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대학원 진학을 고민중인 학부생입니다.
전공은 농대계열이고 지거국 대학 다니는 중입니다.
일단 저희 학과가 전국에 별로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학교 자체 아웃풋은 그닥인데, 학과 자체로는 어쩌다보니 전국 순위권에 듭니다. 학교에서도 지원을 많이 해준다고 하는데 그것까진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체감도 잘 안되고...
이렇듯 과도 별로 없는데다가 제가 관심있는 분야를 연구하는 교수님도 매우 소수입니다. 제 모자란 정보력으로 뒤져봐도 저희 학교 포함해서 두분? 세분 정도 있더라구요(일단 농대쪽으로만 조사했습니다)
물론 제가 대학원 진학할 때쯤 될때 모든 교수님께 컨택할 예정이고 지원도 할겁니다. 다만 그나마 더 나은 미래를 위해서 미리 대학원에 몸 담고 있는 선배님들께 조금이나마 조언을 얻고자 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김박사넷과 이곳저곳에서 모은 정보를 토대로 비교를 해 보았으니 읽어보시고 많은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명치 때릴만한 조언도 환영합니다)
1. 자대 대학원, 국가기관에서 연구직하다가 교수가 되신 분, 교수님께서 연구중인 분야에선 꽤 유명하심, 당연한 이야기지만 자대생 비율이 높음
2. 인서울 대학원(sky급), 정석적인 루트로 교수가 되신 분, 네임드급으로 유명하심, 잦은 출장으로 학위논문 지도를 받기 힘들다고 함, 박사쪽은 자대생 비율이 높은데 석사쪽은 아님
연구분야는 동일한데 1번 교수님이 더 세부적인 분야를 연구하십니다(ex. 2번이 세포연구라면 1번은 세포핵 연구같은 느낌?) 교수님의 인성이나 랩실 분위기는 같다는 전제하에 고민중입니다(사람마다 느끼는 것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
선배님들이라면 어떤 선택을 하실지 궁금합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리며 학부생따리가 쓴 보잘것없는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날이 무척 더운데 건강 잘 챙기시기 바랍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1.07.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 희망진로에 따라 선택해야합니다
지역이나 정부연구기관 연구사할것인지 회사에 들어갈것인지 박사후 학계나 정출연을 희망한다든지
관련 중소, 중견기업으로 갈것인지
대댓글 4개
2021.07.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 졸업생 취업루트를 잘 비교해서 본인희망진로와 가까운랩으로 가세요
2021.07.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디로 가야할지 모를때는 비교 랩 alumni졸업생 취업루트보고 가는게 상책입니다 졸업생 간 길이 본인 갈길과 크게 다르지 않을것입니다
2021.07.21
타 대학원 연구실 홈피에 alumni에 대한 글이 없는데 이럴 경우에는 조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2021.07.2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랩 Alumni나 뉴스란에 보시면 랩졸업생 논문실적과 취업지가 같이 나와요...박사인 경우 이정도 실적내면 이런곳으로 가는구나하고 판단자료로 되기때문에 alumni가 중요근거로 쓰여요
정리가 잘 안되어 있는 랩은 담당자(석박사)가 게으러거나 랩에서 그런거 신경 안쓰고 랩 운영하는 랩일건데
대부분랩에서는 랩 뉴스란에 그때그때 논문발간 실적과 랩 석박사 학위 취득 상황, 졸업생 취업지등 올리는걸로 알고있음
2021.07.21
지금 몇학년인지가 중요합니다. 3학년이라면 자대 대학원 랩에 가서 학부연구생으로 일을 시작해서 석사를 진학해 실적을 내고 그걸 바탕으로 다시 생각하겠습니다. 4학년이라면 이미 학부연구생은 늦었을거고.. 그런데 제가 느끼기엔 석사때도 자기 연구를 할 수 있는 곳이 차라리 더 낫습니다. 요즘은 실적들이 좋아져서.. 연구직 가려면 실적이 꽤 나와야합니다. 생명과학/농대라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2021.07.21
저도 뽑혀봤고 사람도 뽑아봤지만.. 요즘은 세부분야도 분야지만 주로 책 안잡히려고 실적좋은 사람을 뽑습니다. 그래서 전 졸업생들의 진로도 진로지만 랩의 퍼포먼스를 보겠습니다. 특히 전체 퍼포먼스도 중요하지만 특정인에게 편중된 퍼포먼스인지도 보시고.. 주로 교수가 컬레버레이션을 얼마나 하는지 이런것도 좀 보세요. 교수가 주로 교신을 가져가는데 컬레버레이션된 논문이 많다는건 그 교수가 학계에서 꽤 인정받는 사람일 경우가 많습니다.
2021.07.21
랩의 논문 리스트들을 살펴보면 생각보다 많은 정보가 나옵니다. 그리고 논문별로 저자가 몇명인지 누구랑 컬레보하는지 과제는 주로 연구재단것을 하는지 어디것을 하는지.. 이런걸 좀 보면 대충 그 랩의 상황과 교수의 성향 이런게 많이 보입니다.
2021.07.21
좋은 랩:
0. 학계에서 인정받는 저널에 논문이 많음.
1. 랩원들 절반이상이 고르게 논문을 많이 냄.
2. 랩원들이 우루루 이름이 들어가는 것이 아닌 2-3 명 정도가 들어감.
3. 컬레보를 이렇게 저렇게 많이하는데 주로 해당 교수가 교신저자임.
4. 과제가 (Acknowledge를 보면 어떤 과제를 하는지가 나옵니다) 주로 3년 이상 긴 과제들이 많음.
5. 논문에서 그 랩의 스페셜리티가 명확하게 드러남. (인트로에 자랑하게 되어 있음)
2021.07.21
그리고 요즘은 블라인드라.. 정부출연기관에서 해당분야의 대학 연구실별 평가를 하라고 합니다. 그것이 채용방향을 정할때 기반 자료가 되는데 요즘은 진짜 상향평준화가 많이 되었고 (젊은 교수들 퍼포먼스는 전반적으로 높아요) 예전엔 제 분야에서는 박사급 연구자를 낼 연구실이 2개 정도였다면 요즘은 10개도 넘는 것 같습니다. 질적 양적 성장의 결과죠.
2021.07.21
그래서 뽑힐라면 다 잘해야합니다.. 실적좋고 스펙좋아도 발표때 어버버 하면 안되고요.. 실적도 좋아야하고.. 양/질 모두. 힘든 세상이에요.. 그런데 학교 이름은 진짜 작용하지 못하는 추세입니다. 솔직히 논문이름으로 검색하려면 하지만 그 사람을 억지로 올리려면 진짜 명확한 이유가 없으면 나중에 수갑찰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못해요.
대댓글 2개
2021.07.21
정말 자세하게 조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행히도 현재 3학년이고 저희 학교 교수님과 컨택해서 랩실 들어갈 예정입니다. 랩실 홈페이지 말고도 대학원 선택할 수 있는 요인들이 생각보다 많다는 걸 느끼게 되었습니다. 덕분에 정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07.21
대댓글 4개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2021.07.21
대댓글 2개
2021.07.21
2021.07.21