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4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2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20 - 가끔은 제안서내용도 이해못하는 심사위원들보면 누가누굴평가한다고 하는 생각이 들죠. 그러다보면 실적순이 차라리 공정하게 느껴짐^^;;;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1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5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 억 넘는거받고 하는거대비 편하다 이런 얘기 안했으면 합니다. 가성비 떨어지는직업인건 하브넷만가도 널려있어요. 다들 그정도받는거 이상으로하고 기업가도 국내외 2,3억은 받는사람 천지인데, 그럴듯한 인정 명예로 편한직업처럼 포장하는거 불편합니다. 여기 대학원생들 많을텐데 대충해도 인정받는다는거 여론몰이 아닌가요?
학교분위기마다 다르다는거 압니다. 현실을따져도 그리고 적어도 저희는 지금이 위기로느끼고 최대한 조교수포함 공격적인 운영을해나가고있습니다.
말씀하신거처럼 극단적인 예시는 루팡하는 교수들아닌가요? 회사에도 물박사들 많은데 그것처럼 일반적인 교수들 욕먹이지마세요.
본인이 저 루팡 계열에 없으시면 이런글 올리지마세요. 동료교수들끼리도 저런글 올리면 박수치고 호응해주는지 궁금하네요!
교수 삶이랑 월급에 부정적인 얘기 많은거같은데
10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1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3
근데 한국 교육의 문제점 근거로 노벨상을 들고오는건
2021.08.09

노벨상 받는건 진짜 운빨도 오지게 작용해야하잖아.
그리고 한국이 과학에 발담근게 대체 몇년 됐다고 고조선시대부터 아리스토텔레스 나오고 조선시대땐 뉴턴 나와서 난리친 과학강국이랑 비교하는지 의아함.
이건 마치 한국이 월드컵 우승없고 발롱도르수상 없다고 한국 축구 교육의 문제라고 하는거랑 비슷할 수 있다봄. 아니 그것보다 심함.
예전에 비해 높은 저널 투고 비율이랑 연구능력이런 세부지표를 들고와야지. 실제로 보면 자잘한 상들이랑 연구능력은 단기간에 엄청성장하긴함. 당장 우리 아버지 세대만 해도 대학 제대로 못가고 높은 저널에 무슨 논문 낼수는 있었나.. 지금은 석박생들도 꽤 내지.
무슨 노벨상이랑 필즈상 이런거 들이밀면서 한국이 문제있다는지 모르겠음..
그리고 한국이 자연과학에 큰 투자를 안해서 글치 공학에는 진짜 투자한거 이상으로 효과를 보고있음. 자연과학에 또 엄청 투자했으면 돈벌이 안돼는 쓸데없는 고지식한거나 한다고 욕 오지게했겠지. 공학을 키워서 돈을 벌고 경제력을 키워야 한다는 식으로.
그렇게 물고빠는 핀란드교육은 뭐 노벨상 탔나? 유명한 대학들이 있나? 시대 흐름 못읽고 많이 쳐지고. 북유럽 주변국가한테도 경제력, 대학연구능력 털리던데. 심지어 유명한 학자도 없음. 오랜기간.... 이게 그 좋은 교육의 결과인가?????요새 핀란드교육 안거려서 좀 살만하다. 핀란드도 지금 자기네들 교육정책에 회의감 든다고 본거같음. 노키아 몰락하고 경제 흔들거리고... 그때 그 교육 따라갔으면 워휴 말도 말자.
감성적인 교육정책 선동이 심했지 그당시.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김GPT 244 38 91525-
11 12 2719
한국 사회에서 학벌이란 김GPT 6 4 1918
근데 같은 지방대라도 김GPT 6 12 2563
학벌 김GPT 12 48 6945
요아래 석사 논문 어쩌구 김GPT 20 34 10981
노벨상 어쩌구 김GPT 5 16 6165-
15 5 1849
김학사넷 수준 김GPT 17 8 7747-
303 31 88867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31 104 76711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44 8 47844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1.08.09
2021.08.09
대댓글 1개
2021.08.0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