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엔지니어, 닥터, 로이어 동급

2020.01.22

22

6323

한국은 어떤가요

잘모르겠지만


수정))

국민들의 인식, 연봉 등에서 의사 회계사 등 사짜 직업에 비해 이공계 박사 졸 대기업 연구직이 많이 밀리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2개

2020.01.22

주어가 없는 문장이라 대답이 불가능 합니다. 도대체 무엇이 밀리냐는 질문가요?

2020.01.22

ㄴ국내 인식, 연봉 등에 대해서입니다.

2020.01.22

우리나라가 관료들을 좀 높게보던 경향이 있어서 약간 뒤쳐지는 듯 했으나 최근 많이 바뀌고 앞으로 역전되지 않을까 싶음

2020.01.22

미국 엔지니어 닥터 동급? ㅋㅋ 미국 가봤냐? ㅋㅋ

2020.01.23

ㄴ닥터가 높긴하지만 엔지니어도 전문직 못지않게 최상급 직업으로 쳐줍니다.
한국은 대기업 연구직? 정도로 부를텐데 국민들의 인식이 궁금했어요
Francis Crick*

2020.01.23

뭔 개소리야 ㅋㅋㅋㅋㅋㅋㅋ 미국 의사들 연봉 얼마인지는 아냐 ㅋㅋㅋㅋㅋㅋㅋㅋ

2020.01.23

ㄴ게시판이 익명이라그런가 수준 낮은 댓글들이 많네요 미국의사평균연봉 3 4억쯤하죠. 근데 엔지니어도 최상급직업으로 쳐준다구요. 미국에선 닥터>엔지니어(그래도 둘다 최상급) 정도
근데 국내에선 의사회계사>>>>>대기업연구직?으로 인식되는건지 아닌지

대댓글 1개

2024.05.23

미국은 의사 평균 연봉이 6,7억 이상이에요…

2020.01.23

에효 어디 급식이 미국병에 걸렸네.... 그래 미국 가라 ㅋㅋㅋㅋ 어떤지 가봐 ㅋㅋㅋㅋ

2020.01.23

ㄴ자꾸 왜 비아냥대는지 모르겠는데 대기업연구직도 사짜못지않게 잘대접 받으면 좋은거 아닙니까? 지금 국민들 인식이 그런지 아닌지 묻는데 혼자 피해의식에 쌓여서 부들대는지 원

2020.01.23

미국 엔지니어도 세금 내고 월세내면 빈곤하다.

2020.01.23

국민들 인식은 결혼정보사이트 같은데 들락거리는 한가한 사람들이나 따지는거고 박사급 엔지니어들 그 타이틀 달고있는 한은 어디가서 돈이나 기타사항이나 문제 느끼지 못함. 문제는 그 타이틀 언제까지 달고 있을 수 있냐는거. 이거때문에 연봉 적은 정출연이나 교수가 대기업보다 선호도 높은거고 의사 변호사 좋다는 이유도 이거임.

2020.01.23

유튜브에서 실리콘밸리 엔지니어 삶 검색해보길. 영어로 외국인들 내용도 찾아보면 놀랄거임. 한국 학부생들 미국뽕 밸리뽕이 너무 심함... 특히 엄청 싼 값으로 인턴오는 한국 애들보면 진짜 눈물남...

https://youtu.be/Btbvv9kfLqo
Francis Crick*

2020.01.23

엔지니어중 고연봉 받는 경우는 물가 미친듯이 비싼 베이에이리어 일부 회사에 한하고
타 지역 회사들은 박사따도 초봉 10만불 전후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보통임
그런데 세금 30%이상 떼고 월 렌트 3-4천불씩 내면 20만불 받아도 넉넉하지가 않음

그리고 국내 상위권 대학 교수의 경우 대기업보다 더 벌면 더 벌지 못 벌지는 않는다

2020.01.24

ㄴ 상위권 대학 교수 가능할 지원자가 대기업가면 프레시박사 마냥 과장 1년차 연봉 받을거라고 생각하면 오산임.
Francis Crick*

2020.01.24

대기업엔 연봉테이블이란게 있단다
Mit박사라고 임원으로 모셔가던건 20년 전 이야기고
요즘은 탑대학 박사들 발에 치이는데 회사에서 돈을 더 줄 이유가 전혀 없음

2020.01.24

ㄴ하****에 위와 같은 소리들 많길래 나도 오퍼 받아보기 전까진 그런줄 알았음. 본인이 해당자라면 대기업들 계속 리쿠르팅 나가는 기관에 있을 확률이 높을텐데 오퍼 받아보고 얘기하길 바람.
Francis Crick*

2020.01.25

대기업 갔다가 학교 왔음 (S대학부에 탑5 박사) 사이닝, 리텐션 약간 받은거 빼면 별 거 없음
그리고 울 부서에 MIT 하버드 출신 많았는데 다 똑같음
Gerty Cori

IF : 1

2020.01.25

분야가 달라서 그런지 이야기가 좀 다른듯. 제 선배는 포닥1년 + 해외R&D 3년 후 S계열사 수석(부장) 하다가 교수로 가셨는데, 연봉이 정확히 반토막 났다고 함. 학교 라인은 ssh. 나름 본인으로써 생각해봐도 상위권 대학 교수가 기업 과제를 얼마나 따는지는 모르겠지만 대기업보다 돈을 잘 번다는 건 좀 계산이 안 됨. 지금 SKY 인공지능분야 라이징스타 연구실이면 모를까. 대학 등록금도 몇 년째 동결인데.

2020.01.25

연봉으로 따지면 교수가 제일 낮음. 그건 ssh나 sky나 별반 차이가 없음. 국립대랑 서강대가 제일 낮고 (서강대는 재단이 ...), 그래봐야 거기서 거기임. 교수가 회사 차리지 않는 이상 크게 돈 벌수 있는 루트가 없음.
Francis Crick*

2020.01.25

포닥1년에 기업 3년 다녔다고 부장으로 뽑아주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없음. 스카웃된 특수한 경우였나보지 보통은 과장 잘해봐야 차장임

그리고 교수봉급은 본봉 외에 비과세소득이 매우 많음. 크게 돈 벌기는 힘들지만 대기업 동년배정도는 벌고 남음

2020.01.25

ㄴ 인정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